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위징'''(魏徵, [[580년]] - [[643년]])은 중국 [[당나라|당]](唐)의 정치가. 자(字)는 현성(玄成)이며, [[당 태종]]을 섬겨 간의대부(諫議大夫) ・ 좌광록대부(左光綠大夫)에 임명되고 정국공(鄭國公)에 봉해졌다.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높았고 당 태종과의 문답은 대부분 《[[정관정요]]》(貞觀政要)에 실려 있으며, 「간태종십사소(諫太宗十思疏)」는 그 중 가장 유명한 글이다.
 
== 생애 ==
거록(巨鹿) 곡양(曲陽) 사람으로<ref>곡양은 지금의 중국 [[하북 성]] 진현(晋縣)인데, 이미 당대의 문헌으로 오긍의 《정관정요》에 "위징은 거록 사람인데 근래에 상주의 내황으로 집을 옮겼다(魏徵,钜鹿人也。近徙家相州之內黄)"고 했고, 구양순(毆陽洵)이 지은 『당경조개원사종명(唐京兆開元寺鐘銘)』에도 "비서감(秘書監) 검교시중(檢校侍中)인 거록군(钜鹿郡) 위징이 찬(撰)한다"고 했으며, 두엄(杜淹)이 지은 《문중자세가(文中子世家)》에도 당시 이름높던 문인들의 이름을 열거하면서 "거록의 위징"을 언급하는 등 위징의 고향을 거록으로 명기하고 있다. [[오대 십국]] 시대에 편찬된 《구당서》 위징열전에서는 이 설을 따라서 거록 곡성 사람으로 소개하면서 "주의 대상경자에서 태어났다(生于周大象庚子)"라고 적었다.</ref>, 대중(大中) 6년([[852년]]) 11월에 세워진 『위공선묘비(魏公先墓碑)』에는 위징의 할아버지는 교(釗), 아버지는 완(琬)으로, 부인은 하동 배씨(河東裴氏) 집안의 여자였다고 전한다.
 
줄 17 ⟶ 18:
 
태종의 명으로 편찬하게 한 《수서》(隋書)의 서론(序論)과 《양서》(梁書), 《진서》(陳書), 《진서》(齊書)의 총론(總論) 등 많은 저작을 남겼으며, 그의 발언은 《정관정요》에 대부분 수록되었다. "사람의 인생에 의기(意氣)가 있다면야/구구한 공명(功名) 따위 무슨 문제가 되랴"라는 구절로 유명한 「술회(述懷)」라는 시를 읊었다.
 
== 자손 ==
* 위숙옥(魏叔玉) - 장남. 관직은 광록소경(光祿少卿).
** 위응(魏膺) - 숙옥의 아들. 관직은 비서승(祕書丞).
* 위숙유(魏叔瑜) - 차남. 관직은 직방낭중(職方郎中).
** 위화(魏華) - 숙유의 아들. 관직은 예부시랑(禮部侍郎).
*** 위첨(魏瞻) - 화의 아들. 관직은 가부낭중(駕部郎中).
* 위숙완(魏叔琬)
* 위숙린(魏叔璘)
 
위징의 손자로 누구의 계통인지는 분명하지 않은 위은(魏殷)은 여양령(汝陽令)이 되어 세 아들을 두었다.
 
* 위명(魏明) - 관직은 감찰어사(監察御史).
** 위빙(魏憑) - 명의 아들. 관직은 헌릉대령(獻陵臺令).
*** 위막(魏谟) - 빙의 아들. 자는 신지(申之). [[당 선종|선종]](宣宗) 연간의 재상.
* 위수(魏隋) - 관직은 봉주자사(蓬州刺史).
* 위만(魏萬) - 관직은 겸어사중승(兼御史中丞).
 
== 서유기 속의 위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