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렐 회전(Terrell rotation) 또는 테렐 효과(Terrell effect)는 수학 및 물리적 효과 중 하나이다. 특히, 테렐 회전은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라 빛의 속력과 거의 유사한 속력으로 진행하는 경우 물체에 회전해 보이는 디스토션이 발생하는 효과이다. 이 현상은 제임스 테렐과 로저 펜로즈가 1959년 모두 독립적으로 설명했으며,[1][2] 일반적인 현상은 1924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안톤 람파가 설명했다.[3]

물체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론적인 길이 수축(왼쪽)과 실제로 눈에 보이는 물체의 모습(오른쪽). 빛에 속도에 가까워질수록 진행 방향 쪽으로 물체의 앞면이 점점 회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선 순위 및 초기의 올바른 원 발견자 분쟁으로 인해, 이 효과는 펜로즈-테렐 효과(Penrose–Terrell effect) 또는 테렐-펜로즈 효과(Terrell–Penrose effect)로 불리기도 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James Terrell (1959). “Invisibility of the Lorentz Contraction”. 《Physical Review116 (4): 1041–1045. Bibcode:1959PhRv..116.1041T. doi:10.1103/PhysRev.116.1041. 
  2. Roger Penrose (1959). “The Apparent Shape of a Relativistically Moving Sphere”.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55 (01): 137–139. Bibcode:1959PCPS...55..137P. doi:10.1017/S0305004100033776. 
  3. Anton Lampa (1924). “Wie erscheint nach der Relativitätstheorie ein bewegter Stab einem ruhenden Beobachter?” (PDF). 《Zeitschrift für Physik》 (독일어) 27 (1): 138–148. Bibcode:1924ZPhy...27..138L. doi:10.1007/BF0132802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