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 (고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지나친 국한문혼용으로 가독성이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지 않은 한자를 제거함. - 여기는 한국어위키이고, 국한문은 필수가 아님.
2번째 줄:
{{한국의 불교}}
 
'''보우'''(普愚: [[1301년|1301]]~[[1382년|1382]])는 [[고려]] 말 고승(高僧)으로고승으로 [[불교]] 개혁(改革)에개혁에 힘쓴 [[승려]]이다. 호는 태고(太古){{.cw}}보허(普虛)이며, 속성(俗性)은속성은 홍씨(洪氏)이고 시호(諡號)는시호는 원증(圓證)이다.<ref name="글로벌-보우">[[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사/중세사회의 발전/고려 후기의 사회와 문화/고려 후기의 문화#보우|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고려 후기의 사회와 문화 > 고려 후기의 문화 > 보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ref name="글로벌-보우3">[[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한국의 사상/고려시대의 사상/고려시대의 불교사상#보우|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보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흔히 '''태고'''(太古) 또는 '''태고국사'''(太古國師)라 불린다.
 
려말(麗末)에 [[고려]]는 [[원나라|원]](元)에 재침략받고 이어 그 지배하에 들어가는 사회상 불안에 따른 불교단의 타락(墮落)과타락과 오랫동안 쌓여온 기복 불교[祈福 佛敎]의 폐단(弊端)은폐단은 마침내 [[고려]] 사회에 [[배불]](排佛)의 싹을 마련하고 있었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한국의 사상/고려시대의 사상/고려시대의 불교사상#보우의 9산통합|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槪說〕 > 보우의 9산통합]],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한편 [[원나라]](元)쇠퇴(衰退)는쇠퇴는 [[공민왕]](恭愍王)에게 정치상 자주성을 되찾을 기회(機會)를기회를 주어 그 사람은 복고(復古) 정치를 과감히 수행(遂行)해수행해 갔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보우(普愚)와 [[혜근]](惠勤)은 이런 세상에 출현하여 [[임제종]](臨濟宗)의 선풍(禪風)으로 불교를 일상 현실에 살리려고 하였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이 사람들 중에서도 보우(普愚)는보우는 특히 이런 사상을 강하게 나타내어 [[구산]](九山)의 통합을 시도(試圖)하여시도하여 그 과제를 [[조선]] 대(代)에 넘겨주었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공민왕]]이 뒤에 요승(妖僧)이라고요승이라고 청사(靑史)에 기록(記錄)된기록된 [[신돈]](辛旽)기용(起用)하여기용하여 실정(失政)한실정한 탓에 배불(排佛)하는배불하는 기운이 비등(沸騰)하였고비등하였고 고려는 멸망하는 일로(一路)를일로를 걸었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이에 [[불교]]도 운명을 함께 하여 조선 전체가 관여하는 배불책(排佛策) 탓에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탄압(彈壓)받아탄압받아 쇠락(衰落)하는쇠락하는 과정을 겪었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보우(普愚)와보우와 [[혜근]](惠勤)을 함께 이은 [[혼수]](混修)의 법맥이 [[조선]]에 이어졌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 생애 ==
[[홍주]](洪州, 현 충청남도 홍성군)출신. 아버지는 홍연(洪延), 어머니는 정씨이며, 해가 품에 들어오는 태몽(胎夢)이태몽이 있었다.
 
13세([[1313년]])에 출가하여 회암사(檜巖寺) 광지(廣智)의 제자가 되었고 얼마 뒤 [[가지산]]으로 가서 수행(修行)하였다수행하였다.<ref name="글로벌-보우"/>
 
25세([[1325년]], [[충숙왕]](忠肅王) 재위 12년)에 [[승과]](僧科)인 화엄선(華嚴選)에 급제(及第)했으나급제했으나 명리(名利)를명예와 이익을 버리고 [[감로사]]에서 고행(苦行)하였다고행하였다.<ref name="글로벌-보우"/><ref name="글로벌-보우3"/>
 
[[삼각산]]에 [[태고사 (고양시)|태고사]](太古寺)를 지었고 [[1346년]]([[충목왕]](忠穆王) 재위 2년) [[원나라]](元)에 가서 하무산(霞霧山) [[청공]](淸珙)의 법을 이어받아 [[임제종]](臨濟宗)의 시조(始祖)가시조가 되었다.<ref name="글로벌-보우"/>
 
