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나무
전나무(학명: Abies holophylla, 영어: needle fir 또는 Manchurian fir, 문화어: 저수리)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큰키나무이다. 젓나무라고도 쓴다.
![]() | |
---|---|
화순 만연사 들머리에 서 있는, 800년 된 전나무(2009년 8월)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군: | 구과식물문 |
강: | 구과식물강 |
목: | 구과목 |
과: | 소나무과 |
속: | 전나무속 |
종: | 전나무 |
학명 | |
'Abies holophylla' | |
Maxim. 1866 | |
보전상태 | |
특징편집
높이 20~40m, 지름 1.5m 가량으로 고산지대에서 잘 자란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도는 암갈색으로 거칠며 비늘조각 모양이다. 작은 가지는 회갈색이고 얕은 홈이 있다. 겨울눈은 난형이고 털이 없으나 수지가 약간 있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 4cm, 너비 2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백색 기공선이 있고, 횡단면에는 수지구(樹脂溝)가 있다. 수꽃이삭은 원통형이며 길이 15mm로서 황록색이고 꽃줄기는 길이 4.5mm이다. 암꽃이삭은 2-3개가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길이 3.5cm로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 6mm 정도의 꽃줄기가 있다. 구과(毬果)는 원통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열매지름(과경)은 길이 7mm이다. 종자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2mm, 너비 6mm로서 연한 갈색이고 날개는 길이 13.5mm, 너비 12mm이다. 4월 하순에 꽃이 피며 열매는 10월 상순에 익는다. 또 오염에 약해 공해가 심한 곳에서는 잘 심지 않는다.
쓰임새편집
줄기는 마디 없이 곧게 자라서 목재와 크리스마스 트리로도 쓴다. 목재는 잘 썩지 않아서 펄프원료나 건축자재·가구재료로 많이 이용한다. 잎은 끓여서 이로운 물질만 뽑아 액체로 만들어 약으로 쓴다. 류머티즘이나 감기에 걸렸을 때 그 액체를 물에 타서 목욕을 하면 낫는다. 또 이것을 졸인 것은 피를 멎게 하는 약으로 쓴다.
문화재편집
사진편집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전나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 글은 구과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