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우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 생애 ==
그의 초기 행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도쿄 니혼 미술 학교(日本美術學校)에 재학 중이던 [[1937년]] 5월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 서양화 부문에서 작품 《남(男)》으로 입선했다. [[일본]] [[도쿄 도|도쿄]] 니혼 미술 학교에 재학 중이던 [[1938년]] [[9월 11일]] 《[[매일신보]]》에 산문 〈쉬르레알리슴([[초현실주의]], 쉬르레알리즘) 회화소론〉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했고 [[1939년]] [[7월 20일]]부터 [[7월 23일]]까지 [[경성제국대학]] 갤러리에서 화가 주현(周現)과 함께 2인전을 열었다. 1939년 1월 전후부터 1941년 7월경까지 일본 도쿄의 모더니즘 시 모임인 신료도(新領土, 신영토)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1939년 7월에는 일본의 미술 집단인 마마(ママ) 회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41년]] 1월 잡지 《[[조광]]》에 산문 〈예술의 귀향 - 미술의 신체제(藝術의 歸鄕 - 美術의 新體制)〉를 발표하면서부터 문학과 언론 활동에 전념하는 한편 일제에 적극 협력하게 된다. 1941년 4월 전후에 자오선사(子午線社)에 입사했다.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조광》, 《[[동양지광]]》, 《[[문화조선]]》 등에 기고한 산문과 시를 통해 학병, 지원병, 징병을 선전, 선동하는 한편 일본의 침략 전쟁과 전사자를 찬양했다. 1942년 12월 3일 [[조선문인협회]]와 [[조선연극문화협회]], [[동양극장]]이 주최하고 [[국민총력조선연맹]]의 후원으로 열린 대동아 전쟁([[태평양 전쟁]]) 1주년 기념 국민시(國民詩) 낭독회에서 시를 낭독했으며 1943년 2월 3일 국민총력조선연맹 주최로 열린 예술 부문 관계자 연성회에 참석했다. 또한 《동양지광》, 《문화조선》 등에 내선일체와 황민화 정책을 선전하는 내용을 담은 산문, 바람직한 총후봉공 자세를 선전하는 시와 산문을 기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