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죽방부인

마지막 의견: 4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11월)

증보문헌비고를 갑자기 이완용이 편집했다? 무슨 괴변인가? 니 입으로 인정했다. 나주김씨가 경순왕의 자손이고 김운발이 시조란 것을 그런데 왜 죽방부인의 둘째 자리를 김덕지로 꽂아넣으면서 울산김씨를 적어놓고 나주김씨를 지워버리는가? 이 괴변론자야. 로긴해서 니 실체를 밝혀라. 공부 더 하셔야 겠구만. 이거 독도 탐내는 왜놈보다 더하네..

검증되지 않은 개인이나 특정 집단의 주장들을 바탕으로 서술하지 마십시오. 그래도 꼭 서술하고 싶으시다면 토론방(또는 각주 처리)에 남겨주십시오, 그리하여 일반인들이 이런 주장들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124.53.120.38 (토론) 2018년 4월 5일 (목) 21:13 (KST))답변

김복기님은 1784년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몀」 및 「김굉 묘지명」에 근거하여 경순왕 제2자를 ‘김굉’이라 주장하신 듯하나, 이는 조선 후기 들어 일부 경주김씨 후손들 족보에 기술된 내용으로, 발견된 묘지명에 ‘김굉’과 ‘김은열’은 낙랑공주 소생으로 고려 태조의 외손이라 하는바, 사학계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고려사』 등의 정사(正史)나 야사(野史)류 문헌은 물론이고, 그 어떤 금석문(金石文) 자료에서도 ‘김굉’, ‘김은열’에 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본 위키백과 서술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여러 문헌과 현대의 백과사전 등의 자료를 참조하여 객관적으로 서술하였음 밝힙니다. [참고로 “경순왕 가계도”에 대해 개인 블로그나 카페가 아닌 객관적인 자료인 「Daum 백과사전」에 경순왕 제2자를 ‘김덕지’라고 도표로 상세하게 표시하고 있으니 참조바랍니다.] 아울러 나주김씨 시조는 경순왕 후손인 김운발이 역사적 사실이니 자꾸 이상한 논지의 글로 본문을 훼손하지 마시기 바랍니다.(124.53.120.38 (토론) 2018년 4월 5일 (목) 21:13 (KST))답변

2018년 4월 5일의 편집 요청

편집

경주김씨 무덤에서 뭐가 나온들 난 모르겠고! 조선 영조대왕이 국가적 역점을 두고 편찬하여 정조 때를 거쳐 순조때에 완성한 '증보문헌비고'내용 찾아보시고 말씀하세요. 국가사업이니 족보 왜곡할 일 없고 성씨에 대한 조사도 현재 알고 있는 성씨보다도 많습니다. 그 만큼 조선학자 및 중신들이 심혈을 기울여 정확성을 높인 성씨집입니다. 거기에 딱 나오죠. 다른 거 몰라도 죽방부인 둘째가 김황(굉)이고 별빈안씨 소생이 울산김씨라고요! 뭘 더 알고 싶으세요? -->

2018년 4월 6일의 편집 요청

편집

116.127.27.145 (토론) 2018년 4월 6일 (금) 17:20 (KST)답변

구체적인 요청 내용이 없습니다. 틀을 처리로 표시하고 요청을 닫습니다. -- 메이 (토론) 2018년 4월 8일 (일) 11:46 (KST)답변

2018년 4월 6일의 편집 요청

편집

116.127.27.145 (토론) 2018년 4월 6일 (금) 17:20 (KST)답변

구체적인 요청 내용이 없습니다. 틀을 처리로 표시하고 요청을 닫습니다. -- 메이 (토론) 2018년 4월 8일 (일) 11:47 (KST)답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대해

편집

증보문헌비고 발행 년도에 대해 착오가 있으신 것 같은데, 본 책이 편찬된 해는 1903년~1908년 사이입니다.

