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포스

지포스(GeForce)는 엔비디아가 설계한 개인용 컴퓨터의 그래픽 칩셋의 상표이다. 첫 지포스 제품들은 상당수의 컴퓨터 게임 커뮤니티를 위해 설계되었지만 이후 제품의 생산 라인은 저가부터 고가의 그래픽카드 시장 진출을 위해 확대되었다.
![]() | |
제조업체 | 엔비디아 |
---|---|
도입일 | 1999년 8월 31일 |
유형 | 소비자용 그래픽 카드 |
브랜드명의 기원편집
"지포스"라는 이름은 1999년 엔비디아에서 주관한 "Name That Chip"이라는 공모전에서 채택된 이름이다. 당시 엔비디아는 새로운 RIVA TNT2 후속 그래픽 보드의 이름을 공모로 채택하려 했고, 12,000명의 후보 가운데 7명을 선발, "RIVA TNT2 Ultra"를 상품으로 주었다. [1][2]
세대편집
1999 | 지포스 256 |
---|---|
2000 | 지포스 2 시리즈 |
2001 | 지포스 3 시리즈 |
2002 | 지포스 4 시리즈 |
2003 | 지포스 FX 시리즈 |
2004 | 지포스 6 시리즈 |
2005 | 지포스 7 시리즈 |
2006 | 지포스 8 시리즈 |
2007 | |
2008 | 지포스 9 시리즈 |
지포스 200 시리즈 | |
2009 | 지포스 100 시리즈 |
지포스 300 시리즈 | |
2010 | 지포스 400 시리즈 |
지포스 500 시리즈 | |
2011 | |
2012 | 지포스 600 시리즈 |
2013 | 지포스 700 시리즈 |
2014 | 지포스 800M 시리즈 |
지포스 900 시리즈 | |
2015 | |
2016 | 지포스 10 시리즈 |
2017 | |
2018 | 지포스 20 시리즈 |
2019 | 지포스 16 시리즈 |
2020 | 지포스 30 시리즈 |
- 지포스 FX 시리즈
- 2003년 1월 출시.
- 지포스 100 시리즈
- 2009년 3월 출시.
- 지포스 200 시리즈
- 2008년 6월 16일 출시.
- 지포스 300 시리즈
- 2009년 11월 27일 출시.
- 지포스 400 시리즈
- 2010년 4월 12일 출시.
- 지포스 500 시리즈
- 2010년 11월 21일 출시.
- 지포스 600 시리즈
- 2012년 3월 23일 출시.
- 지포스 700 시리즈
- 2013년 5월 출시
- 지포스 900 시리즈
- 2014년 9월 출시
- 지포스 10 시리즈
- 2016년 5월 출시
- 지포스 20 시리즈
- 2018년 8월 출시
- 지포스 16 시리즈
- 2019년 2월 출시
- 지포스 30 시리즈
- 2020년 9월 출시
지포스 MX편집
지포스 MX(Geforce MX)는 엔비디아사의 지포스 256에서 지포스 4사이의 저가형 그래픽 카드 상표이다. 초기의 지포스 제품은 컴퓨터 게임 시장에서 고가의 디자인으로 판매되었지만 그 뒤에 제품의 낮은 가격대부터 고가 모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의 상표로 사용되었다. 이를테면 지포스 256, 지포스 2, 지포스 3, 지포스 4에 MX 모델이 채용되었다.
모바일 칩셋편집
지포스 2 이후로 엔비디아는 지포스 고(GeForce Go)라는 브랜드로 노트북 컴퓨터에 맞춰 수많은 그래픽 칩셋을 생산해왔다. 데스크톱 환경에 존재하는 기능의 대부분이 모바일에서도 지원된다. 그러나 이러한 GPU들은 데스크톱과 호환되지 않는다. 나중에 엔비디아는 모바일 칩셋에 대한 지포스 8 기반의 GPU라는 이름을 지포스 8M 시리즈로 새로이 바꾸었다.
