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고성군
통영시·고성군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경상남도 통영시와 고성군 일대를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의 정점식 (재선, 2019~)이다.
통영시·고성군 | |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 |
현 선거구 | |
신설연도 | 1996년 |
국회의원 | 정점식 (국민의힘) |
의원 수 | 1인 |
이전 선거구 | 충무시·통영군·고성군 |
중복되는 선거구 |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96년 제15대 총선부터 '통영시·고성군'라는 이름으로 신설되었으나, 통영시가 충무시와 통영군으로 나뉘어 있었던 시절까지 감안하면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 신설되었으며, 1963년 제6대 총선과 1967년 제7대 총선에서도 같은 관할구역으로 존재했다.
통영군 (통영시의 전신)과 고성군은 1945년 해방 당시부터 존재하였으며, 1948년 제1대 총선에서 통영군은 통영군 갑과 통영군 을로, 고성군은 고성군으로 설치되었다. 이후 1953년 통영군 을에 해당하는 지역이 거제군으로 새로 신설되었으나, 국회의원 선거법이 개정되지 않으면서 이듬해 열린 제3대 총선에서는 그대로 통영군 갑 (통영군)과 통영군 을 (거제군)이 유지되었다. 1955년에는 통영군에서 다시 충무시가 분리되어 나오면서 다음 총선인 1958년 제4대 총선부터 충무시와 통영군이 신설되었다.
이후 1963년 제6대 총선부터 충무시, 통영군, 고성군이 합쳐 충무시·통영군·고성군의 단일 선거구가 되었다. 1971년 제8대 총선에서는 잠시 고성군이 떨어져 나와 충무시·통영군과 고성군으로 나뉘기도 했다. 하지만 다음 총선인 1973년 제9대 총선부터 중선거구제가 시행되면서 충무시·통영군과 고성군은 물론 거제군까지 모여 충무시·통영군·거제군·고성군을 이루는 동시에, 국회의원 2인을 뽑게 되었다.
소선거구제로 회귀한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 각 선거구가 다시 분할되면서 충무시·통영군·거제군·고성군도 충무시·통영군·고성군과 거제군으로 분리되었다. 1995년 제1회 지방선거를 앞두고서 충무시와 통영군이 통합, 통영시로 재출범하면서 통일 지자체장과 지역의회 선거를 치렀고, 이듬해 1996년 제15대 총선부터 충무시·통영군·고성군은 지금의 통영시·고성군이 되었다.
관할 구역편집
- 통영시 전역
- 고성군 전역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 | 의원 | 정당 | 비고 | |
---|---|---|---|---|
1996 | 김동욱 | 신한국당 | ||
2000 | 한나라당 | |||
2004 | 김명주 | |||
2008 | 이군현 | |||
2012 | 새누리당 | |||
2016 | 무투표 당선/의원직 상실 | |||
2019 | 정점식 | 자유한국당 | 2019년 재보궐선거 당선 | |
2020 | 미래통합당 |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 | % | ±% | ||
---|---|---|---|---|---|---|---|---|
1996년 제15대 총선 유권자수: 147,529 투표수: 101,049 | 신한국당 승리 | 김동욱 | 신한국당 | 42,546 | 43.67 | |||
송성욱 | 통합민주당 | 15,859 | 16.27 | |||||
윤우정 | 무소속 | 14,764 | 15.15 | |||||
제정훈 | 무소속 | 9,271 | 9.51 | |||||
이종성 | 무소속 | 7,100 | 7.28 | |||||
최이호 | 무소속 | 4,757 | 4.88 | |||||
박청정 | 자유민주연합 | 3,128 | 3.21 | |||||
2000년 제16대 총선 유권자수: 147,656 투표수: 94,347 | 한나라당 승리 | 김동욱 | 한나라당 | 35,521 | 38.25 | |||
정해주 | 무소속 | 30,485 | 32.83 | |||||
이학렬 | 무소속 | 12,703 | 13.68 | |||||
이근식 | 새천년민주당 | 9,027 | 9.72 | |||||
이청수 | 민주국민당 | 3,313 | 3.56 | |||||
박청정 | 자유민주연합 | 1,800 | 1.93 | |||||
2004년 제17대 총선 유권자수: 146,243 투표수: 86,242 | 한나라당 승리 | 김명주 | 한나라당 | 45,115 | 53.33 | |||
정해주 | 열린우리당 | 36,672 | 43.35 | |||||
이영국 | 새천년민주당 | 2,796 | 3.30 | |||||
2008년 제18대 총선 유권자수: 150,961 투표수: 78,138 | 한나라당 승리 | 이군현 | 한나라당 | 43,305 | 56.47 | |||
김명주 | 무소속 | 29,422 | 38.36 | |||||
권수원 | 평화통일가정당 | 3,958 | 5.16 | |||||
2012년 제19대 총선 유권자수: 158,596 투표수: 83,743 | 새누리당 승리 | 이군현 | 새누리당 | 50,625 | 61.44 | |||
홍순우 | 민주통합당 | 15,017 | 18.22 | |||||
진의장 | 무소속 | 14,546 | 17.65 | |||||
최삼안 | 국민행복당 | 2,203 | 2.67 | |||||
2016년 제20대 총선 | 새누리당 승리 | 이군현 | 새누리당 | 경쟁후보 없음 | ||||
2019년 재보궐선거 유권자수: 155,741 투표수: 79,711 (51.2%) | 자유한국당 승리 | 정점식 | 자유한국당 | 47,082 | 59.5 | |||
양문석 | 더불어민주당 | 28,490 | 36.0 | |||||
박청정 | 대한애국당 | 3,588 | 4.5 | |||||
2020년 제21대 총선 유권자수: 155,648 투표수: 105,084 (67.5%) | 미래통합당 승리 | 정점식 | 미래통합당 | 60,314 | 58.34 | |||
양문석 | 더불어민주당 | 40,235 | 38.92 | |||||
박청정 | 우리공화당 | 1,703 | 1.64 | |||||
김민준 | 국가혁명배당금당 | 1,118 | 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