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염
화합물
탄산염(炭酸塩)은 탄산염 이온 CO32−이 존재하는 탄산의 염이다. 탄산의 수소 원자가 금속 원자와 바뀌면서 이루어진 화합물을 가리킨다. 이를테면 탄산 칼륨, 탄산 칼슘, 탄산 나트륨 등이 이에 속한다.
![]() | |
이름 | |
---|---|
IUPAC 이름
Carbonate
| |
체계명
Trioxidocarbonate[1]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Spider | |
PubChem CID
|
|
UNII | |
| |
| |
성질 | |
CO2− 3 | |
몰 질량 | 60.008 g·mol−1 |
짝산 | Bicarbonat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정보상자 각주 | |
구조 및 결합편집
화학적 특성편집
- 2 M+ + CO32− → M2CO3
- M2+ + CO32− → MCO3
- 2 M3+ + 3 CO32− → M2(CO3)3
생물학적 변화편집
각주편집
- ↑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 (2005).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2005). Cambridge (UK): RSC–IUPAC. ISBN 0-85404-438-8. Electronic version.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