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한자 정규화.
1번째 줄:
'''桓溫환온'''(환온桓溫, [[312년]] ~ [[373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時代)의 [[동진|동진(東晋)]]의 정치가, 군인, 재상. [[자 (이름)|자]]는 원자(元子). 군사적 성공을 거듭해 동진(東晋)을 좌지우지하며 황제의 자리까지 넘봤지만 주변의 저항으로 실패했다. 아비는 환이(桓彝), 동생은 환운(桓雲), 환활(桓豁), 환비(桓祕), 환충(桓沖). 아들은 [[환현|환현(桓玄)]].
 
== 생애 ==
 
=== 벼락 출세 ===
[[안후이 성|초국(國)]] 용항(龍亢<ref>용항(龍亢): 현재의 [[안후이 성|안휘성(安徽省)]] 회원현(懐遠)</ref>)출신으로 그의 가문은 화북지방에서 남하한 명문귀족이었다. 아버지 환이(桓彝)는 [[동진 명제|명제]](明帝) 원년에 일어난 왕돈(王敦)의 난을 진압하는 큰 공을 세웠지만 곧이어 일어난 소준(蘇峻)의 난에서 전사했다. 아비 환이의 목에 칼을 찔러넣은 자의 이름은 강번(江播)이라는 인물이었는데 3년후 그가 급살을 맞자, 당시 18세였던 환온은 조문을 빙자하여 강씨의 집에 칩입해 강씨의 자식 3형제를 살해하고 아비의 원수를 갚았다 한다. 환온은 공신의 아들이면서 황제의 딸인 남강장공주(南康長公主)와 혼인해 황제의 사위였으므로 해당 사건은 불문에 붙여졌다. [[343년]]에 낭야태수(琅邪太守), 서주자사(徐州刺史)로 벼슬에 나갔다.
 
[[345년]], 유량(庾亮<ref>유량(庾亮): 도간(陶侃)이 창설한 서부군단(西府軍団-[[양쯔강]] 중류지역 방비군)의 군단장</ref>)의 동생 안서장군(安西将軍) 유익(庾翼)이 죽자 환온은 그의 후임으로 안서장군 겸 형주자사(荊州刺史)에 기용되어 [[무한(武漢)|무창(武昌)]]을 수비했다. 강대한 군사력을 거머쥔 실력자로 성장한 환온은 [[347년]]에 손성(孫盛) 대도독의 지휘를 받아 [[쓰촨 성|사천(四川)]]의 [[성한|성한국(成漢國)]]<ref>('''成漢''', 성한, 병음(拼音):Chéng Hàn, [[304년]]~[[347년]]) 성한국은 [[오호십육국]](五胡十六)의 하나로 저족(氐族)의 일파인 파종(巴賨)족(族)의 이웅(李雄)이 건국한 나라. 후촉(後蜀)이란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국호(國號)는 초기엔 '成'이었지만 후에 '漢'으로 변경해서 이를 합쳐 성한(成漢)이라 불림</ref>을 멸망시키는 개가를 올렸다. 이 때의 공훈으로 정이대장군(征夷大軍)으로 승차(陞差-<small>임금이 벼슬을 높여줌</small>)했다. [[351년]] 음력 12月에는 북벌군을 독자적으로 결성, 무창에 집결만 시켰는데도, 그 위세에 놀란 [[염위|염위국(冉魏國)]]<ref>('''冉魏''', 염위, 병음(拼音):Rǎn wèi, [[350년]]~[[352년]]) 염위국은 오호십육국(五胡十六)의 하나로 한족(漢族)인 염민(冉閔)이 건국한 나라. 국호(國號)는 위(魏) 한 글자였지만 위(魏)를 국호로 내세운 나라가 많았기 때문에 건국자인 염민(冉閔)의 성을 붙여 다른 위(魏)나라와 구분한다.</ref>의 서주자사(徐州刺史), 연주자사(兗州刺史), 예주목(豫州牧), 북형주자사(北荊州刺史)가 싸워보지도 않고 환온에게 차례차례 귀순했다. 또한 형설지공(螢雪之功)의 고사로 동진(東晉)에 명성을 떨쳤던 차윤(車胤)이 형주에 부임 중이었는데 학문도 높고 백성들 사이에 명성도 높은 그를 자신의 측근으로 등용함으로써 대권을 위한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파죽지세로 불어나는 환온의 힘에 위기감을 느낀 회계왕(會稽王) 사마도자(司馬道子)<ref>사마도자(司馬道子): 간문제(簡文帝) 사마욱(司馬昱)의 7남이자 차기 황제 효무제(孝武帝) 사마요(司馬曜)의 친동생. 황실에 위협이 되는 강력한 신하가 나올 때마다 황제 대신 견제를 하고 중심을 잡아주는 중요한 인물. 환온(桓溫)의 위협도 잘 방어했고 뒤이은 사안(謝安)의 잠재적 위협 역시 미연에 잘 방지해내 종묘사직을 지켜냈다. 그러나 환온과 사안의 사후(死後), 환온의 아들 환현에게 기습을 당해 살해된다.</ref>가 환온의 죽마고우인 은호(殷浩)를 등용, 북부군(北府軍-<small>동진(東晉)이 북벌을 위해 창설한 군대</small>) 대장에 추천하여 환온의 대항마로 삼았다. [[352년]] 음력9월, 은호는 동진의 숙원이었던 북벌을 환온보다 먼저 상주(上奏)하여 허가를 받고 정식으로 군을 북쪽에 진군시켜 [[쉬창 시|허창(許昌)]]까지 밀고 올라갔으나 부하가 적에 내통을 하여 [[후진 (오호 십육국)|후진(後秦)]]의 대장 요양(姚襄)에게 참패하였다. 환온은 이 때를 놓치지 않고 패장 은호를 탄핵하여 실각시켰다.
12번째 줄:
=== 군권의 장악 ===
 
