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붓꽃
붓꽃과에 속하는 꽃
제비붓꽃(Iris laevigata)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인 붓꽃과의 여러해살이꽃이다.[1][2]
![]() | ||||||||||||||
![]() Iris laevigata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Iris laevigata Fisch. |
특징편집
다년생 초본인 제비붓꽃의 줄기는 높이 50~120cm까지 자라며, 줄기 기부에서 두줄로 폭 2~3cm이다. 잎은 포 2~3cm, 길이 40~60cm이다. 5~6월에 피는 꽃은 3개씩 피며 보라색이다. 7~8월에 열매가 익으며 형태는 타원형이고, 씨앗은 윤기나는 갈색이다.[1][2]
꽃말편집
제비붓꽃의 꽃말은 우아한 심정 또는 행운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1]
분포지역편집
제비붓꽃은 북반구 온대에 약 200종, 대한민국에는 14종이 자란다. 습지에서 자라며 지리산, 일본,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아무르, 우스리, 분포한다.[1][2][3][4]2012년부터 3년간 러시아 생물학토양연구소와 러시아 프리모스키 넘서 지역 식물상에 관한 공동 연구를 통해 한국 멸종 위기 식물들이 두만강 유역에서 다수 발견되었는데 그중에 제비붓꽃도 있었다.[5]
쓰임새편집
제비붓꽃은 관상용으로 쓰이며, 원예 품종이 많다.[2]
갤러리편집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한국화재식물도감, 제비붓꽃”. 2015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두산백과, 제비붓꽃”. 2015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자연지리정보관 : 동식물, 제비붓꽃”. 2015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제비붓꽃”. 2015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박, 현영 (2015년 11월 29일). “두만강서 우리나라 멸종위기 식물 다수 발견…제비붓꽃·독미나리 등”. 2015년 12월 7일에 확인함.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