≪증보문헌비고≫ 편찬 과정을 살펴보면

  • 1769년~1770년 편찬 ≪동국문헌비≫ : 체계가 서로 어긋나고 소략과 착오가 발생하였음
  • 1782년~1790년 편찬 ≪증정동국문헌비고≫ : 일명 ≪증보동국문헌비고≫라고도 하며, 착오가 많은 ≪동국문헌비고≫를 보완 증보함
  • 1894년 편찬 ≪증보문헌비고≫ : 갑오경장(1894년)으로 문물제도가 크게 바뀌어 이를 반영하기 위해 ≪증정동국문헌비고≫를 개찬함
  • 1903년~1908년 편찬 ≪증보문헌비고≫ : 친일파 총리대신 이완용등이 경국제세의 실용을 위한다며 편찬함--124.53.120.38 (토론) 2018년 4월 7일 (토) 00:51 (KST)답변

경순왕 왕자들 이름에 대해

편집

1145년(고려 인종 23) 편찬된 《삼국사기(三國史記)》부터 1790년(정조 14) 편찬된 ≪증정동국문헌비고.(일명 증보동국문헌비고)≫때까지 경순왕 왕자들의 휘(諱)에 대해서는 사실명(史失名)으로 기록되어 왔습니다.

  • 1784년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명
「~兄則鎰 次鍠 次鳴 弟 曰重錫 曰鍵 曰鐥 曰鐘, ~敬順王 第二子 四子 以國舅之子 有功之臣 特賜葬地 城北十里之外 五龍山 南麓 三十里周回~」
(형(兄)은 일(鎰)이고 다음은 굉(鍠)이며 그 다음은 명(鳴)이고 아우(弟)는 중석(重錫) 건(鍵) 선(鐥) 종(鐘)이다. 경순왕(敬順王) 제2자와 4자는 국구(國舅. 왕의 장인)의 아들로 공(功)이 있는 신하(臣下)이기 때문에 특별히 장지(葬地)를 성북 십리(城北十里)밖에 있는 오룡산(五龍山) 남쪽 삼십리 주회(三十理周回)를 하사(下賜)하였다.)
  • 1784년 이후 경주김씨 김사목(金思穆)이 족보에 근기(謹記)한 김은열 묘지명
「~兄鎰 次 鳴鍾 弟曰重錫 曰鍵 曰鐥 曰錘, ~其一面 曰高麗 平章事金湟 繼葬于弟 侍中侍郞金殷說之墓 敬順王 第二子 第四子 以國甥之子 有功之臣 特賜葬地 城北十里之外 五龍山 南麓 三十里周回~」
(형은 일, 차(次), 명종이요, 아우는 중석, 건, 선, 추라 한다. ~그 일면에 이르기를 고려 평장사 김황(金湟)을 아우 시중시랑 은열(殷說)공의 묘위에 장사하니, 경순왕 제2자와 제4자는 고려 태조의 외손자(낙랑공주 소생)로, 나라에 공이 있는 신하여서 특별히 장지를 하사 하니 성북 십리밖 오룡산 남쪽기슭 삼십리 둘레라고 하였다.) - 서차에는 차(次)라 하더니, 일면에 이르기를 고려 평장사 김황(金湟) 이라함.
  • 위와 같이 1784년(정조 8) 발견되었다는 경순왕 4남 ‘김은열 묘지명’과 계자 ‘김굉 묘지명’ 및 ‘소보 김경보 묘지명’을 찾아내어 이를 확인하고 다시 복매(復埋. 다시 묻음) 하였다고 하며, 이후 후손 김사목이 경주김씨 족보를 발간하면서 근기(謹記)한 '김은열 묘지명'을 참조하면 경순왕에게는 8명의 왕자가 있었는데, 서차가 형(兄)은 일(鎰)이요, 다음은 굉(鍠)[또는 차(次), 또는 황(湟)]이며, 다음은 명(鳴)[또는 명종(鳴鍾)]이고, 아우(弟)는 중석(重錫) 건(鍵) 선(鐥) 종(鐘)[또는 추(錘)]이라 한다. 또한 경순왕 제2자와 제4자는 국구(國舅)[또는 국생(國甥)]의 아들로, 공(功)이 있는 신하여서 특별히 장지(葬地)를 성북 십리밖 오룡산 남쪽기슭 삼십리에 특사하였다고 한다.--124.53.120.38 (토론) 2018년 4월 7일 (토) 00:51 (KST)답변

