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윳값과 고유 벡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Osteologia 사용자가 고유값 문서를 고윳값 문서로 옮기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한글 맞춤법 준수 및 근삿값, 절댓값, 기댓값과의 일관성. 토론:기댓값, 토론:고윳값...
1번째 줄:
[[파일:Mona Lisa eigenvector grid.png|thumb|270px|위 두 장의 그림은 원래 이미지가 옆으로 기울어진 모양으로 변하는 [[선형 변환]]을 보여주고 있다. 이 선형 변환에서 수평 축은 그대로 수평 축으로 남기 때문에 푸른색 화살표는 방향이 변하지 않지만 붉은색 화살표는 방향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푸른색 화살표는 이 변환의 '''고유벡터'''가 되고 붉은색 화살표는 고유벡터가 아니다. 또한 푸른색 화살표의 크기가 변하지 않았으므로 이 벡터의 '''고유값고윳값'''은 1이다.]]
 
[[선형대수학]]에서 '''고유벡터'''({{llang|en|eigenvector}}, {{llang|de|Eigenvektor}})는 어떤 [[선형 변환]]이 일어난 후에도 그 방향이 변하지 않는 [[영벡터]]가 아닌 [[벡터 (선형대수학)|벡터]]를 가리킨다. 또한 변환 후에 고유벡터의 크기가 변하는 비율을 그 벡터의 '''고유값고윳값'''({{lang|en|eigenvalue}}, {{llang|de|Eigenwert}}, {{표준어|'''고윳값'''}})이라고 한다. 또한 '''고유공간'''({{lang|en|eigenspace}}, {{llang|de|Eigenraum}})은 같은 고유값을고윳값을 갖는 고유벡터들의 [[집합]]이다. 선형 변환은 대개 고유벡터와 그 고유값만으로고윳값만으로 완전히 설명할 수 있다.
 
고유벡터와 고유값의고윳값의 개념은 여러 응용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특히 [[선형대수학]], [[함수해석학]], 그리고 여러가지 비선형 분야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고유벡터(eigenvector)와 고유값고윳값(eigenvalue)의 "eigen"이라는 [[독일어]]를 이와 같은 의미로 쓴 것은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가 처음이었다. (그러나 수학 외의 분야에서 [[헤르만 폰 헬름홀츠]]가 유사한 의미로 쓴 적이 있다.) {{llang|de|eigen|아이겐}}은 "고유한", "특징적인" 등의 의미로 번역할 수 있다.
 
== 정의 ==
* 어떤 [[선형 변환]]의 '''고유벡터'''는 변환 후에도 변하지 않거나 그 크기만이 변하고 방향은 일정한 벡터를 가리킨다.
* 어떤 고유벡터의 '''고유값고윳값'''은 변환 전과 후의 고유벡터의 크기 비율이다.
* '''고유공간'''은 같은 고유값을고윳값을 갖는 고유벡터들과 영벡터들로 이루어지는 [[공간#수학에서의 공간|공간]]이다.
* '''주고유벡터'''(principal eigenvector)는 가장 큰 고유값을고윳값을 갖는 고유벡터이다.
* 고유값의고윳값의 '''기하[[중복도]]'''(geometric multiplicity)는 고유값에고윳값에 의해 정의된 고유공간의 [[차원]]이다.
* 유한 차원의 [[벡터 공간]]에 대해 선형 변환의 '''스펙트럼'''은 그 고유값들의고윳값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삼차원 회전변환의 고유벡터는 그 회전축 상에 놓여 있다. 회전한 후에도 회전축의 크기는 변하지 않으므로 그 고유벡터의 고유값은고윳값은 1이고, 그에 해당하는 고유공간은 회전축에 평행한 모든 벡터로 이루어진다. 이 고유공간은 1차원 공간이므로 기하중복도는 1이고, 고유값이고윳값이 1뿐이므로 [[실수]]인 스펙트럼의 집합은 원소가 1 하나뿐인 집합이다.
 
== 예제 ==
지구가 자전하면 지구의 중심에서 바깥을 향하는 모든 화살표는 자전축을 향하는 화살표를 제외하고 함께 회전한다. 그러므로 지구가 한시간동안 자전한 결과를 하나의 변환으로 볼 때 지구의 자전축에 평행한 벡터가 고유벡터이다. 또한 자전축이 커지거나 작아지지 않았으므로 그 고유값은고윳값은 1이다.
 
다른 예로는 얇은 종이를 가운데를 중심으로 하여 모든 방향으로 두 배 늘린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때 가운데 점으로부터 종이의 모든 점을 향한 벡터들이 모두 고유벡터가 된다. 또한 벡터들의 길이가 모두 두배가 되었으므로 고유벡터들의 고유값은고윳값은 2이다. 이 경우 고유공간은 모든 고유벡터들의 집합이 될 것이다.
 
== 고유값고윳값 방정식 ==
다음 방정식이 참이면 <math>\mathbf v_\lambda</math>는 고유벡터이고 <math>\lambda</math>는 그에 해당하는 고유값이다고윳값이다.
:<math>T(\mathbf{v}_\lambda)=\lambda\,\mathbf{v}_\lambda</math>
 
이때 <math>T(\mathbf v_\lambda)</math>는 <math>\mathbf v_\lambda</math>에 변환 <math>T</math>를 행해 얻어진 벡터이다.
 
