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군 을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상남도 통영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통영군 을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1948년~1958년
의원 수1인
이후 선거구거제군

역사

편집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영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통영군 장승포읍, 원량면, 장목면, 거제면, 사등면, 일운면, 동부면, 하청면, 연초면을 관할했다.

1953년 1월, 통영군 을 선거구에 해당하는 지역들이 거제군으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통영군 을 이라는 선거구명으로 선거가 치러졌다.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영군 을 선거구가 거제군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역대 국회의원

편집
선거 정당 의원
1948년 무소속 서순영
1950년 무소속 이채오
1954년 자유당 김영삼

역대 선거 결과

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편집
경상남도 통영군 을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서순영 무소속 16,288표
37.73%
당선
심성환 대동청년단 13,828표
32.03%
진홍기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3,053표
30.23%
합계 43,169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
경상남도 통영군 을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채오 무소속 8,796표
22.12%
당선
서순영 무소속 8,065표
20.28%
진홍기 대한독립촉성국민회 7,315표
18.39%
반성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5,441표
13.68%
윤병원 사회당 5,272표
13.25%
배삼식 대한청년단 2,693표
6.77%
권영두 무소속 2,177표
5.47%
합계 39,759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
경상남도 통영군 을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영삼 자유당 20,770표
44.77%
당선
서순영 민주국민당 14,110표
30.41%
이채오 무소속 11,509표
24.80%
반성환 자유당 0표
0%
합계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