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종훈

장종훈(張鍾熏, 1968년 4월 10일 ~ )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내야수로 현재 모교인 세광고등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로 재직 중이며 선수 시절 타격 5관왕을 차지한 한화 이글스의 대표적인 프랜차이즈 스타였다. 등번호 '35'번은 한화 이글스 구단 최초 영구 결번으로 지정됐으며, 2011년 한국 프로 야구 30주년 레전드 올스타 1루수 부문에 뽑혔다.

장종훈
Chang Jong-Hoon
한화 이글스 No.35 (영구 결번)
Baseball pictogram.svg
JH Chang 1995 stamp of Nicaragua.jpg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68년 4월 10일(1968-04-10)(54세)
출신지 대한민국 충청북도 영동군
신장 186 cm
체중 93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1루수, 유격수
프로 입단 연도 1986년
드래프트 순위 1986년 (빙그레 이글스)
첫 출장 KBO / 1987년 4월 14일
대전해태
마지막 경기 KBO / 2005년 9월 15일
대전KIA
획득 타이틀
경력

선수 경력

코치 경력


선수 시절편집

아마추어 시절편집

청주용담초등학교 시절에 유도를 하다가 5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다. 이후 세광중을 거쳐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세광고 시절에 고교 야구를 평정했다.

빙그레 이글스 & 한화 이글스 시절편집

세광고를 졸업하고 당초 대학에 진학할 예정이었으나 입학 조건이 장학금이 아니라 300만원의 기부금이었고, 당시 그에겐 그만한 돈이 없었다. 그는 부친의 권유로. 1986년 연봉 300만원에 신고선수이자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 당시 감독이었던 배성서와 코치였던 이재환의 적극적인 권유로 1년 후 1987년 4월 14일 해태전에 출전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다. 1990년 시즌 28홈런, 1991년 시즌 35홈런, 1992년 시즌 41홈런을 쳐내며 3년 연속 홈런왕에 오름과 동시에 KBO 리그 사상 최초로 40홈런 시대를 열었다. 이 기록은 1998년타이론 우즈가 42홈런으로 경신하기 전까지 KBO 리그 한 시즌 최다 홈런이었다. 또한 1991년 시즌에는 21도루를 기록해 20-20 클럽에 가입했으며, KBO 리그 사상 첫 100타점-100득점, 시즌 3할-30홈런-100 타점을 기록했다. 그리고 1990년부터 1992년까지 3년 연속 홈런왕, 타점왕, 장타율 1위라는 신기록을 세웠다. 1991년1992년 시즌에 2년 연속 정규 시즌 MVP로 선정됐으며, 5차례 골든글러브 (1루수-2회, 유격수-2회, 지명타자-1회)를 수상했다. 1993년부터 부상으로 인해 하향세였으나, 1995년 다시 반등에 성공하면서 꾸준한 활약을 보였고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팀의 창단 첫 우승을 이끌었다. 2000년대 들어서 그는 노쇠화로 인한 성적 하락이 나타나 2005년에 7경기 밖에 뛰지 못했고 2005년 9월 15일에 은퇴했다.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은퇴 후 이듬해부터 한화 이글스의 타격코치로 활동했고, 2012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은 후 한화 이글스에 복귀했다. 그러나 화려했던 선수 시절에 비해 한화 이글스의 지도자로서의 생활은 아쉬움을 남겼다. 일부 한화 이글스 팬들에게 부진한 팀 타격을 이유로 '철밥통'이라도 비난을 받았다. 결국 2014년 시즌 후 한화 이글스와 계약을 해지하고 팀을 떠났다. 시즌을 준비하며 이종운을 감독으로 선임한 롯데 자이언츠는 그를 롯데 자이언츠의 타격코치로 선임했다. 그는 2015년 시즌 롯데 자이언츠의 타격을 다시 살리기 위해선 “강민호 살리기가 최우선 과제”라며 지난 2년간 부진했던 강민호의 부활에 매진할 것을 천명했다. 강민호는 2015년 시즌 35홈런, 3할대 타율(380타수 118안타), 86타점 등을 기록함으로써 그의 노력에 화답하며 다시 부활했다. 또한 그는 2015년 시즌 자신의 거포 본능을 롯데 자이언츠 타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이식하며 2014년 시즌 팀 홈런 121개로 9개 구단 중 6위에 머물렀던 팀 홈런 성적을 2015년 시즌 177홈런으로 끌어올렸다. 팀 홈런 부문 10개 구단 중 넥센 히어로즈(203홈런)에 이은 리그 2위로 올려놓으며 롯데 자이언츠 팬들로부터 '갓종훈'이라고 불렸다. 이러한 능력을 인정받아 2015년 조아제약 프로코치상을 수상했다.

