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동(退溪洞)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에 있는 동이다.

퇴계동
退溪洞

로마자 표기Toegye-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행정 구역80, 522
법정동퇴계동
관청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퇴계로 46
지리
면적4.13 km2
인문
인구48,669명(2022년 2월)
세대16,706세대
인구 밀도11,8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퇴계동 행정복지센터

연혁

편집
  •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폐합 때 부내면의 약사리원리 일부를 병합하여 퇴계리라 하여 신남면에 편입
  • 1939년 춘천읍에 편입되어 퇴계정이라 함
  • 1946년 왜식동명을 우리이름으로 고칠 때 퇴계동으로 정함

지명 유래

편집

퇴계동은 옛적에 신선(神仙)이 산다는 무릉계(武陵溪)라불렀다. 무릉계곡 한편으로 백사장이 있고 그 주변에는 복숭아 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꽃이 활짝 피는 봄이면 자욱한 안개가 서서히 걷히면서 안개 사이로 드러나는 계곡 속의 만발한 도화꽃 밭은 바로 선경(仙境)이요 무릉도원 이었다. 이곳에 효자 반희언이 살고 있었는데 임진왜란 당시 맹장으로 활약하던 아버지(반처량)가 전사하자 3년간 시묘살이(아버지의 묘소옆에 초막을 짓고 묘소를 돌보는일)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 보니 어머님의 병이 들어 사경을 헤메고 있었다. 효자 반희언은 백방으로 약을 구하여 어머니를 간병하였으나 효험이 없던 차 꿈속에 한 신선이 나타나 대룡산 어디쯤 가면 시체 다섯구가 있으니 가운데 시체의 목을 잘라다 어머니께 먹이면 병이 낫는다고 하여 신선이 가르쳐준 대룡산으로 달려갔다. 과연 시체 다섯 구가 있었다. 어머니를 살리겠다는 일념으로 가운데 시체의 머리를 잘라 돌아온 길을 거두리(머리를 잘랐다)라 부르니 지금의 거두리다. 시체의 머리를 달여서 어머니께 드리니 어머니의 병은 씻은 듯이 나았다. 하도 기이하여 후일 대룡산을 찾으니 산삼 다섯 포기 중 가운데 가장 오래된 산삼의 머리 부분이 잘려 있었다. 이 효성이 임금님께 알려져 효자각을 내리니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춘천, 원주, 양구 가는 삼거리, 지금의 효자동이 그 효자각을(현재 우체국 자리)세웠던 곳이다. 반희언의 어머니는 복사꽃을 좋아했다. 효자의 정성으로 완쾌된 어머니와 복숭아 나무를 심고 가꾸며 살아가던 중 하루는 홍수로 대룡산의 계곡물과 학곡천의 범람한 물이 복숭아 밭으로 밀려왔다. 효자 반희언은 옥황상제님을 부르며 온 몸으로 물길을 막아내자 하늘도 효자의 마음을 헤아려 물길을 돌렸다. 계곡의 하천이 방향을 돌려 물려갔다 하여 물러갈 퇴(退), 시내 계(溪) 자를 써서 1946년부터 퇴계동(退溪洞)이라 부르게 되었다.

주요 시설

편집

관공서

편집
 
퇴계동 행정복지센터

교통 시설

편집

문화 시설

편집

상업 시설

편집

산업 시설

편집
  • 퇴계농공단지

방송국

편집

아파트

편집
단지명 건설사 시행사 주소 입주 비고
퇴계주공 2단지 ㈜한양 대한주택공사 퇴계로 168 1999년 9월
퇴계주공 1단지 ㈜일신 퇴계로 167 2000년 9월
퇴계주공 6단지 중흥건설 지석로 64 2002년 3월
퇴계주공 7단지 ㈜효성 승지골길16번길 14 2004년 11월 국민임대
퇴계주공 9단지 서광건설산업㈜ 안마산로 244 2005년 6월
퇴계주공 8단지 중원건설산업㈜ 승지골길16번길 48 2005년 7월
퇴계뜨란채 10단지 금호건설
한울종합건설㈜
승지골길16번길 47 2006년 5월
남춘천 휴먼시아 1단지 성지건설㈜ 한국토지주택공사 남춘천새길 11 2011년 8월
남춘천 휴먼시아 2단지 서희건설 퇴계로 128 2010년 7월
퇴계 이안 대우산업개발 ㈜더굿 영서로 2169 2007년 8월
퇴계 쌍용스윗닷홈 쌍용건설 춘주로 176-22 2005년 5월
퇴계 중앙하이츠빌 중앙건설 모아건설 영서로2141번길 33 (1단지) 2006년 10월
㈜명문건설 영서로2141번길 25 (2단지) 2007년 7월
지석로 10 (3단지) 2008년 9월
퇴계 우성 우성건설㈜ 국사봉길 7 1999년 9월
유승한내들 ㈜유승종합건설 퇴계로 108 2006년 8월
퇴계 E편한세상 ㈜디엘이앤씨 생보부동산신탁㈜ 안마산로 133 2019년 10월

교육

편집

각주

편집
  1. 초중통합학교
  2. 초중통합학교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