잠무 카슈미르 분란
잠무 카슈미르주 분란 또는 잠무 카슈미르 분란은 인도의 잠무 카슈미르주에서 1989년 7월 13일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분란을 말한다.[주 1]
잠무 카슈미르주 분란 | |||||||
---|---|---|---|---|---|---|---|
카슈미르 분쟁의 일부 | |||||||
| |||||||
분쟁 세력 | |||||||
![]() |
![]() | ||||||
지휘관 | |||||||
군대 | |||||||
|
![]() | ||||||
병력 | |||||||
IAF: 356,382[5]
정보조직: 920[6]
|
|
인도령 잠무 카슈미르주 정부의 조사에서는 최대 10만여 명 이상이 부모를 잃었다고 나와있으나, 2012년 사회학자 바쉬드 아마드 다블라의 《카슈미르 내 고아와 사별여성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A Sociological Study of Widows and Orphans in Kashmir)에 따르면 발생한 고아는 214,000명로 추정된다.[8]
카슈미르 문제를 만드는 세 가지 세력은 다음과 같다. 파키스탄으로 대표되는 종교적 민족주의 세력과 세속적 민족주의를 보여주는 인도, 카슈미르인이라는 전통적인 민족주의 정체성을 가진 카슈미르이다. 서로가 분리독립을 바란다고 지적하지만 이들의 주장은 일관되지 않고 대조적이며 모순적이다. 일반적으로 파키스탄인들은 힌두교도와 무슬림이 종교적으로 다를 뿐만 아니라 다른 민족성을 가진다고 배우며, 무슬림이 주류인 카슈미르에서 살고 있는 카슈미르인들은 일반적으로 파키스탄에 합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9]
6,500만 명의 무슬림들은 서쪽의 파키스탄과 동파키스탄, 현재 방글라데시에 합류했으나 3,500만 명의 인도 공화국 내 무슬림들은 그렇지 않았다. 카슈미르 인구가 4백만일 때, 인도 공화국 내 무슬림들은 1억 명의 규모로 성장했다. 만약 카슈미르가 종교적 민족주의의 이유로 혹은 독립을 위해 도움을 요청한다면, 파키스탄이 인도 공화국 내의 무슬림들의 이익에 대한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카슈미르를 지키려고 하진 않을 것이다. 카슈미르가 추구하는 권리가 개인의 자유를 비롯한 권리였다면, 카슈미르계 무슬림들이 어떤 활동을 하는지에 대해서 카슈미르 밖에 거주하는 무슬림들은 관심이 없었을 것이다. 카슈미르인들은 인도에서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인정받고 싶어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키스탄이 인도로부터 분리독립했다는 사실은 인도 공화국 내 무슬림들이 파키스탄의 대외적 활동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도록 만든다.[10]
각주편집
- 내용주
- ↑ 여기서 분란(Insurgency)이란 정식 국가로부터 아직 교전단체(Belligerent)로 국제적으로 승인되지 못한 전투원(Combatant)들이 내란죄로 처벌받는 법적 지위에서 일으키는 내전을 말한다. 이들의 조직이 더욱 크게 확장되고 견고하게 되면 정식 교전단체로 승인받게 되며, 그러면 그 조직의 전투원들은 합법적 군인으로 인정되어 국제법상 전쟁법의 적용을 받는 포로의 지위가 인정된다. 분란전은 아직 그 전단계이기 때문에, 이들 조직원은 당국의 내란죄의 내란범죄자로서, 보통 테러범으로, 전투에서 보호받지 못한다. 현대의 국제법은 '분란군'들이 당국에 의해 교전단체로 인정받을 일은 적으므로, 분란군을 교전단체로 보고 포로 상태에서의 권리와 시민을 보호하는 등의 의무를 명시해야 한다고 해석한다.[7]
- 참조주
- ↑ Shaun Gregory (2007년 8월 26일). “The ISI and the War on Terrorism”. 《Studies in Conflict & Terrorism》 (Taylor & Francis) 30 (12).
- ↑ “Islamic State J-K chief among 4 terrorists killed in Kashmir”. 《Rediff》. 2018년 6월 22일. 2019년 8월 17일에 확인함.
- ↑ Tom Lansford (2019년 3월 19일).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8-2019》. CQ Press.
- ↑ 가 나 Audrey Kurth Cronin; 외. (2004년 2월 6일). “Foreign Terrorist Organizations” (PDF). 《CRS Report for Congress》.
- ↑ 가 나 JKCCS 2017, 12쪽
- ↑ 가 나 JKCCS 2017, 13쪽
- ↑ Priyadarshi Nagda (2017). “Detailed Study On Recognition Status Of Insurgent And Belligerent Organizations”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and Review》 2 (7).
- ↑ Safina Nabi (2017년 2월 2일). “Kashmir at crossroads: Orphanages need to rethink care giving in the Valley”. 《Business Standard》 (Business Standard Ltd). 2019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Ashutosh 2011, 999쪽.
- ↑ Ashutosh 2011, 1000쪽.
참고 자료편집
- Ashutosh Varshney (1991년 11월). “India, Pakistan, And Kashmir: Antinomies of Nationalism”. 《Asian Surv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 (11). JSTOR 2645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