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바벨유저박스ko:User:Ellif/바벨에서 보시기 바랍니다.
For the Babel, and Userbox, Please see en:User:Ellif/Babel.

사람아, 주께서 선한 것이 무엇인지 너희에게 보이셨으니,
오직 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며 주와 동행할지어다.

  • 2005년 2월 2일부터 편집을 시작했군요. 꽤 길다 번호는 716번(179×22).
  • 2012년 1월 4일부터 1년여 간 한국어 위키백과와 창립준비위원회 관련 이메일 공식 대응(OTRS)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 2012년 3월 10일부터 2014년 10월 19일까지 위키미디어 대한민국 창립준비위원회집행위원으로 활동했습니다. 현재는 (사)한국위키미디어협회의 회원으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 2018년 2월 16일 오후 8시, 계정명을 드디어 변경했습니다.

바벨 등편집


위키백과:바벨
ko 이 사용자의 모어한국어입니다.
ko-漢-2 이 使用者는 普通水準漢字의 理解가 可能합니다.
en-3 This user is able to contribute with an advanced level of English.
ja-2 この利用者はある程度日本語を話します。
eo-1 Ĉi tiu uzanto povas komuniki per baza nivelo de Esperanto.
Mar-2 ip'sugido gaiesa marI sugoî peo nó iado.
위키백과:유저박스
  이 사용자는
감리교 신자입니다.
  이 사용자는 창조론을 지지합니다.
 
이 사용자는 위키프로젝트
기독교
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사용자는 위키프로젝트
언어
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사용자는 위키프로젝트
철도
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사용자는 위키프로젝트
고전음악
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사용자는 윈도우로 작업합니다.
ㅁㄴㅇㄹ
ㅓㅏㅣ;
이 사용자는 한글 두벌식 자판을 씁니다.
  이 사용자는 구글 크롬으로 작업합니다.
한오
백년
이 사용자는
한오백년의 회원입니다.
  이 사용자는 WiC에게 당한 적이 있습니다.
!! 이 사용자는 Artlang marE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사용자는 전갈자리입니다.
._. 이 사용자는 가끔씩 애니를 봅니다.
  이 사용자는 SOS단 위키백과 지부의 단원입니다.
 -2 이 사용자는 탱과르에 관해 중급 수준의 지식이 있습니다.
  이 사용자의 정치적 성향
경제적으로 좌파(-3.25)이며,
사회적으로 자유의지론자(-2.20)입니다.
 
 
이 사용자는 위키백과:위키페탄의 최초 번역자입니다.


자나깨나 20002를 만유의 대주재, 구원자, 다시오신 주로 믿는 신천지사이비 종교입니다.
동일본 대지진 : 편집하기 일본어 기사 편집하기 영어 기사 연합뉴스 산케이 msn 네이버 뉴스검색

자기소개편집

  • 저는 하나님을 믿고 있고 보수적 감리교 교회에 속한 진보적 입장의 개신교인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법이 세상의 법보다 우선하다는 사실에 준거하여 살아가려고 합니다.
  • 다양한 관심들을 다양한 대상에 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에 대하여 그 선이 분명합니다.
    • 저의 공식 정치노선은 진보기독교적 반미반북주의입니다.
    • Esperantisto이기 전에 Conlanger입니다. 여러개의 만든 언어도 있습니다.
    • 두벌식 자판한양 옛한글 지지자이며, 세벌식 사용자들에 일부분 반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격언편집

leda, kizona linâ e cilin kilith,
lampa pul e lithyn nunith,
muilfela kiyono y kele fimi.
lema, tateqâeleyes n'dhiNa,
kizona y lampa, i qylejekisenya.
소나기가 내려 길이 질척대더라도
바람이 불어 눈을 쓰리게 해도
용기를 잃지 말고 힘차게 걸어가십시오.
그러다 보면 어느 때인가 소나기와 바람이
나의 안내자였음을 깨닫는 때가 올 것입니다.
에아라메, Kylano - 소나기 문구
사람들은 내가 뒤로 걷고 있다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확실히 앞을 향해 걷고 있다.
canéo, ao fiyu delwoû cumaro.
nat, ao neceî pui dûluî delwo.
caneo, ao "reû delwo."û lomaro.
nat, ao neceû pui dûluof delo iado.
- Hiroyuki Kuroyana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