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 에서 계수-퇴화차수 정리 (영어 : rank-nullity theorem )는 행렬 의 상 과 핵 의 차원 의 관계에 대한 정리이다.
계수-퇴화차수 정리의 시각적 표현
사실, 계수-퇴화차수 정리는 벡터 공간 의 제1 동형 정리
V
/
ker
T
≅
im
T
{\displaystyle V/\ker T\cong \operatorname {im} T}
의 자명한 따름정리 이다. 이를 의존하지 않는 한 가지 증명은 다음과 같다.[ 1] :71
dim
V
=
n
{\displaystyle \dim V=n}
이라고 하자.
ker
T
{\displaystyle \ker T}
의 기저
{
v
1
,
v
2
,
…
,
v
r
}
{\displaystyle \{v_{1},v_{2},\dots ,v_{r}\}}
(
r
≤
n
{\displaystyle r\leq n}
)를 취한 뒤, 이를 확장하여
V
{\displaystyle V}
의 기저
{
v
1
,
v
2
,
…
,
v
r
,
v
r
+
1
,
…
,
v
n
}
{\displaystyle \{v_{1},v_{2},\dots ,v_{r},v_{r+1},\dots ,v_{n}\}}
을 만들자. 정리를 증명하려면,
{
T
v
r
+
1
,
T
v
r
+
2
,
…
,
T
v
n
}
{\displaystyle \{Tv_{r+1},Tv_{r+2},\dots ,Tv_{n}\}}
이
im
T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T}
의 기저를 이룸을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이를 보이려면, 다음 두 명제를 증명하기만 하면 된다.
{
T
v
r
+
1
,
T
v
r
+
2
,
…
,
T
v
n
}
{\displaystyle \{Tv_{r+1},Tv_{r+2},\dots ,Tv_{n}\}}
은 선형 독립 이다.
증명:
∑
j
=
r
+
1
n
a
j
T
v
j
=
0
{\displaystyle \sum _{j=r+1}^{n}a_{j}Tv_{j}=0}
이며
a
r
+
1
,
a
r
+
2
,
…
,
a
n
∈
K
{\displaystyle a_{r+1},a_{r+2},\dots ,a_{n}\in K}
라고 하자. 선형 변환의 성질에 따라
T
(
∑
j
=
r
+
1
n
a
j
v
j
)
=
0
{\displaystyle T\left(\sum _{j=r+1}^{n}a_{j}v_{j}\right)=0}
이며,
ker
T
{\displaystyle \ker T}
의 정의에 따라
∑
j
=
r
+
1
n
a
j
v
j
∈
ker
T
{\displaystyle \sum _{j=r+1}^{n}a_{j}v_{j}\in \ker T}
이다.
{
v
1
,
v
2
,
…
,
v
r
}
{\displaystyle \{v_{1},v_{2},\dots ,v_{r}\}}
가
ker
T
{\displaystyle \ker T}
의 기저이므로,
∑
j
=
r
+
1
n
a
j
v
j
=
∑
k
=
1
r
a
k
v
k
{\displaystyle \sum _{j=r+1}^{n}a_{j}v_{j}=\sum _{k=1}^{r}a_{k}v_{k}}
인
a
1
,
a
2
,
…
,
a
r
∈
K
{\displaystyle a_{1},a_{2},\dots ,a_{r}\in K}
가 존재한다. 따라서,
∑
k
=
1
r
a
k
v
k
−
∑
j
=
r
+
1
n
a
j
v
j
=
0
{\displaystyle \sum _{k=1}^{r}a_{k}v_{k}-\sum _{j=r+1}^{n}a_{j}v_{j}=0}
인데,
{
v
1
,
v
2
,
…
,
v
n
}
{\displaystyle \{v_{1},v_{2},\dots ,v_{n}\}}
이
V
{\displaystyle V}
의 기저이므로, 선형 독립이다. 따라서
a
1
=
a
2
=
⋯
=
a
n
=
0
{\displaystyle a_{1}=a_{2}=\dots =a_{n}=0}
이며, 특히
a
r
+
1
=
a
r
+
2
=
⋯
=
a
n
=
0
{\displaystyle a_{r+1}=a_{r+2}=\cdots =a_{n}=0}
이다.
{
T
v
r
+
1
,
T
v
r
+
2
,
…
,
T
v
n
}
{\displaystyle \{Tv_{r+1},Tv_{r+2},\dots ,Tv_{n}\}}
은
im
T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T}
를 선형 생성 한다.
증명:
w
∈
im
T
{\displaystyle w\in \operatorname {im} T}
라고 하자. 그렇다면,
im
T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T}
의 정의에 따라
w
=
T
v
{\displaystyle w=Tv}
인
v
∈
V
{\displaystyle v\in V}
가 존재한다. 이
v
{\displaystyle v}
는 기저
{
v
1
,
v
2
,
…
,
v
n
}
{\displaystyle \{v_{1},v_{2},\dots ,v_{n}\}}
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v
=
∑
i
=
1
n
b
i
v
i
{\displaystyle v=\sum _{i=1}^{n}b_{i}v_{i}}
인
b
1
,
b
2
,
…
,
b
n
∈
K
{\displaystyle b_{1},b_{2},\dots ,b_{n}\in K}
가 존재한다. 따라서
w
=
T
v
=
∑
i
=
1
n
b
i
T
v
i
{\displaystyle w=Tv=\sum _{i=1}^{n}b_{i}Tv_{i}}
인데,
v
1
,
v
2
,
…
,
v
r
∈
ker
T
{\displaystyle v_{1},v_{2},\dots ,v_{r}\in \ker T}
이므로,
T
v
1
=
T
v
2
=
⋯
=
T
v
r
=
0
{\displaystyle Tv_{1}=Tv_{2}=\cdots =Tv_{r}=0}
이다. 즉,
w
=
∑
i
=
r
+
1
n
b
i
T
v
i
{\displaystyle w=\sum _{i=r+1}^{n}b_{i}Tv_{i}}
이다. 즉, 임의의
w
∈
im
T
{\displaystyle w\in \operatorname {im} T}
는
{
T
v
r
+
1
,
T
v
r
+
2
,
…
,
T
v
n
}
{\displaystyle \{Tv_{r+1},Tv_{r+2},\dots ,Tv_{n}\}}
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
T
v
r
+
1
,
T
v
r
+
2
,
…
,
T
v
n
}
{\displaystyle \{Tv_{r+1},Tv_{r+2},\dots ,Tv_{n}\}}
은
im
T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T}
의 기저가 맞으며, 이로써 계수-퇴화차수 정리가 증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