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아말감

마지막 의견: 5년 전 (Trainholic님) - 주제: 치과용 아말감

치과용 아말감

편집

@Trainholic: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5%84%EB%A7%90%EA%B0%90&diff=0&oldid=21651019 요 내용은 치과용 아말감에 대한 얘기라서 원래 문서에 둬야되지 않을까요?--Gcd822 (토론) 2018년 6월 29일 (금) 18:29 (KST)답변

아말감 합금의 성질과 최근의 소비행태를 나타내는 이야기라서 합금 자체의 정보라 할 수 있지 싶어 이동하였습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6월 29일 (금) 20:37 (KST)답변
@Trainholic:출처가 치의학 교재들이라 치과용 아말감에 대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건데 별로 아는 게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아말감의 글을 읽어보면 치과용 아말감 이외에 다른 용도의 아말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원석으로부터 금을 추출하거나 금 도금을 할 때 쓰는 아말감도 있는 모양인데, 다시 '조성 성분'의 가져온 내용을 읽어보면 '경화', '경화 팽창', '강도', '크리프', '경도', '부식', '변색', '변연 적합도' 이런 단어들이 주로 나오는 것을 보면 치과용 아말감에 대한 설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금 추출이나 금 도금을 하는데 작은 따옴표 쳐둔 특성들이 필요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치과용 아말감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지어야 하지 않을까 하네요.--Gcd822 (토론) 2018년 6월 29일 (금) 21:11 (KST)답변
답변 늦어 죄송합니다. 찾아보니 제련용 아말감은 주로 주석과 납, 비스무트 등을 충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하네요. 아말감 자체가 수은을 기반으로 한 합금이니, 이 부분을 보강한다면 '수은을 아말감으로 만들 때 넣는 합금은 어떠어떠한 종류인지' 설명할 수 있지 싶습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6월 30일 (토) 15:59 (KST)답변
제목에 '치과용'이라는 말을 추가했고, 아말감 (치의학)문서에도 조성 성분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제련용 아말감과 성분이 다르다고 생각하고, 현재 적힌 내용은 제련용 아말감에 영향을 주는 성분, 특성이 아니기 때문에 오해가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해서입니다. 주석과 수은을 빼면 다른 성분들은 확실히 용도에 따라 달리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구분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이렇게 했습니다.--Gcd822 (토론) 2018년 6월 30일 (토) 20:09 (KST)답변
넵 알겠습니다. 노고 감사합니다. 제련용 아말감의 성분도 관련 서적에서 찾아 넣도록 하겠습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7월 2일 (월) 15:26 (KST)답변
"아말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