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운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7월) |
적운(積雲)은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으로 쌘구름 또는 뭉게구름(문화어: 더미구름)이라고도 한다.
햇빛에 비친 부분은 하얗게 빛나며, 구름 밑면은 어둡고 편평하다. 구름의 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 약 500m에서 2km에 달하며, 구름 꼭대기까지는 종종 1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구름의 입자는 대부분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으나, 눈송이가 포함되기도 한다. 만약 빙정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적운이 적란운으로 변하기 쉽다.
대부분 여름철에 지면이 가열되어 상승기류에 의해 생긴다.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며 기온가 낮아지는데, 건조 단열 감률에 의해 100m 당 1℃씩 기온이 낮아지고, 이슬점은 이슬점 감률에 의해 100m 당 0.2℃ 낮아진다. 이슬점과 기온이 같아지면 응결이 일어나 적운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는 비가 오지 않으나, 비가 오더라도 그 양은 매우 적은 편이다. 이러한 적운은 아침에 나타나기 시작해 낮동안 발달하고 저녁이 가까워지면서 사라지지 않는다
사진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이 글은 날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