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신 대통령
독재 체제
이 문서에 삭제가 신청되었습니다. 이 문서는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거나 위키백과의 삭제 정책에 해당한다고 판단되어 관리자에게 삭제가 신청되었습니다. 신청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잘못된 삭제 신청이거나, 삭제 신청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면 삭제 틀을 떼도 됩니다. 단, 자신이 만든 문서에 대한 삭제 신청은 스스로 틀을 떼어서는 안 됩니다. 삭제 신청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할 경우, 삭제 신청 틀 아래에 {{삭제 신청 이의}}를 추가하고, 아래의 버튼을 통해 이 문서의 토론 문서에 삭제 신청에 대한 의견을 남길 수 있습니다. 문서 역사를 참고하여 해당 문서의 작성자나 주 편집자의 사용자 토론 문서에 아래 내용을 넣어 삭제 신청 사실을 알려 주세요.
|
종신 대통령(終身 大統領)은 일부 독재국가에서 임기가 종신직이거나, 정해진 임기가 있더라도 선출 횟수의 제한이 없으면서 지위를 도전받을 가능성이 없는 직위를 말한다.
아시아편집
대한민국편집
박정희는 유신헌법을 통해 대통령이 임명하는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간선제로 대통령을 선출하게 함으로써 실질적인 종신 대통령에 올랐다.
베트남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김일성 일가는 살아있는 동안 임기가 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국무위원장 등의 직위를 통해 북한을 통치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선출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종신 통치자에 오른 것으로 간주된다.
- 김일성 (공화국의 영원한 주석)
- 김정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실상 제2대 국가원수
- 김정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3대 통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