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신동
창신제1동 昌信第1洞 | |
---|---|
로마자 표기 | Changsin 1(il)-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종로구 |
행정 구역 | 14통, 87반 |
법정동 | 창신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8-6 |
지리 | |
면적 | 0.31 km2 |
인문 | |
인구 | 4,847명(2022년 8월) |
세대 | 2,844세대 |
인구 밀도 | 16,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종로구 창신제1동 주민센터 |
창신제2동 昌信第2洞 | |
---|---|
로마자 표기 | Changsin 2(i)-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종로구 |
행정 구역 | 19통, 131반 |
법정동 | 창신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길 62 |
지리 | |
면적 | 0.26 km2 |
인문 | |
인구 | 7,825명(2022년 8월) |
세대 | 4,048세대 |
인구 밀도 | 30,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종로구 창신제2동 주민센터 |
창신제3동 昌信第3洞 | |
---|---|
로마자 표기 | Changsin 3(sam)-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종로구 |
행정 구역 | 14통, 93반 |
법정동 | 창신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87 |
지리 | |
면적 | 0.23 km2 |
인문 | |
인구 | 6,484명(2022년 8월) |
세대 | 2,798세대 |
인구 밀도 | 28,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종로구 창신제3동 주민센터 |
역사
편집지명 유래
편집창신동은 조선 초부터 있었던 한성부의 방 가운데 인창방(仁昌坊)과 숭신방(崇信坊) 일부 지역이었다. 여기서 한 글자씩을 따서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동명으로 삼았다.[1]
옛 지명으로는 자지동(紫芝洞), 홍수동(紅樹洞, 홍숫골), 돌산밑 등이 있다. 자지동은 단종의 비 정순왕후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옷에 보랏빛 물을 들여 내다 팔 때, 그 물을 들이던 샘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지금의 창신3동 북쪽에 해당한다. 홍수동은 조선 시대에 빨간 열매가 열리는 나무가 무성하였다 하여 붙은 이름으로, 지금의 창신2동 서쪽에 해당한다.[2] 홍수동의 방각소에서는 1858년~1861년 전후에 방각소설을 간행하였다.[3] 돌산밑은 창신2동과 3동 사이의 절개지 서쪽 아래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이 절개지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총독부에서 석재를 마련하기 위하여 만들었다.[4]
연혁
편집-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을 아래와 같이 개편함[5]
- 창신동(昌信洞) ← 자지동(紫芝洞) · 정자동(亭子洞) · 성저동(城底洞) · 신촌(新村) · 남교일부(藍橋一部) · 당현동(堂峴洞) · 인수동(仁壽洞) · 복차교(伏車橋) · 홍수동(紅樹洞) · 대정동(大井洞) · 부어정동(鮒魚井洞) · 복차교(伏車橋)
- 1936년 4월 1일: 동(洞)을 정(町)으로 변경[6]
-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동대문구에 배속[7]
- 1946년 10월 1일: 정(町)을 동(洞)으로 변경[8]
- 1955년 4월 18일: 행정동 창신제1·2·3·4동 설치[9]
- 1965년 9월 23일: 창신제3·4동 간 관할 구역 일부 조정[10]
- 1970년 5월 18일: 창신제4동을 폐동하고 창신제1·2·3동으로 조정[11]
- 1975년 10월 1일: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배속[12][13]
- 1980년 7월 1일: 창신제2·3동 간 관할 구역 일부 조정[14]
유적
편집- 한양도성
- 안양암(安養庵): 1926년에 창건된 절로, 창신동 130-1에 위치한다. 불교 문화재가 많아 한국미술박물관의 별관 기능도 하고 있다.
- 비우당(庇雨堂): 하정 류관이 지어 살다가 조선 중기에 지봉 이수광이 기거하던 초가집으로, 이수광은 이 집에서 지봉유설을 집필하였다. 이름의 뜻은, 우산 없이 지내는 사람들을 생각하면서, 집 안으로 새는 비를, 지붕을 고쳐 막지 않고, 우산으로 피하는 집이라는 뜻이다. 원래 위치는 창신동 7-26번지였으며, 현재는 낙산공원 조성과 함께 창신동 9-471로 옮겨 복원되었다.
- 자주동천(紫芝洞泉): 단종의 비 정순왕후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팔던 천을 자주색으로 물들이던 샘이다.
- 좌룡정(左龍亭) 터: 조선 시대 한양에 있던 5대 활쏘기터[射亭] 중 하나였다. 현재 한양도성에 각석이 남아 있다.
