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
날짜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한다. 이 날이 토요일이나 일요일이 아닌 경우, 대한민국의 대학교의 2학기 개강은 대부분 이 날 시작한다.
8월 - 9월 - 10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2023년 기준 모두 보기 |
9월 1일 | |
2024년: 일요일 | 2023년: 금요일 |
2022년: 목요일 | 2021년: 수요일 |
2020년: 화요일 | 2019년: 일요일 |
2018년: 토요일 | 2017년: 금요일 |
2016년: 목요일 | 2015년: 화요일 |
2014년: 월요일 | 2013년: 일요일 |
2012년: 토요일 | 2011년: 목요일 |
2010년: 수요일 | 2009년: 화요일 |
2008년: 월요일 | 2007년: 토요일 |
2006년: 금요일 | 2005년: 목요일 |
2004년: 수요일 | 2003년: 월요일 |
2002년: 일요일 | 2001년: 토요일 |
2000년: 금요일 | 1999년: 수요일 |
1998년: 화요일 | 1997년: 월요일 |
1996년: 일요일 | 1995년: 금요일 |
1994년: 목요일 | 1993년: 수요일 |
1992년: 화요일 | 1991년: 일요일 |
사건 편집
- 1914년 - 마사가 사망하면서 여행 비둘기가 멸종되었다.
- 1923년 - 간토 대지진: 일본의 간토 지방에서 지진이 발생하다. 지진 직후의 혼란 속에서 재일 조선인 6천 명이 군경과 자경단이 휘두른 죽창 등에 살해되다.
- 1939년 -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 폴란드 침공.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 1949년 - 이승만 정부는 여순사건을 반정부적인 시각으로 담아 사회적 통념에 반한다는 이유로 여수야화를 대한민국 최초의 금지곡으로 지정
- 1952년 - 대한민국, 국군 징병제 실시.
- 1955년 - 대한민국, 전국 인구조사 사상 첫 실시.
- 1955년 - 우한장강대교 공사 시작
- 1969년 - 리비아, 무아마르 알카다피 대위, 군사 쿠데타 일으켜 왕정 무너뜨리고 공화국 수립.
- 1980년 - 대한민국, 11대 전두환 대통령 취임.
- 1983년 - 대한항공 007편 여객기가 사할린섬 근해 상공서 소련의 수호이 Su-15 요격기에 격추돼 탑승자 269명 전원 사망.
- 1986년 - 대한민국, 외국산 담배 국내 시판 시작.
- 1996년 - 일본 해상자위대 소속 군함 2척,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처음으로 부산에 입항.
- 2001년 - 일본, 가부키초 빌딩 화재가 발생하여 44명이 사망했다.
- 2003년 - 대한민국 정부, 종합부동산세 신설 등 관련 세법 개정 추진 발표.
- 2004년 - 러시아 연방 북오세티야공화국에서 베슬란 학교 인질 사태발생. 9월 3일 종료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최소 385명이 사망했다.
- 2015년 -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있는 중학교에서 부탄가스 테러가 발생하여, 학교 내의 기물이 파손되었다.
- 2021년 -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인천새봄초등학교가 문을 열다.
문화 편집
- 1918년 - 만해 한용운(韓龍雲), 불교 월간지 `유심'(惟心) 창간
- 1953년 - 대한민국, `국군의 방송' 송출 시작
- 1963년 - 대한민국 철도청 발족.
- 1975년 - 대한민국, 여의도 국회의사당 준공.
- 1976년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영업을 시작했다.
- 1979년 - 파이어니어 11호, 토성에 접근.
- 1981년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 발족.
- 1994년 - 대한민국, 수도권 지하철 분당선 수서-오리간 개통. (복정역과 이매역은 당시 개통 안함)
- 1997년 - 울산방송 ubc TV 개국.
- 2000년 - 대한민국 케이블TV 축구전문채널 SBS 축구채널(現 SBS 플러스)개국
- 2001년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에서 Ubc Green FM 개국.
- 2003년 - 아리랑 라디오 라디오 방송 개국.
- 2011년 - 문화방송이 진주문화방송과 창원문화방송을 포함한 몇 개의 지역방송사를 합병하여 MBC경남으로 출범했다.
- 2014년 - 문화방송이 여의도 사옥 시대를 마감하고 서울 마포구 상암동의 신사옥으로 공식 이전했다.
- 2015년 -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단둥시와 선양을 잇는 고속철도가 개통되었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을 합병한 KEB하나은행이 탄생했다.
- 2021년
탄생 편집
- 948년 - 요나라의 제5대 황제 경종. (~982년)
- 1145년 - 에스파냐의 여행가 이븐 주바이르. (~1217년)
- 1453년 - 스페인의 장군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 (~1515년)
- 1792년 - 캐나다의 사업가 토마스 맥케이. (~1855년)
- 1931년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겸 교육인, 이승만 대통령의 양아들 이인수. (~2023년)
- 1935년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겸 시인 송백헌. (~2021년)
- 1938년
- 1946년 - 대한민국의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2009년)
- 1948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유건재. (~2021년)
- 1957년 - 미국의 가수 글로리아 에스테판.
- 1965년 - 대한민국 배우 겸 방송인 김상중.
- 1967년 - 대한민국의 수영선수 출신 정치인 최윤희.
- 1970년 - 대한민국의 배우 황정민.
- 1971년 - 터키의 전 축구 선수 하칸 쉬퀴르.
- 1974년
- 1976년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후쿠니시 다카시.
- 1977년
- 1978년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홍서연.
- 1981년 - 대한민국의 가수 박효신.
- 1982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전진영.
- 1983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종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호세 안토니오 레예스. (~2019년)
- 1986년 - 중국의 배우 장수잉.
- 1987년 -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 선수 이소라(성남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제니스).
- 1988년 - 대한민국의 희극인 최우선.
- 1989년
- 1991년 - 대한민국의 모델 겸 기업가 김민영.
- 1992년 - 대한민국의 가수 우혜림 (원더걸스).
- 1993년 - 대한민국의 성우 박시윤.
- 1995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하.
- 1996년 - 미국의 배우 겸 가수 젠데이아.
- 1997년 - 대한민국의 가수 정국 (방탄소년단).
- 2000년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김민종.
- 2002년 - 일본 태생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허미미.
- 2003년
- 2006년 - 대한민국의 유튜버 최린.
사망 편집
- 1159년 - 제169대 교황 하드리아노 4세. (1154년~)
- 1636년 - 프랑스 수학자 마랭 메르센. (1598년~)
- 1715년 -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 (1638년~)
- 1986년 - 미국의 배우 머리 해밀턴. (1923년~)
- 2009년 - 대한민국의 배우 장진영. (1972년~)
- 2016년 - 대한민국의 전 야구선수 유두열. (1956년~)
- 2017년 - 영국의 추기경 코맥 머피오코너. (1932년~)
- 2021년 - 미국의 프로레슬링선수 데프니. (1975년~)
- 2023년 - 일본의 정치인 나카무라 쇼자부로. (1934년~)
- 2023년 - 미국의 정치인 빌 리처드슨. (1947년~)
- 2023년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지미 버핏. (1946년~)
기념일 편집
- 통계의 날: 대한민국
- 방재의 날: 일본
- 기자의 날: 중화민국
- 지식의 날(Knowledge Day): 러시아
- 교사의 날: 싱가포르
- 제헌절: 슬로바키아
- 아마존 원주민 및 알래스카 원주민 문화유산의 달 시작일: 가이아나
- 무장투쟁 시작 기념일: 에리트레아 관련 항목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