<math>T</math>가 [[선형 변환]]이라고 가정하자. (즉, 모든 [[스칼라]] <math>a, b</math>와 벡터 <math>\mathbf v, \mathbf w</math>에 대해 <math>T(a\mathbf{v}+b\mathbf{w})=aT(\mathbf{v})+bT(\mathbf{w})</math>이다. 그러면 <math>T</math>와 <math>\mathbf v</math>는 [[행렬]] <math>A_T</math>와 열벡터 <math>\mathbf v_\lambda</math>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면 위의 고유값고윳값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A_T\,v_\lambda=\lambda\,v_\lambda</math>
 
이 방정식에서 <math>\lambda</math>와 <math>\mathbf v_\lambda</math>를 미지수로 놓아 [[연립방정식]]을 풀면 고유값과고윳값과 고유벡터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고유값고윳값 방정식을 항상 행렬 형태로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든 밧줄의 예와 같이 벡터 공간의 차원이 무한하다면 그것을 행렬 형태로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에는 고유값고윳값 방정식을 [[미분방정식]]의 형태로 쓸 수 있다. <math>T</math>를 미분 기호로 놓으면 이 경우 고유벡터는 '''고유함수'''라 불린다. [[미분]]은 다음과 같은 성질에 의해 일종의 [[선형 변환]]이다.
 
:<math> \displaystyle\frac{d}{dt}(af+bg) = a \frac{df}{dt} + b \frac{dg}{dt} </math>
40번째 줄:
(<math>f(t)</math> 와 <math>g(t)</math>는 [[미분]]가능한 함수이고 <math>a</math> 와 <math>b</math>는 [[상수]]이다.)
 
<math>t</math>에 대해 미분하면 고유함수 <math>h(t)</math>는 고유값고윳값 방정식을 만족한다.
 
:<math>\displaystyle\frac{dh}{dt} = \lambda h</math>
 
이때 <math>\lambda</math>는 고유함수에 해당하는 고유값이다고윳값이다. 만약 <math>\lambda = 0</math> 이면 이 함수는 상수함수이다.
 
고유값고윳값 방정식의 해는 <math>h (t) = \exp (\lambda t)</math>, 즉 [[지수함수]]이다. <math>\lambda</math>는 임의의 [[복소수]]일 수 있다.
 
== 행렬의 고유값과고윳값과 고유벡터 ==
어떤 주어진 행렬의 고유값을고윳값을 구하고자 할 때, 행렬의 차원이 작다면 특성 방정식을 사용해 고유값을고윳값을 쉽게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커다란 행렬에 대해서는 특성 방정식이 복잡해지므로 대신 수치적 방법을 사용해 고유값을고윳값을 근사적으로 구하기도 한다.
 
=== 특성 방정식을 이용해 고유값고윳값 구하기 ===
정방행렬의 고유값을고윳값을 구하는데는 특성 방정식이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math>\lambda</math>를 행렬 <math>A</math>의 고유값이라고고윳값이라고 한다면, <math>v</math>에 대한 방정식 :<math>(A - \lambda I) v = 0</math>는 영이 아닌 해를 갖는다. (<math>I</math>는 단위 행렬) 이 해가 바로 고유벡터이며, 행렬식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바꿔쓸 수 있다.
 
:<math>\det(A - \lambda I) = 0</math>
 
여기서 좌변의 식이 바로 행렬 <math>A</math>의 특성 방정식이다. 행렬의 모든 고유값은고윳값은 위 식의 해를 구하면 얻을 수 있는데, 만약 <math>A</math>가 ''n''×''n'' 행렬이라면 위 식은 최대 ''n''개의 해를 갖는 방정식이다.
 
위 식을 이용해서 <math>\lambda</math>를 구한 다음에는, 고유벡터를 구하기 위해 다음 식을 사용한다.
62번째 줄:
:<math>(A - \lambda I) v = 0</math>
 
실수의 고유값을고윳값을 갖지않는 행렬의 예로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변환 행렬을 들 수 있다. 즉,
:<math>\begin{bmatrix}0 & 1\\ -1 & 0\end{bmatrix}</math>
와 같이 표현되는 행렬인데, 이 행렬의 특성 방정식은 <math>\lambda^2+1</math>이며 고유값을고윳값을 구하게 되면 켤레 복소수인 <math>i</math>와 <math>-i</math>를 해로 구할 수 있다. 물론 이 고유값과고윳값과 연관된 고유벡터도 허수 값을 갖는다.
 
=== 유형 ===
==== 2×2 행렬에서 고유값고윳값 ====
2×2 행렬에서의 고유값은고윳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즉각적으로 구할 수 있다. 만약
:<math>A = \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math>
이라 하면,
이라하면,
[[특성 방정식]]은
:<math>\rm det \begin{bmatrix} a-\lambda & b \\ c & d-\lambda \end{bmatrix}=(a-\lambda)(d-\lambda)-bc=\lambda^2-(a+d)\lambda+(ad-bc)</math>
82번째 줄:
= \lambda^2- \lambda {\rm tr}(A)+ {\rm det}(A) </math>
 
이때 <math> I_{2} </math>는 2×2 [[단위행렬]]이다. 따라서 2×2 행렬의 고유값은고윳값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수 있다.
 
:<math>
88번째 줄:
</math>
 
따라서, 행렬식이 영(0)이지만 대각성분의 합(Trace)이 영(0)이 아닌 아주 특별한 경우의 2×2 행렬에서는 고유값이고윳값이 영(0)이다. 예를 들어, 다음 행렬의 고유값은고윳값은 영(0)과 (<math>a^2 + b^2</math>)이다:
 
:<m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