나주김씨 족보 내용

편집

나주김씨 현존 최고 족보인 병오보(1786년) 이후 최근 1979년 발행한 대동보까지 시조 김운발에 대해 기술하면서 경순왕 제2왕자가 비조(鼻祖)라 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후손들이 경순왕을 비조(鼻祖)라 하고 있을 뿐입니다.

  • 1832년 임진보 서문 - 은진(恩津) 송치규(宋穉圭) 서(序)
「我東族姓之蕃 金爲之最 而多出於新羅敬順王 羅州氏卽其一也 其譜系傳世 自高麗大將軍安老縣主始簪組蟬聯」 
(우리 동방의 종족 성씨 중 번화하기로는 김씨가 최고인데, 대부분 신라 경순왕에서 비롯되었는데, 나주김씨도 그중 하나이다. 그 보계가 대대로 전해지다가 고려 대장군 안로현주대에 이르러 고관대작이 잇달아 나오게 되었다.)
  • 1832년 임진보 서문 - 후손(後孫) 상언(相彦) 근서(謹序)
「猗我羅州之金氏 系出新羅 若稽東史文獻足懲 矧乎 敬順大王 揖遜之後 蔭德廣被 簪纓世爀」
(아아~ 우리 나주김씨는 계통이 신라로부터 나왔으니, 우리 역사 문헌들을 살펴보면 얼마든지 증거를 들 수 있는데, 경순대왕께서 왕위에서 물러나신 후 그 음덕(蔭德)을 널리 입어 고관대작들이 대대로 빛났게 되었다.)
  • 1832년 임진보 서문 - 후손(後孫) 응순(應順) 근지(謹識)
「惟我羅州之金卽敬順王後裔也」
(우리 나주김씨는 경순왕의 후예이다.)
  • 1832년 임진보 서문 - 후손(後孫) 진척(進倜) 근서(謹序)
「東方之金 自新羅始有 而敬順王爲我鼻祖 卽後唐天成年也 有季子讓禪入海印爲山人 槩其淸操 不讓孤竹 延陵國人 以是稱季子 子諱雲發 封羅州君 因籍羅州焉」
(우리나라 김씨는 신라에서부터 비롯되었는데 경순왕이 우리 비조(鼻祖)가 되니 즉 후당 천성년간이다. 아들 계자(季子)가 있었는데 고려로의 선양에 반대하고 해인사(海印寺)로 들어가 산인(山人)이 되었는데, 대개 맑은 지조가 고죽(孤竹)이나 연릉국(延陵國) 사람보다 못하지 않았는데, 계자(季子)라 부른다. 그의 아들 운발(雲發)이 나주군(羅州君)에 봉해짐에 따라 나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 1832년 임진보 발문 - 후손(後孫) 의척(義倜) 근발(謹跋)
「惟我金姓 本以敬順王後裔 逮至羅州君 因籍羅州」
(우리 김씨는 본래 경순왕의 후예로서 나주군에 봉해지게 되었고 이 때문에 나주(羅州)를 본관으로 하였다.)
  • 1976년 김인충(金仁忠) 비문(碑文) - 후손(後孫) 관옥(琯玉) 근서(謹書)
「公의 諱는 仁忠이요 貫은 羅州이니 新羅 敬順王之 長孫 羅州君 諱 雲發의 13世孫也다」
(공의 휘는 인충이요 관은 나주이니 신라 경순왕의 장손 나주군 휘 운발의 13세손이다.)
  • 1979년 을미보 대동보
(선조(先祖)를 운발(雲發)로 하며, 관직이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나주군(羅州君)에 봉해져서 자손들이 본관(本貫)을 나주(羅州)로 하였다.)--124.53.120.38 (토론) 2018년 4월 7일 (토) 00:51 (KST)답변

