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제17호 태풍 킬로 또는 메이저 허리케인 킬로 (KILO)는 8월 21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1분 평균 풍속)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하와이 힐로 남남동쪽 약 8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후 서~서북서진하며 수온이 낮은 해역으로 들어가면서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가 수온이 높은 날짜변경선 부근 해상으로 진입했고, 8월 27일 오전 3시에 미국 존스턴 환초 북동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1분 평균 풍속)의 열대폭풍으로 재발달했다. 그 때부터 서남서~서북서진하며 발달을 시작해서 8월 29일 오후 3시에 미국 존스턴 환초 서북서쪽 약 4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33m/s(1분 평균 풍속)의 허리케인으로 발달했고, 서남서진하며 계속 발달해서 8월 30일 오후 3시에는 미국 존스턴 환초 서북서쪽 약 8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61m/s(1분 평균 풍속)의 메이저 허리케인으로 최성기를 맞이했다. 메이저 허리케인으로 발달해서 최성기를 맞은 뒤 서북서~북북서진하며 조금씩 약화되면서 날짜변경선을 통과하였고, 9월 1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945hPa, 최대풍속 49m/s, 강풍 반경 280km, 크기 '소형'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일본 센다이 동남동쪽 약 4,080km 부근 해상에서 태풍으로 인정되었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태풍으로 인정된 이후에도 서남서~서~서북서진하며 이동했지만 최성기 세력 수준까지 다시 도달하지 못하고 계속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9월 11일 오후 9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5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4hPa) 킬로는 중태평양상의 허리케인이 이동한 것으로 하와이 남자아이 이름을 의미한다. 열대저기압 킬로는 할롤라처럼 하와이 남자아이 이름을 의미한다.

킬로의 이동 경로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