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는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이다. 1996년 4월 11일 목요일에 실시하였고 총 299명을 선출하였다.
![]()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 신한국당 ■ 새정치국민회의 ■ 민주당 ■ 자유민주연합 ■ 무소속 | |||||||||||||||||||||||||||||||||||||||||||||||||||||||||||||||||||
|
선거 정보편집
배경편집
이번 15대 국회의원 선거는 1997년 15대 대통령 선거를 1년 8개월 앞둔 전초전이다.
투표율편집
- 전국 선거인수 31,488,294명 중 20,122,799명이 투표하여, 투표율은 63.9%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지난 14대 총선의 투표율 71.9%와 비교하면 낮은 수치이다.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
투표율 | 61.0 % | 60.5 % | 60.9 % | 60.1 % | 64.5 % | 63.0 % | 61.5 % | 69.3 % | 68.3 % | 68.7 % | 68.3 % | 69.8 % | 71.7 % | 66.0 % | 71.1 % |
선거 결과편집
정당별 당선자 수편집
신한국당 | 새정치국민회의 | 민주당 | 자유민주연합 | 무소속 | 계 | 의석분포 및 투표율 그래프 | 투표율 | 의원 성비(남/여) | ||||||||||||
---|---|---|---|---|---|---|---|---|---|---|---|---|---|---|---|---|---|---|---|---|
지역구 | 121 | 66 | 9 | 41 | 16 | 253 |
|
63.9% |
|
|||||||||||
전국구 | 18 | 13 | 6 | 9 | 46 |
|
63.9% | |||||||||||||
합계 | 139 | 79 | 15 | 50 | 16 | 299 |
|
63.9% | ||||||||||||
자료의 출처는 대한민국 통계청 또는 대한민국 선거통계시스템이다. |
지역별 지역구 의원 수편집
지역 | 신한국당 | 새정치국민회의 | 민주당 | 자유민주연합 | 무소속 | 계 | 의석분포 및 투표율 그래프 | 투표율 | 의원 성비(남/여) | |||||||||||
---|---|---|---|---|---|---|---|---|---|---|---|---|---|---|---|---|---|---|---|---|
서울 | 27 | 18 | 1 | 1 | 47 |
|
61.0% |
|
||||||||||||
부산 | 21 | 21 |
|
60.5% |
|
|||||||||||||||
대구 | 2 | 8 | 3 | 13 |
|
60.9% |
|
|||||||||||||
인천 | 9 | 2 | 11 |
|
60.1% |
|
||||||||||||||
광주 | 6 | 6 |
|
64.5% |
|
|||||||||||||||
대전 | 7 | 7 |
|
63.0% |
|
|||||||||||||||
경기 | 18 | 10 | 3 | 5 | 2 | 38 |
|
61.5% |
|
|||||||||||
강원 | 9 | 2 | 2 | 13 |
|
69.3% |
|
|||||||||||||
충북 | 2 | 5 | 1 | 8 |
|
68.3% |
|
|||||||||||||
충남 | 1 | 12 | 13 |
|
68.7% |
|
||||||||||||||
전북 | 1 | 13 | 14 |
|
68.3% |
|
||||||||||||||
전남 | 17 | 17 |
|
69.8% |
|
|||||||||||||||
경북 | 11 | 1 | 2 | 5 | 19 |
|
71.7% |
|
||||||||||||
경남 | 17 | 2 | 4 | 23 |
|
66.9% |
|
|||||||||||||
제주 | 3 | 3 |
|
71.7% |
|
|||||||||||||||
합계 | 121 | 66 | 9 | 41 | 16 | 253 |
|
63.9% |
|
|||||||||||
자료의 출처는 대한민국 통계청 또는 대한민국 선거통계시스템이다. |
각 정당 상황편집
신한국당편집
집권 여당 신한국당은 5공의 색채가 강했던 민주자유당을 신한국당으로 당 이름까지 바꿔서 김영삼 대통령을 반대했던 사람들과 정치 신인들까지 끌어모아서 인재 영입을 하여 15대 총선에서 원내 1당 지위는 지키는데 성공했지만 과반수에 미달하여 139석을 차지하여 만족했다. 특히 민주당계 지지가 강한 서울에서 27석 차지해서 집권 여당이 사상 처음으로 서울에서 승리했다. 전북 1석(군산시 을)를 당선시켜 지역주의는 완화하는데 성공했으나 대구광역시도 자유민주연합에게 일격을 당하고 충청도 지역에서 대참패를 당하고 만다. 무소속, 민주당, 자유민주연합 의원을 영입해서 원내 과반수 확보에 성공한다.
