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저(周佇: 미상~1024년 7월 2일(음력 5월 24일))는 송나라 온주 태생의 고려문신이다.

이력 편집

  • 생년: 미상.
  • 1005년(목종 8): 장삿배를 따라서 옴. 그의 재주를 눈여겨본 채충순이 왕에게 건의해 예빈주부(禮賓主簿)로 임명받음.[1][2] 그 뒤 몇 개월도 안 되어 습유(拾遺) 벼슬을 받았고 마침내 제고(制誥)를 받음.[2]
  • 1011년(현종 2): 현종이 거란을 피해 남쪽으로 피난을 갔을 때 하공진이 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모두가 뿔뿔이 도망쳤지만 시랑(侍郞) 충숙(忠肅), 장연우, 채충순(蔡忠順), 김응인(金應仁) 등과 함께 왕의 곁을 지킴.[3] 이 공으로 그는 몇 단계를 뛰어 넘어 예부시랑(禮部侍郎), 중추원(中樞院) 직학사(直學士)가 됨.[4][2] 또한 과거 시험에 호명(糊名)[5] 방식을 채택할 것을 건의함.[6]
  • 1013년(현종 4): 수찬관에 임명됨.[7]
  • 1014년(현종 5): 지공거로서 과거 시험을 주관함.[8]
  • 1015년(현종 6): 〈본국 입송 진봉 기거 표〉를 지음.[9]
  • 1018년(현종 9): 우상시(右常侍)가 됨.[10]
  • 1021년(현종 12) 6월에는 한림학사(翰林學士) 승지(承旨)가 되었으며,[11], 같은 달에 숭문보국공신(崇文輔國功臣)·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상주국(上柱國)·해남현(海南縣)[12] 개국남(開國男)으로 봉해졌고, 식읍 3백 호를 받음.[13][2] 8월에는 〈현화사비〉의 비문을 지음.[14]
  • 1022년(현종 13): 예부상서(禮部尙書)가 됨.[15]
  • 1024년(현종 15): 7월 2일(음력 5월 24일)에 죽음.[16]

작품 편집

  • 〈본국 입송 진봉 기거 표〉(《동인지문 사륙》에 수록)
  • 〈진봉표〉(위와 같음)
  • 〈현화사비〉

전기 자료 편집

  • 《고려사》 권94, 〈열전〉7, 주저

참고 자료 편집

  • 《고려사》
  • 《고려사절요》
  • 《동인지문사륙》

각주 편집

  1. 《고려사》 권3, 〈세가〉3, 목종 8년(1005년)
  2. 《고려사》 권94, 〈열전〉7, 주저
  3.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2년(1011년) 1월 3일(정축)
  4.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2년(1011년) 1월 29일(계묘)
  5. 과거 시험지에 답을 쓴 사람을 알 수 없게 하는 것.
  6. 《고려사》 권73, 〈선거지〉1, [과목]1, 현종 2년(1011년). 단 여기서 '起'는 '佇'의 잘못이다.
  7.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4년(1013년) 9월 27일(병진)
  8. 《고려사》 권73, 〈지〉27, [선거1], 과목1, 현종 5년(1014년) 4월
  9. 이 표문은 《동인지문 사륙》 권2에 실려 있다.
  10.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9년(1018년) 6월 8일(기해)
  11.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12년(1021년) 6월 23일(정묘)
  12. 〈현화사비〉에는 汝南縣으로 되어 있다.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 주마뎬시 루난현이다. 여남 주씨(汝南 周氏)는 중국에서 이름난 사람을 다수 배출했다. 여남 주씨 참조.
  13. 《고려사절요》 권3, 현종 12년(1021년) 6월
  14.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12년(1021년) 8월 16일(기미)
  15.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13년(1022년) 10월 25일(신유)
  16. 《고려사》 권5, 〈세가〉5, 현종 15년(1024년) 5월 24일(경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