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감수율

(전기화율에서 넘어옴)

전기(전자기)에서 전기 감수율[1] (electric susceptibility, ; Latin: susceptibilis "receptive") 또는 전기화율[2]은 인가된 전기장에 반응하는 유전체 물질의 편극 정도를 나타내는 무차원 비례 상수이다. 전기 민감도가 높을수록 재료가 자기장에 반응하여 분극하는 능력이 커져 재료 내부의 총 전기장이 감소하고 에너지가 저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민감도는 물질의 전기적 유전율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커패시터의 용량부터 빛의 속도까지 해당 매체의 다른 많은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3][4]

선형 유전체의 정의

편집

유전체[5](dielectric) 또는 절연체[6] 물질이 선형 유전체(linear dielectric)인 경우 전기 감수율은

 

가 되도록 유도된 유전체 편극 밀도 P전기장 E를 연관시키는 비례 상수(텐서일 수 있음)로 정의된다.[7][8]

  •  는 편광 밀도이다.
  •  자유 공간의 유전율(전기 상수)이다.
  •  는 전기 민감도이다.
  •  는 전기장이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한국물리학회 물리학용어집 https://www.kps.or.kr/content/voca/search.php?et=en&find_kw=electric+susceptibility
  2. 대한화학회 화학술어집 https://new.kcsnet.or.kr/?act=&vid=&mid=cheminfo&wordfield=eng&word=electric+susceptibility
  3. 〈Electric susceptibility〉. 《Encyclopædia Britannica》. 
  4. Cardarelli, François (2000–2008). 《Materials Handbook: A Concise Desktop Reference》 2판. London: Springer-Verlag. 524 (Section 8.1.16)쪽. doi:10.1007/978-1-84628-669-8. ISBN 978-1-84628-668-1. 
  5. 한국물리학회 물리학용어집 https://www.kps.or.kr/content/voca/search.php?et=en&find_kw=dielectric
  6. 대한화학회 화학술어집 https://new.kcsnet.or.kr/?act=&vid=&mid=cheminfo&wordfield=eng&word=dielectric
  7. Griffiths, David J (2017).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4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1–190쪽. 
  8. Freeman, Richard; King, James; Lafyatis, Gregory (2019). 〈Essentials of Electricity and Magnetism〉. 《Electromagnetic Radi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oso/9780198726500.003.0001. ISBN 978-0-19-8726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