결론

편집

특정인이나 문중을 폄하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된 글이 아님을 먼저 밝히며, 학문을 배우는 후학으로서 역사적으로 검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서술코자 하였습니다. 하지만 저의 아둔함으로 인해 잘못된 기술이나 허위 내용에 대해서는 수용하겠음을 먼저 밝힙니다. 하지만 검증되지 않은 내용이나 허위 주장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나주김씨 시조 김운발에 대한 역사서 및 각종 문헌과 문중 대동보 내용을 살펴보면 경순왕의 후예로서 나주군(羅州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나주(羅州)를 본관으로 하였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 그 와중에 일부 문헌인 경진보(1832년) 서문에 후손 김진척이 근서한 내용에 경순왕이 비조(鼻祖)임을 밝히고 있으며, 그 아들에 대해서는 계자(季子)로 나라를 고려에 선양하는 것에 반대하여 해인사(海印寺)로 들어가 산인(山人)이 되었는데, 그의 아들 운발(雲發)이 나주군(羅州君)에 봉해져 나주를 본관으로 하였다는 내용도 있습니다. 즉 시조의 근원을 밝히고 있습니다.
  • 그런데 최근에 들어 일부 후손들이 1784년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명」을 근거로 시조 김운발의 아버지를 경순왕 계자(季子)로 ‘김굉(金鍠)’이라 하더니, 김황(金湟)이라 합니다. 또 경순왕을 비조(鼻祖)라 하더니, 최근에는 김황(金湟)을 비조라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비조(鼻祖)라함은 원조(元祖) 또는 시조(始祖)와 동일어 개념인데 김황(金湟)이 비조라면 그동안 주장된 비조 경순왕과 시조 나주군 김운발은 어느 위치에 있어야 하는지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한 선대 조상님들이 저술한 족보 내용들도 모두가 잘못 기록되었다고 할 것인지? 또한 「김은열 묘지명」에 대해서도 사학계에서는 정설로 받아들이지 않고 다만 그러한 주장이 있다는 정도입니다.
  • 더 나아가 김복기님 주장대로라면 나주김씨 시조 김운발에 대해 서술하면서 선대 아버지는 김황(金湟)이고, 할아버지는 경순왕 김부(金傅)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신흥대왕 김효종(金孝宗) 등으로 신라김씨 모든 상계 조상을 모두 적시하고 나주김씨 조상이라 해야겠는지요.
  • 시조 김운발은 경순왕의 후손으로, 적장자손이 아닌 이상 굳이 적장자손과 같이 부모, 조부모, 증조부등 상계를 모두 적시할 필요는 없다 할 것입니다. 글의 논지가 나주김씨 자체에 대해서 논하고 있기 때문에 파조와 그의 후손들에 대해 충실하게 기록하는 것이 옳다할 것입니다.
  • 현재까지 역사적으로 검증된 사실은 나주김씨 시조는 김운발이며, 그는 경순왕의 후예로 나주군(羅州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나주(羅州)를 본관으로 하였다는 것입니다.
  • 향후 나주김씨 시조 김운발에 대한 자료들이 더 발굴되어 계속적으로 보완이 이루어지질 바라며, 두서없는 글을 마치고자 합니다. 향후 이에 대해서는 더 이상 논하지 않겠으며, 내용에 대해서는 받아들이시는 분 자유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124.53.120.38 (토론) 2018년 4월 7일 (토) 00:52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11월)

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죽방부인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11월 12일 (화) 07:54 (KST)답변

"죽방부인"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