트리비아편집

  • 1989년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결정적인 실책을 저질러 역전패의 빌미를 제공한 데다 시즌 후 김진욱과의 트레이드설이 있었지만[1] 강병철 코치, 노진호 사장의 반대로 팀에 남았는데 나이가 들면서 배트 스피드가 갈수록 떨어진 데다[2] 방망이가 뒤에서 돌아나와 강속구 대처가 잘 안 됐다.

이 탓인지 팀에서도 분위기 쇄신과 체질 변화를 위해 트레이드를 생각하기도 했었는데 1999년에 감독으로 부임한 이희수가 그만 가지곤 안 된다고 판단해 로마이어를 영입했으며 1989년 시즌 후 그와 김진욱 맞트레이드설 당시[3] 이희수의 뒤를 이어 2001년에 감독으로 부임한 이광환도 그의 비중을 줄여가려 했다. 더군다나, 2003년에 부임한 유승안은 아예 그를 대놓고 배제하려 했지만 완전히 배제하지 못했다. 감독 재임 기간 동안 노장 선수들을 지나치게 외면[4]한 탓인지 많은 팬들의 반발을 사 재계약에 실패했다.

출신 학교편집

수상·타이틀 경력편집

  • 1988년 : 골든글러브(유격수)
  • 1990년 : 타격 3관왕(홈런, 타점, 장타율), 최다 타점 신기록(91타점), 골든글러브(유격수)
  • 1991년 : 정규 시즌 MVP, 타격 5관왕(홈런, 안타, 타점, 득점, 장타율), 홈런 신기록(35개), 최다안타 신기록(160개), 최초 100타점(114타점), 100득점(104득점) 돌파, 20-20클럽 달성, 골든글러브(지명 타자), 전 구장 홈런
  • 1992년 : 정규 시즌 MVP, 타격 4관왕(홈런, 타점, 득점, 장타율), ※ 최초로 단일 시즌 40홈런 이상 기록, 최다 타점 신기록(119타점), 최다 득점 신기록(106득점), 골든글러브(1루수)
  • 1995년 : 타격 2관왕(장타율 0.562, 출루율 0.424), 골든글러브(1루수) 제2회 한일 슈퍼 게임(일본)
  • 2011년 : 한국 프로 야구 30주년 레전드 올스타 1루수
  • 2015년 : 조아제약 프로코치상(롯데 자이언츠 타격코치)

주요 기록편집

기록 날짜 소속 구장 상대팀 상대 투수 경기수 타석수 달성 당시 나이 기타 각주
첫 출장 1987. 4. 14 빙그레 대전 해태
첫 만루 홈런 1989. 8. 31 빙그레 대전 삼성 권영호
최연소 100홈런 1991. 9. 14 빙그레 전주 쌍방울 김기완 23세 5개월 5일 역대 6번째
600타점 1995. 6. 20 한화 대전 삼성 역대 4번째
1000경기 출장 1996. 4. 28. 한화 대전 삼성 역대 17번째
200홈런 1996. 8. 20 한화 인천 현대 역대 3번째
1000안타 1996. 9. 10 한화 사직 롯데 1069 4134 28세 5개월 역대 13번째
2000루타 1997. 8. 13 한화 대전 삼성 1160 29세 4개월 3일 역대 3번째
2500루타 1999. 10. 1 한화 대전 해태 1437 31세 5개월 21일 역대 최초
1500경기 출장 2000. 6. 14 한화 광주 해태 역대 2번째
1500안타 2000. 10. 1 한화 대전 롯데 1561 역대 최초
300홈런 2000. 10. 6 한화 대전 두산 (DH1) 최용호 1565 32세 5개월 26일 역대 최초
1000타점 2001. 4. 6 한화 대구 삼성 김진웅 1571 32세 11개월 26일 역대 최초
900사사구 2001. 4. 15 한화 대전 두산 테일러 역대 최초
1600경기 출장 2001. 5. 10 한화 잠실 두산 역대 2번째
1700경기 출장 2002. 4. 17 한화 대전 KIA 역대 2번째
3000루타 2002. 9. 24 한화 잠실 LG 역대 최초
1000득점 2002. 10. 14 한화 문학 SK 1787 34세 6개월 4일 역대 최초
1950경기 출장 2005. 9. 15 한화 대전 KIA 은퇴 경기, 7번 지명타자 선발 출장
2타석 무안타, 마지막 타석 3루수 땅볼