귀국하여 [[공민왕]]의 청(請)으로청으로 [[왕사]](王師)가 되었으나 [[신돈]](辛旽)횡포(橫暴)를횡포를 보다 못해 [[소설사]](小雪師)로 돌아갔으며 신돈(辛旽)의신돈의 참해(慘害)를참해를 피하여 [[법주사]](法住寺)에 은거(隱居)하였다은거하였다.<ref name="글로벌-보우"/><ref name="글로벌-보우2">[[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한국의 종교/한국의 불교/한국불교의 역사#보우|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고려시대의 불교 > 보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그 후 [[신돈]]이 죽은 후 [[우왕]]의 [[국사]](國師)가 되었다.<ref name="글로벌-보우"/><ref name="글로벌-보우2"/>
 
== 사상과 활동 ==
보우(普愚)는보우는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이 치선(痴禪)이라고치선이라고 갈파(喝破)한갈파한 [[구산]](九山)을 통합하고 구이지학(口耳之學)을 지양(止揚)하고자지양하고자 [[원융부]](圓融府)를 건립하고 선사(禪師)의 품법(稟法)으로품법으로 전(全)모든 불교를 총섭(摠攝)하여총섭하여 사회 질서(秩序)를질서를 유지(維持)하고자유지하고자 했다.<ref name="글로벌-보우2"/>
 
보우(普愚)는보우는 일찍이 [[만법귀일]](萬法歸一){{.cw}}[[무자]](無字)와 같은 [[화두]](話頭)를 [[참선]]하여 크게 깨친 바가 있었지만, 충목왕(忠穆王) 2년에 [[중국의 불교|중국]]에 다시 건너가, [[임제]](臨濟)의 제17대 법손(法孫) [[석옥]](石屋)에게서 법을 받고 충목왕(忠穆王) 4년에 귀국했다.<ref name="글로벌-보우3"/>
 
그러나 그는 절에 머물지 않고 [[광주시 (경기도)|광주]](廣州) [[소설산]](小雪山)에서 경작에 힘썼다.<ref name="글로벌-보우3"/> [[공민왕]]이 보우(普愚)를 불러 법을 물었을 때 보우(普愚)는보우는 왕도(王道)는왕도는 불교 신앙(信佛)에신앙에 있지 않고 밝은 정치에 있다고 하였다(《[[고려사]]》권 38).<ref name="글로벌-보우3"/>
 
그리고 [[선종 구산]][禪宗 九山]을 통합하여 [[임제종]](臨濟宗)의 [[백장청규]](百丈淸規)로써 기강(紀綱)을기강을 바로잡고 [[개경]](開京)왕기(王氣)가왕기가 다했으니 복고(復古) 정치가 어려우므로 [[한양]]으로 천도(遷都)자고도읍을 옮기고자고 아뢰었다《[[유창선도증국사행장]](維昌撰圖證國師行狀)》(공민왕 5년).<ref name="글로벌-보우3"/> [[공민왕]]은 보우(普愚)의보우의 건의를 수용해 곧 [[광명사]](廣明寺)에 [[원융부]](圓融府)를 두고 [[9산]] 통합에 착수(着手)하였고착수하였고 [[한양]]에 궁절을 짓게 하였다.<ref name="글로벌-보우3"/> 그러나 [[한양]] [[천도]]는 일부 신하가 [[묘청]](妙淸)의 예를 들어 반대하므로 좌절(挫折)되고좌절되고 이와 함께 [[원융부]](圓融府)<ref>고려 공민왕(恭愍王) 5년 서기 1356년에 왕사(王師)로왕사로 책봉(冊封)된책봉된 보우(普愚)가보우가 국왕에게 허락(許諾)받아 광명사(廣明寺)에 설치한 관청. 당시 불교는 사상에 관계되어 분열하고 대립하였는데 보우(普愚)는보우는 임제선(臨濟禪)에 의거(依據)해의거해 구산 선종[九山 禪宗]을 통일하여 극복(克服)하고자 하였으며, 원융부(圓融府)는 이런 보우(普愚)의보우의 의지가 수용되어 설치되었다.</ref>도 불과 10개월 만에 해체되고 말았다.<ref name="글로벌-보우3"/>
 
[[구산]](九山) 통합과 [[한양]] [[천도]](遷都) 계획은 실패하지만, 이런 보우(普愚)의보우의 행장(行狀)에서행장에서 그 사람이 얼마나 현실과 유관(有關)한유관한 종교인(宗敎人)이었는지종교인이었는지 추단(推斷)이추단이 가능하다.<ref name="글로벌-보우3"/> [[한양]] [[천도]](遷都)는 인심을 일변(一變)하게일변하게 하고 정교(政敎)를정교를 쇄신(刷新)하려는쇄신하려는 의도(意圖)였고의도였고 [[천도]]하는 이유로 든 [[풍수지리설]]은 당시 풍조(風潮)를풍조를 현실에 맞게 이용하려 한 기도(企圖)였다기도였다.<ref name="글로벌-보우3"/>
 
== 함께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