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토미(TextoMi)는 텍스트마이닝 솔루션 텍스톰과 분석 자동화를 위한 AI가 결합된 솔루션이다.

텍스토미 (TEXTOMi)
개발자더아이엠씨
발표일2016년
운영 체제윈도 / 매킨토시
언어한국어
종류AI 기반 텍스트 빅데이터 수집, 정제 및 분석, 시각화 프로그램
라이선스상용서비스 / 비상용서비스
웹사이트http://www.textomi.com

탑재된 AI는 내부 데이터와 공공 및 웹 등을 포함한 외부의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고려한 결괏값을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유사 기관 및 경쟁사에 관한 정책 및 이슈 분석, 브랜드 선호도 분석 기능과 주제별 뉴스 클리핑, 예측 지수 등 모니터링을 위한 여러 부가적인 기능을 지원한다.


개발배경

편집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정책의 영향으로 스마트팩토리로 대표되는 산업 전반에 걸친 변화가 촉구되어 왔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는 빅데이터를 홍보, 마케팅을 비롯한 사무직군에서도 활용하고자 했으나 부족한 인력과 기술적인 문제에 부딪히고 있었다.


역사

편집

시작 시기 (MISP)

편집

2015년 한국정보시스템학회에서 주관한 2015추계학술발표대회에서 '빅데이터 활용 MISP 개발에 관한 연구'를 통해 처음 발표되었다.[1] 이 당시에는 주요 구축 대상을 기업으로 삼고 있었기에 'Marketing Intelligence Service Platform'의 이니셜을 따 'MISP'라고 이름 지어졌다.

2016년 2월 1일 삼성물산 패션부문, 한국패션산업연구원과 함께 Fashion MISP (現 TextoMi Fashion)를 출시했다.[2]

2016년 10월 Fashion MISP를 활용한 '감성 분석'에 관한 첫 논문이 발표됐다.[3]

TEXTOMi 개편 이후

편집

2018년 11월 1일 명칭을 'MISP'에서 'TextoMi'로 변경하였다. 이에 Fashion MISP 역시 TextoMi Fashion으로 리뉴얼 출시되었다.

2020년 2월 2일 대한민국 경기도 지역의 경제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TextoMi 경기도 경제를 출시했다.[4]


특징

편집

웹 기반 솔루션

편집

별도의 설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웹 환경에서 바로 사용 가능하다.

커스터마이징

편집

공공-민간 분야별, 하위 세부 분야별 사용 목적과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구축된다.


주요 기능

편집
 
TEXTOMi의 마스코트 '토미'

모니터링

편집

AI가 수집한 내부 데이터와 공공 및 웹 등에서 데이터를 정제 과정을 통해 대시보드화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분석

편집

유사 기관 및 기업에 관한 감성 분석 결과와 정책, 상품, 서비스 등에 관련된 이슈 키워드 등 수요자 반응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예측

편집

빅데이터 분석 및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파악된 특정한 패턴을 통해 경기 지수, 시장성 등 미래 전망에 관한 다양한 예측 결괏값을 제공한다.

마이 데이터

편집

키워드 검색을 통한 비교 분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분석, 예측 항목에서 분석된 시각화 결괏값을 스크랩할 수 있다.


서비스

편집

텍스토미는 일반적으로 폐쇄망 구축, 회원제 등 외부에서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을 전제로 구축된다.

단, TextoMi FashionTextoMi 경기도 경제의 경우에는 상용 서비스로 구축되어 있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어패럴 산업을 주제로 Fashion MISP를 리뉴얼 출시한 솔루션이다. 기업·민간용으로 공개되어 있어 회원가입을 통해 주요 기능들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경기도 지역 경제를 모니터링·분석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공공 분야의 정책 결정 지원이나 민간 자영업자들의 상권 입지 분석 등에 활용을 목적으로 무료로 공개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5 추계학술대회 안내문》. 
  2. 정재훈. “전자신문”. 《더아이엠씨, `패션계 알파고` 패션 빅데이터분석 플랫폼 개발》. 2020년 9월 2일에 확인함. 
  3. 전채남 (2016). “빅데이터를 활용한 패션MISP에 관한 연구: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2016: 33–33. 
  4. 최병고. “매일신문”. 《대구IT기업 개발한 빅데이터 AI, 경기도 진출》. 2020년 9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