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초역
진보초 역(일본어: 神保町駅, じんぼうちょうえき)은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도에이 지하철의 부역명은 센슈 대학 앞이다.
진보초
| |
---|---|
![]() 미타 선 승강장 | |
![]() 신주쿠 선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 ![]() |
소재지 | ![]() 진보초 2초메 |
좌표 | 북위 35° 41′ 45″ 동경 139° 45′ 29″ / 북위 35.695901° 동경 139.758086° |
개업일 | 1972년 6월 30일(도쿄 도 교통국) 1989년 1월 26일(도쿄 지하철) |
역 번호 | I 10(미타 선) S 06(신주쿠 선) Z 07(한조몬 선) |
승강장수 | 2면 2선(신주쿠 선) 1면 2선(미타 선, 한조몬 선) |
거리표 | |
![]() ![]() | |
메구로 기점 9.6 km | |
| |
![]() ![]() | |
신주쿠 기점 5.6 km | |
| |
![]() ![]() | |
시부야 기점 7.1 km | |
|
도에이 지하철 미타 선과 신주쿠 선, 도쿄 메트로 한조몬 선이 지나고 환승역이다. 역 번호는 미타 선이 I 10, 신주쿠 선이 S 06, 한조 몬 선이 Z 07이다.
역 구조편집
한조몬 선의 역은 신주쿠 선 역의 선로 아래에 있고, 환승할 때는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도쿄 도 교통국편집
미타 선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이고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신주쿠 선은 기둥이 있는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미타 선에서 신주쿠 선으로 갈아탈 경우, 신주쿠, 게이오 선 방면(1번 선)으로는 승강장 중앙 부근의 계단을 이용하고, 모토야와타 방면(2번 선)으로는 스이도바시 방향의 통로를 이용한다.
신주쿠 선의 2번 선 개찰구 밖에는 정기권 발매소가 있다.
승강장편집
1 | 신주쿠 선 | 신주쿠・사사즈카・하시모토 방면 |
2 | 신주쿠 선 | 바쿠로요코야마・모토야와타 방면 |
3 | 미타 선 | 오테마치・메구로・히요시 방면 |
4 | 미타 선 | 스가모・다카시마다이라・니시타카시마다이라 방면 |
도쿄 메트로편집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역이다. 승강장과 시부야 방면 개찰구 사이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은 오시아게 방향 쪽 개찰구 내에 있다.
개찰구 건너 편에는 편의점 "내츄럴 로손"이 있다.
당역 ~ 구단시타 역간 거리는 불과 400m이며 이는 한조몬 선 중 가장 짧다.
비상 시에는 구단시타 방향에 건늠선이 있고 행선지 표시에도 진보초 행이 존재한다.
승강장편집
5 | 한조몬 선 | 구단시타·시부야·주오린칸 방면 |
6 | 한조몬 선 | 오시아게·구키·미나미쿠리하시 방면 |
역 주변편집
주변에는 메이지 대학을 비롯하여 학교 외에 고서점과 신간서점이 많이 입지하였고 대학가로 유명하다. "일본의 카르티에 라탱"이라고도 불린다.
역사편집
- 1972년 6월 30일: 미타 선의 역이 영업 개시.
- 1978년 7월 1일: 도영 지하철 6호선이 미타 선으로 노선명 변경.
- 1980년 3월 16일: 신주쿠 선의 역이 영업 개시, 환승역이 됨.
- 1989년 1월 26일: 한조몬 선의 역이 영업 개시.
- 2004년 4월 1일: 도영지하철 민영화.
2006년경부터 도쿄 메트로는 로마자 표기로 장음 부호를 쓰지 않게 되었다. 이전부터 어느 간판류가 Jimbōchō인것에 대하여 이후 설치되어 개정된 것은 Jimbocho로 표기된다.
사진편집
인접역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도쿄 도 교통국 미타 선 | ||
---|---|---|
I 09 오테마치 메구로 방면 |
미타 선 | 스이도바시 I 11 니시타카시마다이라 방면 |
도쿄 도 교통국 신주쿠 선 | ||
S 04 이치가야 신주쿠 방면 |
신주쿠 선 급행 |
바쿠로요코야마 S 09 모토야와타 방면 |
S 05 구단시타 신주쿠 방면 |
신주쿠 선 각역정차 |
오가와마치 S 07 모토야와타 방면 |
도쿄 지하철 한조몬 선 | ||
Z 06 구단시타 시부야 방면 |
한조몬 선 | 오테마치 Z 08 오시아게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