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흐어
추흐어(Chuj)는 과테말라와 멕시코에 사는 추흐족의 언어이다. 과테말라에서 4만 명, 멕시코에서 3천 명 정도가 사용한다. 추흐어는 토홀라발어, 칸호발어, 아카텍어, 하칼텍어, 모초어 등과 함께 마야어족의 칸호발어파라는 갈래에 속한다. 추흐어군은 지금으로부터 약 2천 년 전에 칸호발어파에서 갈라져 나왔다.[3] 과테말라에서 추흐어는 주로 웨웨테낭고주의 산마테오이슈타탄, 산세바스티안코아탄, 넨톤 지역에서 쓰이고, 바리야스와 이슈칸 지역에서도 조금 사용된다. 추흐어파의 두 주요한 방언은 산마테오이슈타탄 방언과 산세바스티안코아탄 방언이다.[4]
사용 국가 | 과테말라, 멕시코 |
---|---|
사용 지역 | 웨웨테낭고주 북부, 치아파스주 |
사용 민족 | 추흐족 |
언어 인구 | 61,630명 (2003-2011년)[1] |
언어 계통 | 마야어족 칸호발어파 추흐어군 추흐어 |
공용어 및 표준 | |
소수언어로서
쓰는 나라 |
과테말라 |
언어 부호 | |
ISO 639-3 | cac 추흐어
|
글로톨로그 | chuj1250[2] |
추흐어는 스페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추흐어 사용자들은 추흐어로 대화할 때 스페인어 외래어를 사용하거나 스페인어를 섞어 쓰는 경향이 있다. 추흐어의 약 70%가 순수 추흐어 어휘라고 추정된다.[5]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ALMG) 등의 단체들이 산마테오이슈타탄에서 추흐어 보존과 진흥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6]
음운론
편집음소 목록
편집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 u | |
중모음 | e | o | |
저모음 | a |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기본 | 내파음 | 기본 | 방출음 | 기본 | 방출음 | 기본 | 방출음 | 기본 | ||
파열음 | p | bʼ [ɓ] | t | tʼ | k | kʼ | ʼ [ʔ] | |||
마찰음 | w [v] | s | x [ʃ] | j [χ] | ||||||
파찰음 | tz [t͡s] | tzʼ [t͡sʼ] | ch [t͡ʃ] | chʼ [t͡ʃʼ] | ||||||
비음 | m | n | nh [ŋ] | |||||||
접근음 | l | y j | ||||||||
전동음 | r |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는 철자 ⟨h⟩를 넣어 성문 파열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와 구별하는 일이 일반적이다.
문법
편집동사 형태론
편집다음은 추흐어 동사의 구조이다.[8] 추흐어의 동사 술어는 타동사인 경우 접미사 -a, 자동사인 경우 접미사 -i가 붙는다. 정형절의 동사는 시제·상, 인칭, 수에 따라 굴절한다.
시제/상/법 | 절대격어 표지 | 능격어 표지 | 동사 어근 | 자·타동 접미사 |
---|---|---|---|---|
tz- | ach- | in- | chel- | aʼ |
미완망상 | 2인칭 단수 절대격 | 1인칭 단수 능격 | 안다 | 타동 |
tzachinchela' “나는 너를 안고 있다.” |
동사 아닌 술어
편집동사가 아닌 형용사, 명사, 위치사, 방향사 등이 술어로 쓰일 수 있다. 이들은 의미론적으로 정태적(stattive)이며, 시제·상에 따라 굴절하지 않지만 인칭과 수에 따라 굴절한다.[9] 추흐어에는 따로 계사가 없고 대신 동사 아닌 술어를 사용한다.
a ix Malin kʼaybʼum ix TOP/FOC CL Maria teacher CL “마리아는 선생님이다.”
Ay ix hin-nun niwakil ix TOP/FOC CL my-mother large CL “내 어머니는 크다.”
인칭 표지
편집추흐어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다.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는 모두 동사에 절대격 표지로 표시되고,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 표지로 표시된다.
능격 표지 | 절대격 표지 | ||
---|---|---|---|
자음 앞 | 모음 앞 | ||
1인칭 단수 | hin- | w- | hin- |
2인칭 단수 | ha- | h- | hach- |
3인칭 단수 | s- | y- | Ø |
1인칭 복수 | ko- | k- | honh- |
2인칭 복수 | he- | hey- | hex- |
3인칭 복수 | s-... hebʼ | y-... hebʼ | hebʼ |
시제·상 표지
편집추흐어에는 4개의 시제·상 표지가 나타난다.[10][11] 정형절의 동사는 반드시 시제·상에 따라 굴절한다.
표지 | 의미 |
---|---|
tz- | 미완망상 |
ix- | 완망상 |
lan | 진행상 |
ol- | 예상상 |
각주
편집- ↑ Chuj, 에스놀로그(19판, 2016년)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Chuj〉.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Stzolalil Stzʼibʼchaj Tiʼ Chuj, ALMG, 2007, p.34
- ↑ Robertson, John S. (1992). 《A history of tense/aspect/mood/voice in the Mayan verbal complex》. Austin, Texas: University of Texas press.
- ↑ Yumal Skuychaj Tiʼ Chuj, ALMG, 2006, p.234
- ↑ “Comunidad Lingüística Chuj -Historia”. Academia de Lenguas Mayas de Guatemala. 2009년 1월 2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
- ↑ 가 나 Buenrostro, Cristina (2009). 《Chuj de San Mateo Ixtatán.》. Mexico City: El Colegio de México.
- ↑ Grinevald, Collette; Peake, Marc (2012). Giles Authier; Kathleen Haude, 편집. “Ergativity and voice in Mayan: A functional-typological approach”. 《Ergativity, valency, and voice》: 15–29.
- ↑ Mateo-Toledo, Bʼalam Eladio. “The finiteness of nonverbal predicates in Qʼanjobʼal (Maya).”. 《New Perspectives in Mayan Linguistics》: 162–168.
- ↑ 가 나 Domingo Pascual, Pascual Martín (2007). 《Gramática normativa Chuj.》. Guatemala City: ALMG.
- ↑ Hopkins, Nicholas A. (2012). 《A dictionary of the Chuj (Mayan) language.》. Florida: Jaguar Tours.
참고 문헌
편집- Buenrostro, Cristina (2009). 《Chuj de San Mateo Ixtatán.》. Mexico City: El Colegio de México.
- Domingo Pascual, Pascual Martín (2007). 《Gramática normativa Chuj.》. Guatemala City: ALMG.
- Grinevald, Collette; Peake, Marc (2012). Giles Authier; Kathleen Haude, 편집. “Ergativity and voice in Mayan: A functional-typological approach”. 《Ergativity, valency, and voice》: 15–29.
- Hopkins, Nicholas A. (2012). 《A dictionary of the Chuj (Mayan) language.》. Florida: Jaguar Tours.
- Mateo-Toledo, Bʼalam Eladio. “The finiteness of nonverbal predicates in Qʼanjobʼal (Maya).”. 《New Perspectives in Mayan Linguistics》: 162–168.
- Robertson, John S. (1992). 《A history of tense/aspect/mood/voice in the Mayan verbal complex》. Austin, Texas: University of Texa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