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시왕도
위키미디어 동음이의어 문서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는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하여, 명부에 있는 10명의 시왕을 함께 그린 불교 탱화를 일컫는다. 보통 지장보살, 도명존자, 무독귀왕의 지장삼존과 4~8위의 보살, 사천왕 등의 화엄성중, 시왕을 함께 그린 것이다.[1]

문화재
편집- 가평 현등사 지장시왕도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경기 가평군
- 남양주 봉영사 지장시왕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6호, 경기 남양주시
-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 보물 제1773호, 대구 동구
-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 보물 제1856호, 대구 남구
- 보은 보은사 지장시왕도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충북 보은군
- 부산 복천사 지장시왕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1호, 부산 영도구
- 부산 안적사 지장시왕도 :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9호, 부산 기장군
- 서울 개운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15호, 서울 성북구
- 서울 경국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0호, 서울 성북구
- 서울 미타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9호, 서울 성북구
- 서울 보문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0호, 서울 성북구
- 서울 봉국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2호, 서울 성북구
- 서울 사자암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00호, 서울 동작구
- 서울 안양암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17호, 서울 종로구
- 서울 연화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46호, 서울 동대문구
- 서울 염불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51호, 서울 노원구
- 서울 지장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7호, 서울 동작구
- 서울 청룡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01호, 서울 종로구
- 서울 흥천사 지장시왕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68호, 서울 성북구
- 영광 불갑사 지장시왕도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08호, 전남 영광군
- 의성 정수사 지장시왕도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2호, 경북 의성군
- 지장시왕도 : 보물 제1048호, 서울 호림박물관 소장
- 지장시왕도 : 보물 제1994호, 서울 호림박물관 소장
- 합천 해인사 국일암 지장시왕도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48호, 경남 합천군
- 합천 해인사 지장시왕도 : 보물 제1799호, 경남 합천군
- 홍천 수타사 지장시왕도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3호, 강원 홍천군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이, 분희 (2021년 11월 6일). “[사찰성보문화재 50選] <31>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2월 8일에 확인함.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장보살과 시왕(十王)을 함께 그린 것이다. 지장보살을 그린 불화의 형식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지장보살을 단독으로 그린 지장보살독존도와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을 함께 그린 지장보살삼존도, 그리고 지장보살삼존과 4~8위의 보살 및 사천왕 등을 함께 그린 지장보살도와 시왕을 함께 그린 지장시왕도로 크게 구분한다.
이 글은 불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미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