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기학

마지막 의견: 8년 전 (59.15.25.27님) - 주제: 일반적인 명칭?

틀:기학 프로젝트

일반적인 명칭? 편집

"일반적인 명칭"이라는 이유로 기학(旗學)을 기장학(旗章學)으로 바꾸신 분이 계시는데, 이것은 근거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여기서 기학(旗學)이란 용어는 영어 Vexillology의 옮김말에 해당하고, 이 단어는 다시 라틴어어근 vexillum+logy(학,학문)으로 분해됩니다. 인터링크 체크결과,유럽여러 언어에서 같은 구성의 단어들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더군요. 벡실룸은 생소한 용어이고, 고대로마에서 사용되었던 특정 기만을 가리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 단어는 기(旗)라는 일반적인 용어로 바꿔주고, 기에 관해 다루는 학문이다라는 뜻에서 기학(旗學)이라고 명명한 것입니다. 마침 전문용어에서 한자어를 많이 쓰는 한국어에 참고가 될 일본어와 중국어 인터링크도 있었으므로 참고한 결과 일본에서는 旗章学(きしょうがく),중국어에서는 旗幟學으로 각각 옮기고 있더군요. 그리고 구글에서 한국어에서 기장학,기치학이라는 단어가 쓰이고 있는지를 검색해 보았으나, 단 한 건도 나오지 않았습니다.[1][2]

"Vexillology"에 해당하는 개념이나 용어가 이미 한국에서 쓰이고 있다면 가능한한 그것을 존중하겠지만, 구글체크결과 이 개념을 담은 단어는 아직 한국어에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만큼, 그것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할 권리는 번역자인 저에게 있습니다. 여기서 기장학이란 단어의 사용을 거부하는 것은 말옮김에 대한 고민없이 기존 일본어 단어를 안이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또 어차피 기장학이나 기치학이라는 그 단어들조차 비교적 최근에 일본인이나 중국인이 Vexillology를 각각 옮긴말이라는 판단이 듭니다. 그런데 일본기원,중국기원이 아닌 서양말 단어를 옮기는데도 독자적인 번역과정없이 맹목적으로 일본것을 따라해야 될까요? Noropdoropi (토론) 2008년 10월 13일 (월) 12:32 (KST)답변

바꾼사람인데요. 보통 한국에서 보통 '기학'이라고 하면 성리학에서 말하는 기학(氣學), 또는 최한기의 저서 기학(氣學)을 의미하지, 기(旗)에 대한 학문으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Vexillology를 번역한다면 '기장학(旗章學)'이라고 하는게 더 명확하게 의미를 전달한다는 생각입니다. 기장(旗章)이라는 용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국기, 군기, 교기 따위와 같이 특정한 단체나 개인을 대표하여 나타내는 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나와 있습니다. 기장학(旗章學)이라는 용어를 쓴 책 검색(3건). [3][4][5] 기타 참조: 문장학(紋章學, heraldry) --백두 (토론) 2008년 10월 13일 (월) 16:00 (KST)답변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님께서 "일본식"이라서 바꾼 것이라기보다는 한번은 기장학이란 표현을 보셨기에 익숙한 표현이라 판단하신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러나, 님께서 왜 그 용어에 익숙하게 느끼는가를 생각해 보면 링크해 주신 책중에 "기장학"이란 표현이 쓰인 두 권이 바로 "일본서"를 번역한 책이기 때문입니다.아마, 그 번역자는 기장학의 원어가 영어 Vexillology에 있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을 것이며, 일본어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旗章學이란 한자를 그냥 기계적으로 대응하는 한국어 발음으로 옮겼을 것입니다. 60년대에 미국인 학자가 만든 신조어에, 그렇게 널리알려지거나 관심있는 사람이 많지 않은 이 Vexillology란 단어가 기장학이란 이름으로 한국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고는 생각하기 힘듭니다. 말씀해 주신 문장학紋章學의 경우, 제가 번역하지는 않았습니다만, 문장紋章이란 표현이 널리 쓰이고 있는 편이고, 문장학이란 단어의 용례도 발견되었기에 아마 표제어를 문장학紋章學으로 설정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장학의 경우는 국내에 없는 개념에 가깝고, 용례도 거의 발견되지 않았기에 원어의미를 토대로 옮김말을 만들었습니다.
기학(旗學)이란 단어의 구성은 "기"에 관한 "학문"이란 심플한 구성입니다. 이해하기도 쉽고원어의 의미에도 충실합니다. 성리학의 기학氣學과 동음이의어가 된다는 지적을 해주셨습니다만, 기장이라는 단어 역시 機長,器仗,記章,紀章,기장(옷의 길이)라는 여러 동음이의어가 존재합니다. 또한 일본이 旗章学, 중국은 旗幟學으로 각각 다른 옮김말이 된 것은 양자가 독자적으로 Vexillology란 단어를 자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제각기 별개의 독자적인 발상과정을 거쳤다는 뜻입니다. 저 역시 그런 과정을 거쳐 기학이란 옮김말을 골랐으며, 그런 고민없이 일본어 단어를 안이하게 가져다 쓰는 것에 저항감을 느꼈습니다. 물론 일본에서 어떤 번역어를 먼저 만들었을 경우, 참고가 되는 것은 사실이고 잘만들어진 말은 가져다 쓸 수 있으며 따라서 단지 일본에서 만들었다는 이유로 배척할 이유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 사실 자체가 어떤 권위가 되어서는 곤란하며, 어떤 원어를 번역한 단어이며,그 번역은 적절한지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도 한자문화권의 일원인 만큼,독자적인 한자조어造語가 가능하며 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니까요.

Noropdoropi (토론) 2008년 10월 13일 (월) 18:28 (KST)답변


구글 검색 결과는 단지 인터넷상의 일반 사용에 국한된 것이고, 결코 올바른 검토 방법이 아닙니다. 책과 논문을 포함한 수많은 현실 자료는 인터넷에서 직접 검색되지 않습니다. 위에 보이듯이, 구글에서는 찾지 못한 '기장학(旗章學)'이 논문 혹은 도서 검색에서는 발견됩니다.

위의 토론을 보면, '기학(旗學)'은 명백히 독자연구이고, '기장학(旗章學)'은 출처가 제시된 정확한 인용입니다. 위키백과는 집필자 자신의 연구를 반영하는 매체가 아니라, 외부 출처의 인용을 통하여 공신력을 담보하는 매체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기장학(旗章學)'이 올바른 표제어 선택입니다.

아울러, 어근 vexillum에 상응하는 한국어 어휘는 기장(旗章)입니다.

59.15.25.27 (토론) 2015년 11월 7일 (토) 10:40 (KST)답변

"기학"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