1991년편집

기록 소속 팀 기간 총타점 주석 및 기타
11경기 연속 타점 빙그레 1991. 7. 21 - 8. 6 22
  • 11월 10일: 한·일 슈퍼게임 5차전 나가라가와 구장 개장(1991년 4월 1일 개장) 이래 첫 장외 홈런(비거리 160M) / 기념비 세워짐

1999년편집

  • 4월 22일: 청주 쌍방울전, 최다 득점 (769), 최다 루타 신기록 (2287)
  • 5월 23일: 광주 해태전, 최다 홈런 신기록 (253개 / 기존, 삼성 이만수, 252개)
  • 5월 31일: 대전 두산전, DH1 최다 2루타 신기록 (248개 / 기존, 해태 김성한 247개)
  • 6월 6일: 인천 현대전, 최다 타점 신기록 (862)

2000년편집

  • 4월 6일: 대전 현대전, 최다 안타 신기록 (1390)
  • 4월 18일: 1400안타
  • 4월 21일: 최다 타수 신기록 (4866)
  • 5월 23일: 청주 삼성전, 13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 (1988년 이후, 프로 통산 첫 번째)
  • 8월 2일: 대전 LG전, 900득점 (프로 통산 첫 번째)

2001년편집

  • 6월 16일: 인천 SK전, 14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
  • 9월 22일: 대구 삼성전, 1,600안타 (프로 통산 첫 번째)

2002년편집

  • 4월 20일: 수원 현대전, 300 2루타 (프로 통산 첫 번째)
  • 9월 22일: 대전 현대전, 15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 (프로 통산 첫 번째), 16년 연속 세 자릿수 루타 (프로 통산 첫 번째)

2003년편집

  • 4월 19일: 대전 롯데전, 개인 통산 1,800경기 출장 (프로 통산 첫 번째)
  • 5월 1일: 대전 기아전, 개인 통산 1,100타점 (프로 통산 첫 번째)
  • 5월 3일: 대전 SK전, 개인 통산 1,700안타 (프로 통산 첫 번째)
  • 5월 5일: 대전 SK전, 개인 통산 330홈런 (프로 통산 첫 번째)
  • 5월 10일: 대전 현대전, 개인 통산 6,000타수 (프로 통산 첫 번째)

2004년편집

  • 6월 9일: 부산 롯데전, 개인 통산 1900경기 출장 (프로 통산 첫 번째)

2005년편집

  • 4월 6일 대전 두산전, 9회말 대타 홈런 (개인 통산 340홈런, 1771안타)
  • 9월 15일 대전 KIA전, 은퇴 경기 (2타수 무안타 1삼진)

CF편집

에피소드편집

1999년 7월 10일 쌍방울전의 타석에서 투수 김원형 선수가 던진 2구를 정확히 통타한 장종훈의 타구는 투수 김원형의 얼굴에 정통으로 맞는다. 투수는 그 자리에 쓰러지고 투수의 얼굴에 맞은 공은 옆으로 흘렀다. 규정상 경기는 계속 진행 상태여서 스톱이 아니었다. 이런 경우 타자는 그냥 1루로 뛰면 내야 안타로 세이프다. 그러나 그가 달려간 곳은 1루가 아니라 김원형이 쓰러져 있는 마운드였다. 그 때 장종훈 선수는 그렇게 투수에게 달려가 아웃되었다. 일단 먼저 1루에 도착한 후에 타임을 걸고 투수에게 달려가도 충분한 시간이었지만 장종훈은 1루가 아닌 마운드로 질주했다. 김원형은 그 후로 마운드에 있을 때 장종훈이 타석에 들어서면 항상 모자를 벗어서 경의를 표했다. 장종훈의 인간적인 면모를 볼 수 있는 사건이다.

