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池淨, ?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 정치인이다.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희용(希容), 호는 우송당(友松堂)이다. 우의정 정분(鄭苯)의 조카이다. 조순생(趙順生)·이석정(李石貞) 등과 함께 안평대군 이용의 당원(黨援)이었다.

지정
池淨
사망1453년
성별남성
국적조선
직업무신, 정치인

생애

편집

1438년(세종 20년) 함길도 경력(經歷),[1] 1440년 회령(會寧) 첨절제사(僉節制使) 겸 판관(判官)을 지내고,[2] 1444년(세종 26) 삼군진무(三軍鎭撫)로서 경상도선위관에 차견(差遣)되어 왜구의 침입으로 소란된 민심을 무마시켰다.

1448년 지태안군사(知泰安郡事)로 파견되었고, 1450년(문종 즉위년)에 입조하여 특지로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에 발탁되었으며, 1451년 첨지중추부사가 되면서 정평도호부사(定平都護府使)를 겸직하였다.[3]

1453년(단종 1) 충청도병마절도사에 제수되어 부임을 기다리던 중 계유정난이 일어나면서 수양대군(首陽大君)일파에 의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과 반역을 도모하였다.”고 논죄되어 전라도 영암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그 해 조수량(趙遂良)·안완경(安完慶)·이양(李穰)·민신(閔伸) 등과 함께 교살되었다.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

각주

편집
  1. 『세종실록』 81권, 20년(1438 무오 / 명 정통(正統) 3년) 4월 28일(신사) 4번째기사
  2. 『세종실록』 90권, 22년(1440 경신 / 명 정통(正統) 5년) 7월 17일(정사) 1번째기사
  3. 『문종실록(文宗實錄)』 5권, 1년(1451 신미 / 명 경태(景泰) 2년) 1월 23일(계해) 3번째기사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