제품 이름 지정 계획편집
지포스 5 시리즈 ~ 지포스 10 시리즈편집
- 이 계획은 지포스 5 이상의 시리즈 비디오 카드에만 해당되지만, 지포스 4 이전의 카드들도 비슷한 방식을 따르고 있다.
- 1: 접미사로 붙는 것은 성능 계층을 말해 주며 성능이 낮은지 높은지를 나열한다.
숫자 범위 (50 단계) |
분류 | 접미사1 | 가격 범위 (단위: 달러) |
셰이더 양² | 메모리 | 출력 | 제품 예 | ||
---|---|---|---|---|---|---|---|---|---|
종류 | 너비 (비트) | 크기 (메가바이트) | |||||||
000-400 | 보급형 | LE, GS, GT | ≤$150 | ≤25% | DDR2 | 64 또는 128 | ≤512 메가바이트 | VGA/DVI | 지포스 7300GS, 지포스 6200 |
500-700 | 메인스트림 | LE, GS, GT, GTS | $100-$300 | 25%-50% | DDR2, GDDR3 | 128 또는 256 | 256 메가바이트-512 메가바이트 | VGA/DVI 2 개의 DVI |
지포스 6600GT, 지포스 8600GTS, |
800-1000 | 하이엔드급 | GS, GT, GTS, GTX, GX2, Ultra | ≥$200 | 75%-100% | GDDR3 또는 GDDR4 | ≥256 | ≥256 메가바이트 | VGA/DVI 2 개의 DVI HDMI |
지포스 8800 Ultra, 지포스 7950 GX2, 지포스 9800GTX/Ultra |
새로운 세대가 나오면, 이전 세대의 비디오 카드들은 지위에서 물러나게 된다. 다시 말해, 지포스 8800 GTX (현재의 고가 카드)가 공개되었을 때, 지포스 7900 GTX (이전의 고가 카드)는 중급 카드로 전락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 이렇게 떨어지는 정도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지포스 7950 GX2는 여전히 지포스 8800 GTX에 필적하는 고가 카드로 여겨진다.
지포스 100 시리즈 이후편집
지포스 100 시리즈부터는 지포스 + 접두사 + 숫자 + 접미사(지포스 400 시리즈 이후 일부 제품에만)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접두사는 RTX, GTX, GTS, GT, G를 사용하며(이 중 GTS 접두사는 지포스 400 시리즈까지만 사용되고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RTX 접두사는 지포스 20 시리즈부터 사용된다.), 각각 고급형, 중급형, 보급형에 속하는 제품이 된다. 지포스 400 시리즈와 500 시리즈는 접미사 SE가 붙으면 그렇지 않은 제품보다 성능이 하향된 제품이며, 지포스 500 시리즈 이후에는 접미사 Ti가 붙으면 그렇지 않은 제품보다 성능이 상향된 제품이다. 숫자는 세자리 수로 구성되며, 백의자리수는 아키텍처나 공정이 바뀔 경우나 필요에 의해서 올라가며(현재 100번대와 300번대는 OEM 제품에 해당한다), 십의자리와 일의자리는 해당 제품군 성능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다.(높은 수일수록 더 좋은 성능을 낸다.)
예시편집
- 지포스 GTX 970 -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지포스 제품 중 고급형에 해당하는 900번대 제품
- 지포스 GTS 450 -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지포스 제품 중 중급형에 해당하는 400번대 제품
- 지포스 GT 630 -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지포스 제품 중 보급형에 해당하는 600번대 제품
- 지포스 RTX 3080 -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지포스 제품 중 고급형에 해당하는 3000번대 제품
같이 보기편집
참조편집
- ↑ “Winners of the Nvidia Naming Contest”. 《Nvidia》. 1999. 2000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Taken, Femme (1999년 4월 17일). “Nvidia "Name that chip" contest”. 《Tweakers.net》. 2007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Shoot To Kill - Forbes.com”. 2007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