통산 기록편집

















2

3



















O
P
S












4
1986 빙그레 19 1군 경기 없음(신고선수 및 연습생으로 입단)
1987 20 94 331 281 24 76 15 0 8 34 1 6 30 62 .270 .359 .409 .769 115 4 9 11 0 0
1988 21 108 406 344 53 83 20 4 12 57 3 1 43 95 .241 .338 .427 .765 147 1 10 3 6 0
1989 22 112 301 256 49 65 11 0 18 46 6 4 33 55 .254 .351 .508 .859 130 3 7 2 3 0
1990 23 120 496 411 73 119 15 3 28 91 8 7 69 84 .290 .401 .545 .946 224 3 0 5 5 0
1991 24 126 558 464 104 160 24 4 35 114 21 11 76 88 .345 .450 .640 1.090 297 12 15 0 3 8
1992 25 125 556 431 106 129 28 2 41 119 13 5 106 99 .299 .446 .659 1.105 284 5 13 0 6 15
1993 26 97 412 339 58 100 21 0 17 58 12 2 58 68 .295 .405 .507 .913 172 4 9 0 6 7
1994 한화 27 79 283 243 33 65 11 3 10 34 5 1 36 60 .267 .365 .461 .826 112 1 2 1 1 5
1995 28 126 498 420 77 137 25 4 22 78 8 9 68 63 .326 .424 .562 .986 236 6 6 4 6 16
1996 29 90 340 289 50 77 18 0 15 57 8 4 37 63 .266 .368 .484 .852 140 2 11 0 3 6
1997 30 121 499 427 74 125 27 1 22 76 15 8 63 76 .293 .385 .515 .900 220 9 4 0 5 8
1998 31 118 489 437 60 120 17 1 17 66 3 5 41 69 .275 .344 .435 .778 190 13 7 0 4 5
1999 32 126 531 465 80 132 31 2 27 86 4 4 54 93 .284 .365 .533 .899 248 11 8 0 4 0
2000 33 127 512 447 66 118 19 0 28 81 1 3 52 114 .264 .354 .494 .848 221 15 11 0 2 5
2001 34 120 421 366 55 100 16 0 15 54 11 4 45 87 .273 .356 .440 .796 161 7 4 2 4 4
2002 35 101 331 302 38 75 15 0 12 42 2 2 24 88 .248 .306 .417 .723 126 1 2 1 2 1
2003 36 83 234 206 21 50 8 1 6 24 1 3 21 56 .243 .317 .379 .696 78 5 2 4 1 1
2004 37 70 165 153 21 39 10 0 6 27 0 1 10 31 .255 .301 .438 .739 67 4 0 2 0 0
2005 38 7 11 11 1 1 0 0 1 1 0 0 0 3 .091 .091 .364 .455 4 0 0 0 0 0
KBO 통산 : 19년 1950 7374 6292 1043 1771 331 25 340 1145 122 80 866 1354 .281 .377 .504 .881 3172 110 131 26 59 86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각주편집

  1. 장종훈 (2007년 9월 11일). “[장종훈의 영원한 홈런왕]실수,그 이후가 더 중요하다”. 이데일리. 2020년 1월 7일에 확인함. 
  2. 이정혁 (2004년 6월 13일). “[히어로] 그랜드슬램 한화 장종훈”. 스포츠조선. 2020년 1월 7일에 확인함. 
  3. 장종훈 (2007년 9월 11일). “[장종훈의 영원한 홈런왕]실수,그 이후가 더 중요하다”. 이데일리. 2020년 1월 7일에 확인함. 
  4. 윤욱재 객원기자 (2008년 2월 26일). “[야구의 재발견] 사람을 움직이고 팀을 살리는 '믿음의 야구'. 마이데일리. 2020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