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張夏, 생몰년 미상)는 고려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었다. 본관은 결성이다.

1355년(공민왕 4년) 에 과거에 합격하고 홍건적 토벌에 참여하였다. 그 뒤 종2품인 문하평리(고려사)를 거쳐 결성군에 봉군되었고, 정2품인 평장사를 지냈다. 고려 말 혼돈 속에서도 고려왕조를 지키려 애썼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하고 결성 박철동에 은거하여 평산서원을 짓고 살면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조선 건국 후 이성계에 의한 여러 차례의 회유에도 굴하지 않고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킴으로써 유명하다.

생애

편집

관료 생활

편집

아버지는 용문(用文), 조부는 열(悅), 증조부는 호장(戶長) 갑(甲), 고조부는 원백(元伯)이다.[1]

1355년(공민왕4년) 예부시 동년록 동진사(同進士)시험에 합격 하여 과거 급제자가 되었다. 그 뒤 관직에 올라1361년(고려 공민왕 10년) 전의감주부(典儀監注簿)로 재직 중 중국홍건적 10만이 고려를 침공할 때, 최영, 안우, 이방실, 김득배 등과 함께 홍건적 토벌에 참여하였다. 홍건적이 물러가자 그는 개경을 수복한 공으로 훈(勳) 2등공신에 책록되고 은청광록대부(銀靑光錄大夫)로 승진했다. 그 뒤 밀직부사, 밀직제학을 거쳐 한성부 부윤이 되었다가 다시 서경유수로 부임하였다.

고려 말

편집

그 뒤 경상도 도관찰출척사로 나갔다가 문하평리(門下評理)로 승진했다. 1392년(공양왕 2년) 윤이(尹彛), 이초(李初)의 옥사에 이색, 우현보 등과 함께 연루 되었다가 역성혁명파의 맹공격을 당했으나 무혐의로 풀려났다.

고려 멸망 이후

편집

조선 개국직전 1391년 초 이성계가 평장사(정2품)와 결성군 봉군 제수를 조건으로 조선 개국에 동참 할 것을 요구 하였으나 공(公)이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忠節)을 지키며 끝내 응하지 않고 거절하였다. 고려가 망하게 됨을 한탄하며 충남 홍성 박철동(博哲棟)에 은거하면서 평산서원(平山書院)을 짓고 후학을 가르치며 여생을 보냈다. 1399년에 향년 84세로 사망하였다.

기타

편집

설산 장덕수와 언론인 장덕진, 독립운동가 장덕준 형제는 손자 유온(有溫)의 후손이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고려사
  • 고려사절요
  • 성씨와 본관 2011.01.14 한국학 중앙연구원
  • 고려충신 장하 평전


각주

편집
  1.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