- 원흥사(元興寺) 터: 1902년(광무 6년)에 창건된 대한제국 황실의 보리사로 전국의 사원을 총괄하는 절이었다. 현재 이 위치에 서울창신초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 원불교 서울교당 터: 1926년 설립되어 1933년 삼선동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원불교 서울교당이 있었던 곳이다. 창신동 605에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 박수근 집터: 창신동 393-16에 위치하였던 집으로, 화가 박수근이 1952년부터 1963년까지 거주하였다.[15]
- 백남준 생가터: 창신동 197에 위치하였던 9917m2 규모의 한옥으로, 현재는 철거되어 여러 필지로 분할되었다.[15] 2017년 3월 10일, 집터의 일부인 창신동 197-33에 백남준기념관이 개관하였다.[16]
- 김광석 집터: 1975년부터 1990년까지 김광석이 거주한 창신동 130-54의 양옥으로, 사후 2013년까지 부모에 의하여 관리되다가 2015년 11월 2일 매각되었다.[17]
- 임종상 별장 터: 창신동 647[18]에 있던 대규모 한옥으로, 대지 7천평 건평 4백평의 규모로 일명 ‘창신궁’(昌信宮)으로도 불렸다.[19] 일제 강점기 당시에 30만원의 거금을 들여, 궁궐과 같이 단청을 하여 건축한 곳이다.[20] 해방 이후 이청천의 숙사로도 쓰였다.[21]
문화
편집행정 구역
편집법정동 | 행정동 |
---|---|
창신동 | 창신제1동[23] |
창신제2동[24] | |
창신제3동[25] |
교육
편집교통
편집-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 서울 지하철 6호선
미디어
편집- KBS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16회, 2019. 03. 0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창신제1동 동명유래, 2017년 3월 20일 확인
-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82), 《동명연혁고 동대문구편》, 157-158쪽.
- ↑ 이창헌(2000), 《경판방각소설판본연구》, 457-458쪽.
- ↑ 조정구 (2012년 3월 6일). “서울에 이런곳이? 높이 40m '절벽 동네' 장관”. 중앙일보. 2018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경기도 고시 제7호, 1914년 4월 1일.
- ↑ 경기도 고시 제32호
- ↑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년 6월 9일.
- ↑ 서울시 헌장 제1조
- ↑ 서울특별시 조례 제66호
- ↑ 서울특별시 조례 제397호
- ↑ 서울특별시 조례 제613호
- ↑ 대통령령 제7816호
- ↑ 서울특별시 조례 제979호
- ↑ 서울특별시 조례 제1413호
- ↑ 가 나 한은화 (2015년 5월 15일). “재조명받는 서울 종로구 창신동…박수동 작업실,백남준 생가...”. 중앙일보.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 ↑ 도재기 (2017년 3월 8일). “백남준 기념관, 옛 집터에 10일 개관”. 경향신문. 2017년 3월 12일에 확인함.
- ↑ 이유정 (2016년 1월 25일). “[단독]가수 고(故) 김광석, 학창시절 보낸 창신동 집 팔려”. 포커스뉴스. 2016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8일에 확인함.
- ↑ 前林宗相氏不動産(전임종상지부동산)말썽 移轉登記抹消請求訴訟(이전등기말소청구소송), 동아일보.
- ↑ “임종상씨승소 대법원서최종판결”. 동아일보. 1957년 11월 20일. 2016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유종수 (1924년 7월 21일). “창신동 창신궁”. 동아일보. 2016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青年運動半世紀(청년운동반세기) (47) 大同青年團(대동청년단) 1 李靑天(이청천)장군 颱風(태풍)의 눈으로, 경향신문.
- ↑ 강혜란; 홍상지 (2015년 12월 12일). “월요병에 축 처진 당신, 오늘 매운맛 좀 볼래요?”. 중앙일보. 2021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창신제1동 관할 창신동 지번25~127, 128-30~128-38, 129, 130-1~130-60, 130-74~130-78, 130-98, 130-115~130-117, 130-141~130-142, 130-150~130-154, 137~202, 205~498, 509~526
- ↑ 창신제2동 관할 창신동 지번23-324~23-329, 23-353, 23-433~23-631, 23-676, 23-682, 23-696, 23-703, 23-706, 23-713~23-714, 23-717~23-719, 23-733, 23-785, 23-804~805, 130-60~130-70, 130-80~130-97, 130-102~130-113, 130-119~130-129, 130-161, 131, 135, 136, 503~701, 산6-4, 산6-42, 산6-45~산6-54
- ↑ 창신제3동 관할 창신동 지번1, 7, 13~18, 20, 23-2~23-318, 23-334~23-352, 23-632~23-640, 23-655~23-663, 23-665~23-673, 23-679, 23-680, 23-686~23-694, 23-697~23-701, 23-707~23-708, 23-712, 23-715~23-716, 23-739~23-781, 23-783, 23-786~23-803, 23-806~23-811, 128-1~128-29, 128-40~128-70, 702~703, 산1, 산6, 산6-5, 산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