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홍구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사회운동가
Plusmadeleine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1일 (목) 12:05 판

한홍구(韓洪九, 1959년 7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역사학자이자 사회운동가이다.

한홍구
출생1959년 7월 16일(1959-07-16)(64세)
대한민국
성별남성
국적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학력서울대학교 석사, 미국 워싱턴 대학교 대학원 박사
직업교수
부모한만년(출판인), 유효숙
배우자이관실
친척할아버지 한기악, 외할아버지 유진오

생애

조선시대의 학자 한백겸의 14대손이며, 한치응(韓致應)의 7대손이다.[1] 독립운동가 한기악의 손자이자, 일조각의 창업주인 언론인 한만년의 4남이며, 교육자 유진오의 외손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거쳐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항일독립투쟁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에서 돌아와 1999년부터 베트남전쟁 당시 파병 한국군의 베트남민간인학살 진실규명운동,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한 활동 등을 해왔으며, 2014년에는 ‘노동자들 파업에 대한 보복성 손해배상과 가압류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제도 개선을 주도하는 ‘손잡고 캠페인’을 벌였다.

2004년부터 3년간 국정원 과거사위원회에 있었으며, 현재는 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관장, 평화박물관 이사로 일하고 있다.

2015년 10월, 정부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내세운 이후, 보수언론들은 ‘반헌법행위자 열전 편찬위원회’ 사업을 주도해 온 한홍구 교수 강연내용을 왜곡 보도하며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근거로 삼았다.

평가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 이후, 보수언론들은 마치 한홍구 교수가 ‘박근혜 대통령이 태어나기 전에 그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죽였어야 했다’고 기술함으로써 대표적인 좌파 역사학자로 지목했다.

또한 그의 아버지 한만년 선생의 1989년 7월 국민일보 칼럼을 다루며 한홍구 교수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엄혹한 시절, ‘한만년 선생이 이렇게 글을 썼던 이유는 무엇보다 사랑하는 아들을 보호하기 위함이었고, 둘째는 다른 자식들의 앞길이 염려되었기에 공안기관 사람들에게 보라고 쓴 글이었다.’[2]

2012년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으며, 2015년에는 서울대 사학과 총동창회가 선정한 '자랑스러운 사학인상'을 받았다.

저서

  • <대한민국史>(총4권), 한겨레 (2006.12.4.) <특강 (한홍구의 한국 현대사 이야기)>, 한겨레 (2009.3.31.) <한홍구와 함께 걷다>(평화의 눈길로 돌아본 한국 현대사), 검둥소 (2009.11.30.) <지금 이순간의 역사>, 한겨레 (2010.3.8.) <직설>, 한겨레 (2011.8.31.) <장물바구니-정수장학회의 진실>, 돌아온산 (2012.10.26.) <유신>(오직 한 사람을 한 시대), 한겨레 (2014.1.15.) <역사와 책임>, 한겨레 (2015.4.6.) <사법부>, 돌베개 (2016. 3. 21.)
  • <편견을 넘어 평등으로> 공저, 창비 (2006.2.10.) <거짓말> 공저, 한겨레 (2006.9.15.) <전쟁없는 세상> 공저, 철수와영희 (2008.6.10.) <1%의 대한민국> 공저, 철수와영희 (2008.9.18.)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묻다>(5인5색 한국 현대사 특강) 공저, 철수와영희 (2009.10.9.) <노무현이 꿈꾼 나라>공저, 동녘 (2010.4.) <인문학 박물관에서> 공저, 인물과사상사 (2010.5.17.) <다시 민주주의를 말한다> 공저, 휴머니스트 (2010.5.17.) <길은 걷는 자의 것이다> 공저, 한겨레 (2012.6.29.) <감시사회> 공저, 철수와영희 (2012.6.30.) <내가 나일 때 가장 빛난다> 공저, 철수와영희 (2012.9.18.) <후쿠시마 이후의 삶> 공저, 반비 (2013.3.4.) <하나의 대한민국, 두개의 현실> 공저, 시대의 창 (2014.4.19.) <그가 그립다>(스물 두 가지 빛깔로 그려낸 희망의 미학) 공저, 생각의길 (2014.5.8.)

가계

      • 백부 : 한만춘 (경성제대 졸, 전 연세대 공대 학장)
      • 숙부 : 한만청 (서울대 졸, 전 서울대병원장, 영상의학 전공)
        • 사촌 : 한민구 (서울대 졸, 서울대학교 교수, 전 공대 학장)
    • 형제 :
      • 한성구 (서울대 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내과학 전공)
      • 한경구 (서울대 졸,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인류학 전공)
  • 한준구 (서울대 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영상의학 전공)
      • 한승미 (서울대 졸,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문화인류학 전공)
    • 배우자 : 이관실
      • 자녀 :

같이 보기

각주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