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창신초등학교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한 초등학교
서울창신초등학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이다.
서울창신초등학교
서울昌信初等學校 Seoul Changsin Elementary School | |
교훈 |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 |
---|---|
개교 | 1916년 5월 20일 |
설립형태 | 공립 |
교장 | 진용희 |
국가 |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73 (창신동 128-32) |
학생 수 | 425명 (2022년 5월 1일) |
교직원 수 | 35명 (2022년 5월 1일) |
상징 | 민들레(교화), 느티나무(교목) |
관할관청 |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
웹사이트 | 서울창신초등학교 홈페이지 |
![]() 서울창신초등학교의 위치 |
연혁편집
- 1907년 7월 10일 원흥사(元興寺) 스님과 능인학교 설립 기도[1]
- 1912년 9월 20일 능인사립보통학교 개교. 이회광이 설립하고 이능화가 교장을 지냈다.[2][3] 건물은 원흥사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4]
- 1916년 5월 20일 창신공립보통학교 개교(설립인가 5월 10일)[5]
- 1938년 4월 1일 경성창신공립심상소학교로 변경[6]
- 1941년 4월 1일 경성창신공립국민학교로 변경[7]
- 1971년 10월 4일 서울명신국민학교(1969명) 분리
- 1972년 11월 14일 도서실 개관[1]
- 1973년 8월 22일 일본 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 이시오카소학교 Archived 2017년 5월 5일 - 웨이백 머신(石岡小学校)와 자매결연[8]
- 1981년 3월 10일: 특수학급 개설[1]
- 1989년 5월 20일 교사 5동 개축 완공, 민속자료관 개관[1]
- 1991년 9월 30일 전 교실에 도시가스 난방 완공[1]
- 1994년 12월 30일 급식당 완공[1]
- 1995년 2월 6일 급식 실시 개시[1]
- 1996년 3월 1일 서울창신초등학교로 개칭[9]
- 1998년 9월 5일 보육실 설치[1]
- 2001년 4월 19일 현 교사 개축 착공[1]
- 2003년 2월 3일 신관 건물 완공(C동)
- 2005년 12월 26일 민속자료관 재개관
- 2008년 11월 25일 종로구 창신 거점 영어 체험센터 개관
- 2010년 9월 13일 도서실 리모델링 후 개관 (반딧불 도서관)
- 2012년 5월 24일 병설유치원 개원
- 2016년 5월 19일 개교 100주년 기념실 개관
- 2017년 1월 23일 반디갤러리 및 도담도담 쉼터 개관
- 2019년 2월 15일 제101회 졸업식(111명, 누계 52709명)
- 2019년 3월 1일 30학급 편성(학습도움반 1학급 포함)
- 2019년 9월 1일 제26대 진용희 교장 취임
- 2019년 10월 18일 꿈.끼.어울림 종합축제 실시
동문편집
상징편집
참고 문헌편집
- 경성부 (2014). 《국역 경성부사 제3권》. 서울: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ISBN 9788994033655.
- 서울창신초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 서울창신초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개교 100주년 기념실 게시내용.
- ↑ “能仁普通學校開學式”. 《조선불교월보》. 1912년 10월호 (조선불교월보사). 1912년 10월. 69쪽.
- ↑ 한동완 (2006). 《국문연구의정안》. 서울: 신구문화사. 29쪽. ISBN 8976681266.
- ↑ 경성부 2014, 780쪽 .
- ↑ 경성부 2014, 781쪽 .
- ↑ 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1938년 3월 3일)
- ↑ 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 ↑ “昌信國校(창신국교),日(일) 石岡校(석강교)와 결연”. 경향신문. 1973년 8월 21일. 201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대통령령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이 글은 서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초등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