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한국어 한자

마지막 의견: 3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7월)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문서 제목

편집

'한자(Hanja)'는 중국어와 다른, 한국에서만 쓰이는 언어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관계로 현재의 내용은 '중국어' 페이지로 옮기고, 한자에 대한 내용은 영어 위키 페이지를 번역하는 편이 맞으리라 봅니다. -- pudidic

한자 (중국어)한자 (한국어)를 따로 두는 것이 합리적인 것 같습니다. --PuzzletChung

중국어에서는 Hanzi (한지?)라고 부릅니다. 일본한자를 간지로 독립시켰듯이 "중국어의 한자"를 이동시키고 교통정리를 하는게 어떨까요? 불행히도 한지가 동음이의어가 되는군요. :(

한자 (동음이의어) <- 한자 = 영어 위키의 Chinese Character와 대응 (동음이의어는 아니니 좀 이상하군요. 동어이음어에 가깝네요.)
한자 <- 한국어의 한자 = 영어 위키의 Hanja와 대응
한지 (중국어) <- 중국어의 한지

- 박종대 2005년 4월 19일 (火) 08:54 (UTC)

동의한표 - 갈라드리엔 2005년 4월 19일 (火) 14:46 (UTC)
중국어 발음은 한지가 아니라 한쯔(漢字; hanzi)입니다. 일본의 간지와 달리 한쯔라는 말은 잘 쓰이지 않으므로 한쯔를 문서 제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한자(Chinese charater)를 중국문자라고 부르자는 주장도 본 적 있는데 용어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말고 한자 (중국문자)라는 항목을 만드는 것이 어떨까요? "한자"는 1차적 의미가 그 문자 체계를 이르는 것인데 주지하다시피 중국어를 기록하는데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므로 한자 (중국어)라는 제목은 너무 의미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Iceager 2005년 4월 19일 (火) 16:23 (UTC)

그냥 지금 이대로 두고 한자 페이지를 키우는 것도 방법이네요. 한국어의 한자는 한국 고유의 한자나 한국에서의 한자 사용에 관한 내용을 채우고요. 박종대 2005년 4월 21일 (木) 08:59 (UTC)

국한혼용과 한글전용의 논쟁

편집

"피땀"같은 꾸미는 말을 지우고 최대한 두 개의 시각을 모두 살리는 쪽으로 편집해 봤습니다. "한국 국민들은 사교육으로 한자를 배우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한자어 비중이 절반을 넘는 정도이다", "한국인들은 거의 [...] 한글만으로 쓰고 있다" 같은 내용에 대해서는 문헌이나 여론 조사 결과 등을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Puzzlet Chung 2005년 6월 23일 (木) 00:22 (UTC)

Pronunciation

편집

Some people say that 한자 (漢字) is in reality pronounced as 한짜. Is that standard pronunciation? Or is it some dialect? — Monedula 2006년 8월 16일 (목) 15:04 (KST)답변

According to 표준국어대사전, it's pronounced as /한ː짜/. (ː for long vowels) [1] --Puzzlet Chung 2006년 8월 16일 (목) 15:12 (KST)답변

Hanja Test Wikipedia

편집

The Hanja Test Wikipedia has been created! --203.173.142.46 2006년 11월 14일 (수) 17:43 (KST)답변

Please vote or express your opinion on the language name issue. --203.173.132.36 2007년 5월 26일 (일) 15:02 (KST)답변

한자가 한국어 어휘에 차지하는 부분은 논란이 많습니다.

편집

'오랫동안 한자가 사용되어 상당수의 한자어가 한국어에 들어온 결과 현재 한자어는 한국어 낱말의 최소한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에서 한국어 낱말의 최소한 70%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은 국어학자들 사이에서 아직도 논란이 되는 것으로 압니다. 70%를 넘게 측정하는 학자도 있고, 반도 안된다는 학자들도 있는데 함부로 70%라고 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는 출처필요 틀을 넣도록 하겠습니다.--물푸레 2008년 1월 19일 (토) 20:27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

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한국어의 한자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1일 (일) 18:21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7월)

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한국어의 한자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7월 2일 (목) 06:40 (KST)답변

"한국어 한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