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리표
제자리표(♮)는 '내추럴'(natural)이라고도 불리며, 기본 음(원음)을 연주하라는 뜻의 기호다.
♮ | |
---|---|
제자리표 | |
유니코드에서 | U+266E (HTML : ♮) |
제자리표 표시는 소문자 비(b)를 각지게 쓴 것에서 유래 됐다. 고대에 내림표로 변화되지 않은 제자리 음의 B음을 나타내기 위해 그렇게 표시한 것이다. 그러다 세월이 흘러 다른 음에 붙어도 그 음을 제자리 음(원음)으로 연주하는 기호가 됐다. 의외로 올림표보다 먼저 나온 기호이기도 하다.
예시 편집
조표나 임시표로서 쓰일 수 있다. 아래는 A 음표에 임시표로 제자리표가 붙어 있는 예시다.
제자리표가 붙은 음은 그 전에 붙었던 다른 조표나 임시표가 취소되고, 기본 음(원음)으로 되돌아가는 효력을 받는다. 특히, 내림표(♭)나 올림표(♯)에 의해 반음만큼 변화된 음을 제자리로 돌릴 때 종종 발견된다.
제자리표의 음은 일반적인 변화되지 않은 기존의 "A, B, C, D, E, F, G" 음, 바로 기본 음(원음)이다.[1]
표기 편집
제자리표가 조표로 쓰일 때는 기본적으로 조표 자리의 해당 기호[2]를 각각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조성이 바뀌거나 내림표/올림표 등 다른 기호의 효력을 받지 않는 한 마디와 옥타브에 관계없이 계속 그 음에 적용된다.
전조 시 제거되는 기호가 있다면 보통은 원칙적으로 표기해야 한다. 원칙대로라면 그 자리에 해당 내림표나 올림표를 취소해 주는 제자리표를 기보해야 한다. 아래는 내림가장조에서 바장조로 전조하는 예다.
이 경우 먼저 기존 조표에서 취소되는 내림표나 올림표 자리에 제자리표를 쓴 다음에 새로운 조표를 쓰거나 그 순서를 바꿔서 표기하는 것이다. 순서를 바꾸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새로운 조표를 먼저 쓴 다음에 취소되는 내림표나 올림표 자리에 제자리표를 쓰는 것이다.
(참고로 조표가 없는 조로 전조 시엔 이전 조표의 모든 내림표나 올림표의 자리에 제자리표를 쓰면 된다.)
단, 다음 예시의 D음처럼, 조표 자리의 제자리표와 다른 기호가 한 음에 같이 붙었을 경우 그 음에서 제자리표 기호는 무시되고 무조건 새로운 조표의 기호만 적용된다. 그리고, 내림표 조성에서 올림표 조성으로 바뀌거나 그 반대일 경우엔 순서상 항상 제자리표 계열을 먼저 기보한다.
그리고 그 이후로 악보의 행이 바뀐 이후로는 쓰였던 제자리표가 생략돼서 표기된다.
다만, 존 파울즈의 A World Requiem처럼 특수한 경우나 비공식 악보 사보, 혹은 특정 텍스트 표기 시 등엔 원칙과 달리 가독성 개선, 작성시간 단축 등을 이유로 조표가 없는 조 외의 조로 전조 시 새로운 조표 자리에서 간혹 제자리표의 모습을 생략하기도 한다.[3]
임시표로 쓰일 때에는 음표 머리의 왼쪽에 쓴다.
임시표로서 쓰이면 그 마디 내 같은 높이에서 제자리표 이후의 해당 음에 제자리표가 적용 돼 제자리 음(즉, 기본 음)을 연주한다. 다만, 조표와는 달리 음이름은 같지만 마디나 옥타브가 다른 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특히 임시표일 경우엔 조표나 다른 기호 등이 모두 무시되며, 무조건 기본 음(원음)을 기준으로 읽는다. 같은 마디 내 같은 옥타브에서 임시표로 쓰인 제자리표의 효력을 없애려면 내림표(♭), 올림표(♯) 등의 다른 임시표를 사용한다.
겹제자리표 편집
겹제자리표 혹은 더블 내추럴(double nautural)은 제자리표 두 개가 나란히 모인 기호다.[4][5] ♮♮로 표기한다.
이전엔 겹내림표, 겹올림표에 의해 변화된 음을 원음으로 되돌릴 때 겹제자리표가 쓰이는 관습이 있었지만,[5] 대략 1800년대 이후로는 가독성과 작성시간 등을 고려해서 ♮ 처럼 하나의 제자리표를 사용하는 것도 용인 됐다.
이와 비슷하게 이전에 겹내림표, 겹올림표가 붙은 음을 내림표, 올림표의 음으로 바꿀 때 ♭, ♯ 대신 (♮♭ 혹은 ♭♮)[6], (♮♯ 혹은 ♯♮)[7]가 쓰이는 관습이 있었지만, 대략 1800년대 이후로는 가독성과 작성시간 등을 고려해서 ♭, ♯로 표기하는 것도 용인 됐다.
기타 편집
- 전조 시 조표의 내림표/올림표가 겹내림표/겹올림표로 바뀌는 음이 있다면 그 자리에 제자리표를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겹내림표/겹올림표가 취소되는 음이라면 그 음이 내림표/올림표로 바뀜과 상관없이 해당 자리에 원칙적으로 제자리표를 표기해야 하며, 릴리폰드에서도 기본적으로 아래 그림처럼 제자리표가 표기된다. 존 스텀프의 Prelude and the Last Hope처럼 취소되는 기호 자리에 제자리표 대신 겹제자리표를 사용한 경우도 드물게 있다.
- 조표가 적용된 음에 임시표로 제자리표를 붙였다가 그 마디 내 같은 높이에서 조표와 일치하는 임시표를 붙였을 땐 몇몇은 "제자리표의 효력을 없앤다"는 해석보다는 "다시 본래 음(조표의 음)을 치기 위해 붙인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바로, 조표가 없는 조성의 자연 음계에 해당하는 음들이자 피아노에서 흰 건반인 음들이다. 페달 하프에서는 해당 음의 페달이 가운데 위치에 있을 경우에 이러한 제자리 음(즉, 기본 음)이 된다.
- ↑ 예: 내림표/올림표
- ↑ John Foulds: A World Requiem, pp. 153ff.: Scores -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IMSLP)
- ↑ “네이버 사전”. 《ko.dict.naver.com》. 2023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OnMusic Dictionary - Term”. 《www.music.vt.edu》. 2020년 7월 20일에 확인함.
- ↑ '제자리내림표, 내추럴 플랫' 혹은 '내림제자리표, 플랫 내추럴'
- ↑ '제자리올림표, 내추럴 샤프' 혹은 '올림제자리표, 샤프 내추럴'
- ↑ Max Reger: Clarinet Sonata No.2 (Complete Score), pp. 33.: Scores -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IMSLP)
- ↑ Wen, Eric (2011). “E-quadruple flat: Tovey’s Whimsy.”. 《Zeitschrift der Gesellschaft für Musiktheorie 8/1》 (독일어): 77–89. doi:10.31751/612.
- ↑ Chopin: Études No. 9, Op.10 (C.F. Peters), pp. 429.: Scores -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IMSLP)
이 글은 음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