새정치국민회의편집
새정치국민회의도 1여다야 구도속에서 겨우 79석을 차지했다. 하지만 기대 하고 있던 서울지역 마저 중견급 의원들이 상당수가 낙선 당하고 김대중 총재도 국회 입성에 실패하였고 심지어 충청지역에서 1석 차지도 실패하고 만다. 그나마 호남지역 1곳 제외하고 모두 석권하는게 위안이 되고만다.
자유민주연합편집
자유민주연합은 충청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반YS 정서가 강하던 대구에서 8석을 차지하며 신한국당을 압도하였다. 또한 강원, 경기 지역에서도 선전하였다. 이로써 자유민주연합은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가뿐히 성공했으며, 제15대 국회는 3당 구도로 개원케 되었다.
통합민주당편집
통합민주당은 15석을 차지,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했다. 이후 신한국당 측의 의원 빼가기로 민주당은 더욱 더 위축됐으며, 결국 1997년 대선을 앞두고 신한국당과 합당하게 되었다. 이 당시 신한국당과의 합당에 반대한 의원들은 새정치국민회의로 넘어가, 국민의정부 출범 이후 여당 생활을 하게 되었다.
기타 군소 정당편집
그 외에도 한병채 전 민주정의당 의원 등 무소속 인사들이 창당한 무당파국민연합, 백범 김구 선생의 정신을 계승하는 민족 민주 정당을 표방하며 창당한 21세기한독당, 홍익인간 정신에 기반한 한국 민족주의·자유 시장 경제에 기반한 자유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정당을 표방한 대한민주당, 한학 및 유림 인사들이 창당한 친민당 등 4개 군소 정당이 총선에 참여하였으나, 모두 당선자를 내지 못하고 해산되었다.
전국구 득표율편집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 비고 |
---|---|---|---|---|
신한국당 | 6,783,730 | 34.5% | 18 | |
새정치국민회의 | 4,971,961 | 25.3% | 13 | |
통합민주당 | 2,207,695 | 11.2% | 6 | |
자유민주연합 | 3,178,474 | 16.2% | 9 | |
대한민주당 | 3,114 | 0.02% | 정당등록취소 | |
무당파국민연합 | 177,050 | 0.9% | ||
21세기한독당 | 1,693 | 0.01% | ||
친민당 | 571 | 0.003% | ||
총합 | 19,653,073 | 46 |
국회의원 전국구 46석의 의석 배분 기준으로 활용되었다.
당선자편집
지역구편집
색 | 정당 |
---|---|
신한국당 | |
새정치국민회의 | |
자유민주연합 | |
민주당 | |
무소속 |
전국구편집
신한국당 | 새정치국민회의 | 자유민주연합 | 민주당 | |
1 | 이회창 | 정희경 | 정상구 | 이중재 |
2 | 이홍구 | 박상규 | 한영수 | 이미경 |
3 | 이만섭 | 이성재 | 이건개 | 이수인 |
4 | 김명윤 | 길승흠 | 김허남 | 김홍신 |
5 | 권영자 | 박정수 | 김광수 | 조중연 |
6 | 김수한 | 김한길 | 지대섭 | 하경근 |
7 | 김덕 | 이동원 | 정상천 | |
8 | 신영균 | 신낙균 | 이동복 | |
9 | 박세환 | 권노갑 | 한호선 | |
10 | 정재철 | 천용택 | ||
11 | 전석홍 | 한영애 | ||
12 | 조웅규 | 방용석 | ||
13 | 오양순 | 김종배 | ||
14 | 김철 | |||
15 | 황우여 | |||
16 | 김영선 | |||
17 | 윤원중 | |||
18 | 강용식 |
참고 자료편집
-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일부개정 1996.2.6 법률 제5149호)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