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염

화합물

탄산염(炭酸塩)은 탄산염 이온 CO32−이 존재하는 탄산이다. 탄산의 수소 원자가 금속 원자와 바뀌면서 이루어진 화합물을 가리킨다. 이를테면 탄산 칼륨, 탄산 칼슘, 탄산 나트륨 등이 이에 속한다.

탄산염
Ball-and-stick model of the carbonate anion
이름
IUPAC 이름
Carbonate
체계명
Trioxidocarbonate[1]:127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Spider
UNII
  • InChI=1S/CH2O3/c2-1(3)4/h(H2,2,3,4)/p-2
    Key: BVKZGUZCCUSVTD-UHFFFAOYSA-L
  • InChI=1/CH2O3/c2-1(3)4/h(H2,2,3,4)/p-2
    Key: BVKZGUZCCUSVTD-NUQVWONBAE
  • C(=O)([O-])[O-]
성질
CO2−
3
몰 질량 60.008 g·mol−1
짝산 Bicarbonate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구조 및 결합

편집

 

 

화학적 특성

편집
  • 2 M+ + CO32− → M2CO3
  • M2+ + CO32− → MCO3
  • 2 M3+ + 3 CO32− → M2(CO3)3

생물학적 변화

편집
  • H2CO3(aq)   H+(aq) + HCO3(aq)
  • H2CO3(aq)   CO2(aq) + H2O(l)
  • CO2(aq)   CO2(g)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 (2005).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2005). Cambridge (UK): RSCIUPAC. ISBN 0-85404-438-8. Electronic version.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