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녹턴, Op. 32 (쇼팽)

마지막 의견: 12년 전 (Lee Soon님) - 주제: 문서의 출처

문서의 출처

편집

소심자 사용자님께서 '문서 내 전반, 특히 '비평가들의 비평'에 대한 출처 필요'이라고 작성한 후 '출처 필요'틀을 글머리에 달았습니다. 저는 이런 주류의 글들을 대부분 영어판 위키백과인 'Wikipedia'에서 번역해서 작성합니다. 녹턴, Op. 32는 전작인 Op. 27과 대조되어 비평가들의 비판이 특히나 많았던 작품입니다. 그래서 이런 특징을 살리려고 저는 최대한 Wikipedia에 나와있는 비평가들의 평을 번역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자, 조목조목 따져보겠습니다.

먼저 녹턴 9번 나장조 부분입니다.

이 부분의 2번째 문단, 1번째 줄에서 시작되는 '별로 중요하지 않는 곡'의 평은 동일한 글인 Nocturnes, Op. 32 (Chopin)의 Nocturne in B major, Op. 32, No. 1의 'David Dubal found the nocturne to be "of less importance, though characteristic in design and melodic contour."'에서 번역하였으며 '분석하기에 도전적인 곡이나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를 강요하는 곡'이라는 표현은 'According to Berkeley, the ending "defies analysis, but compels acceptance."'에서, '녹턴 10번과 마찬가지로 지루함이 느껴지는 곡'은 Nocturnes, Op. 32 (Chopin)의 소개문단인 맨 윗 부분에서 2번째 문단의 3번째 줄에 나타난 'James Huneker also found this set "a little tiresome."'에서 번역하였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set은 작품번호 제32번을 통틀어 언급하는 것으로 9번뿐만 아니라 10번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녹턴 10번과 마찬가지로...'라는 표현을 덧붙였습니다. 이어서 '중간중간의 음의 끊김이 전혀 비논리적이고 공식적이지 않으나 쇼팽이 음악을 '말하기'로 생각하는 열망이 돋보이는 곡'이라는 표현은 'Jim Samson states that "The interruption of the song by this startling passage of instrumental recitative submits to no formal logic, but rather brings directly into the foreground Chopin's desire to make the music 'speak'."'과 동일하며 '코다에서 청자가 예상했던 환상을 완전히 뒤집어버리는 곡'은 "completely shocks the listener out of reverie."부분과, '곡의 끝마침이 장대한 곡'은 'The ending was both "dramatic and original" to James Friskin.'과 각각 같습니다.

자 이제 녹턴 10번 내림가장조의 부분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녹턴 10번 내림가장조의 부분에서는 원작인 Nocturnes, Op. 32 (Chopin)의 Nocturne in A-flat major, Op. 32, No. 2부분에서 기술된 많은 비평을 번역의 어려움으로 인해 모두 번역을 하지 못했습니다. 어쨌든 이 부분의 2번째 문단, 1번째 줄에서 시작되는 '길고 우아한 멜로디로 발레풍의 중간부분이 돋보이는 곡'은 'he thought the piece contained a "long, gracious melody with a balletic middle section,"'의 문장과 같은데, 여기서 he는 바로 작곡자 자신인 쇼팽을 일컫는 말입니다. 또한 번역을 하지 못한 부분은 '그러나 비평가들은 9번과 비슷하게 좋지 않은 평을 많이 남겼다.'로 일축했는데 여기에는 'Dubal found the nocturne to be "less important than other members of this species" like the Nocturne in B major.', 'However, it differs due to the "stormier, more chromatic middle section."', '"infected by the agitated atmosphere of the nocturne's center," and causes "the reprise some time to recapture the gentleness that is its rightful tone," according to Johnson.'의 표현이 내포되어 있으며 2번째 문단, 2~3번째 줄의 '중간 부분에서 연주되는 오른손의 주멜로디와 왼손의 8분음표 연타는 손가락 연습에 아주 좋은 연습곡이 될 수 있는 곡'은 'Friskin found that "the middle section offers good practice in the maintenance of a melodic line in the outer fingers while playing supporting chords in the same hand."'과 뜻이 동일합니다. --Gbae (토론) 2012년 5월 12일 (토) 8:58 (KST)

긴 글을 작성해주신데 대해 매우 수고하셨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제가 제기한 출처 필요의 문제는, 이 문서가 영어판 위키백과를 번역한건지, 어떤 부분을 번역했는지의 여부를 따지는 문제가 아닙니다. 타 언어판을 번역하여 생성한 문서라고 하여 애매모호한 내용 또는 확인 불가능한 내용에 대해 출처 필요 틀을 달지 않는다는 지침은 전혀 없습니다. 해당 내용들에 대해 누가 그러한 비평을 했는지, 어디에 그러한 내용이 실려있는지 꼭 언급을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이미 아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백:출처백:신뢰할 수 있는 출처 페이지를 참고해 주십시오.--소심자 (토론) 2012년 5월 12일 (토) 21:05 (KST)답변
"녹턴, Op. 32 (쇼팽)"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