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삼양동 유적

제주 삼양동 유적(濟州 三陽洞 遺蹟)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동 일대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진행되던 당시에 발견된 선사시대 유적이다. 1999년 11월 16일 사적 제416호로 지정되었다.

제주 삼양동 유적
(濟州 三陽洞 遺蹟)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사적
종목사적 제416호
(1999년 11월 16일 지정)
면적18,363m2
시대선사시대
위치
주소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선사로2길 13, 외
(삼양일동)
좌표북위 33° 31′ 24″ 동경 126° 35′ 16″ / 북위 33.52333° 동경 126.58778°  / 33.52333; 126.58778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제주 삼양동 유적은 제주시 삼양동 일대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진행되던 당시에 발견된 선사시대 유적이다.

1997년 4월부터 1999년 7월에 걸쳐 제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동기-초기철기시대를 전후한 시기의 집터 200여 곳을 비롯하여 돌을 쌓아 만든 담장, 쓰레기를 버리던 폐기장, 마을의 외곽을 두르고 있던 도랑 자리가 있는 큰 규모의 마을 유적이 확인되었다. 집 터는 14기만 움집 형태로 복구되었다.

집터 내부에서는 토기류(구멍띠토기, 덧띠무늬토기[점토대토기]), 적갈색항아리 등)와 석기류(돌도끼, 대패, 갈돌, 숯돌 등), 철기류(철제도끼, 손칼), 청동기류(동검, 칼자루끝장식[검파두식] 등), 불에 탄 곡식류(콩, 보리)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됨에 따라 제주도 청동기시대 후기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주도에서 생산되지 않았던 중국계 유물로 알려진 옥환, 요령식동검편, 유리옥과 철기류들이 출토되고 있어 삼양동 사람들이 한반도를 비롯한 외부지역과도 활발히 교류하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명칭 변경

편집

원래 이름은 '제주삼양동선사유적'이었으나, 201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각주

편집
  1. 문화재청고시제2011-116호 Archived 2017년 11월 9일 - 웨이백 머신,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7560호, 392-412면, 2011-07-28

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 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