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릴 열도
쿠릴 열도(러시아어: Курильские острова, 아이누어: Кур/Čupka/Kurumise, 문화어: 꾸릴 렬도)는 러시아 사할린주에 있는 총 길이 약 1300km의 도서군이다. 캄차카 반도와 일본 홋카이도 사이, 오호츠크 해와 북태평양을 가르는 위치에 펼쳐져 있으며, 크고 작은 약 56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본에서는 이 열도를 지시마 열도(일본어: 千島列島)라고 부른다.
쿠릴 열도는 일본과 러시아 간에 영역 갈등 지역으로서 현재는 러시아가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다. 일본이 쿠릴 열도 남단 4개 섬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 지역은 석유, 금, 황 등의 해저 지하 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어 경제적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출처 필요]
일본 정부는 이 열도 남부의 4개 도서군을 소위 북방 영토(北方領土)라고 부르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러시아는 2012년 10월 22일에 아나톨리 세르듀코프가 캄차카를 방문해서 2년동안 쿠릴 열도의 군사시설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1]
자연과 주민편집
쿠릴 열도는 판의 활동으로 말미암은 열도로 100개의 화산이 있으며 그 중 35개의 화산이 활화산이고 지진이 활발하다. 쿠릴 열도 200Km 동쪽에는 쿠릴 해구가 있다. 해안은 바닷말, 바닷물고기와 해달의 서식지이다.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타타르인, 바시키르인, 한민족(사할린 한민족), 캄차달족, 윌타족, 니브히족, 오로치족, 아이누족 등 3만여 명이 살고 있다. 주민의 대다수가 어업에 종사한다. 남부 4개 도서군에 살던 일본인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대부분 일본으로 송환되었다.
쿠릴 열도 분쟁편집
이 지역에는 원래 아이누, 니브히족, 윌타족 등 여러 선주민이 거주하고 있었다. 18세기에 러시아인, 일본인이 이 지역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에서 일본은 사할린 섬을 포기하는 대신 쿠릴 열도를 가져가기로 러시아와 합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기습적인 침략으로 인해 소련의 영토가 되었다. 현재도 일본은 쿠릴 열도의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쿠릴 열도의 섬들편집
괄호안은 일본 명칭이다.
- 북쿠릴 열도
- 슘슈 섬 (슈무슈 섬)
- 아틀라소프 섬 (아라이도 섬)
- 파라무시르 섬 (파라무시루 섬 또는 호로무시로 섬)
- 안치페로바 섬 (시린키 섬)
- 마칸루시 섬 (마칸루 섬)
- 아보스 섬 (아보스 암)
- 오네코탄 섬 (온네코탄 섬)
- 하림코탄 섬 (하리모코탄 섬 또는 하루모코탄 섬)
- 중쿠릴 열도
- 예카르마 섬 (에카루마 섬)
- 치링코탄 섬 (지린코탄 섬)
- 시아시코탄 섬 (샤스코탄 섬)
- 로브스키 섬 (모지레쓰 암)
- 라이코케 섬 (라이코케 섬)
- 마투아 섬 (마쓰와 섬)
- 라스슈아섬 (라쇼와 섬 또는 라슈와 섬 또는 라스쓰아 섬)
- 스레드네고 섬 (스리데 암)
- 우시시르 섬 (우시시루 섬)
- 케토이 섬 (게토이 섬)
- 시무시르 섬 (시무시루 섬 또는 신시루 섬)
- 브로우토나 섬 (부로톤 섬)
- 초르니예브라티야 섬 (지리호이 섬 또는 지레루보이 섬)
- 브라트 치르포예프 섬 (지리호이미나미 섬)
- 우루프섬 (우룻푸 섬)
- 남쿠릴 열도[2](일본이 영유권 주장)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러시아, 쿠릴열도 군사력 강화에 2500억 원 투입
- ↑ 시코탄 섬과 하보마이 군도의 여러 섬들은 지리학적으로는 쿠릴 열도로 보기는 힘들기 때문에 쿠릴 열도에서 제외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외부 링크편집
- (러시아어) 쿠릴열도
- (영어) The Kuril Biocomplexity Project (쿠릴 열도의 생물다양성 프로젝트), Kuril Island Biocomplexity Project
- 쿠릴 열도, 《브리태니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