환온은 [[후조|후조(後趙)]]가 [[염위|염민(冉閔)]]에 의해 혼란을 겪고 있는 틈을 타 북벌을 결행하였지만 [[354년]]의 [[전진|전진(前秦)]]의 정복엔 실패했다. 다만 [[356년]]에 은호의 군대를 격파했던 요양(姚襄)의 군세를 격파, 동진이 아직 [[서진|서진(西晋)]]이던 시절<ref>[[서진|서진(西晋)]]이 이민족의 침입으로 양쯔강 이남으로 쫓겨난 것이 동진(東晉)이다. 그래서 동진 사람은 누구나 원래 고향을 수복하고 싶어했고 중국의 재통일을 원했다.</ref> 구(舊) 도읍인 [[낙양뤄양 시|낙양(洛陽)]]을 수복하는데까진 성공하였다. 환온은 동진의 원래 도읍인 낙양으로 천도할 것을 주장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수비대만 남기는 것으로 결정났다. 천도가 무산된 이유는 당시 낙양은 동진의 변경에서 너무 가까웠고 그 근방의 치안이나 안전이 전혀 담보돼있지 않았기 때문인데, 실상 환온 자신조차 천도 제안이 받아들여질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았다 한다. 단지 자신의 공적을 조정에 확인시키고 입지를 더욱 다지고자 협상 카드의 하나로 꺼냈을 뿐이다라고 생각되고 있다. [[전진|전진(前秦)]]을 침공시 저명한 군사전략가로써 명성을 떨쳤던 적장 [[왕맹|왕맹(王猛)]]<ref>[[전진|전진(前秦)]]의 세조(世祖)는 [[왕맹|왕맹(王猛)]]을 등용하여 화북을 통일할 수 있었다. 화북의 헤게모니를 두고 다퉜던 [[전연|전연(前燕)]]과의 세력타툼에서 늘 불리했었는데 이를 한 번에 뒤엎고 화북을 통일했으며 전진(前秦)은 왕맹을 통해 최대 판도를 자랑할 수 있었다.</ref>의 배반을 꾀해 전황의 반전을 노렸지만 실패했다.
 
동진의 숙원이었던 북벌을 일부나마 실현시킨 환온은 귀국후 그 공으로 [[중국의 재상|대사마(大司馬)]] 겸 대도독중외제군사(都督中外諸軍事)에 올라 [[364년]]에 이미 갖고 있던 형주자사에서 양주자사(揚州刺史)<ref>동진의 수도 낭야(琅邪) 근처의 모든 병권을 갖게됐다는 뜻.</ref>로 전임됐고 [[369년]]에는 연주자사 겸 서주자사를 아예 겸하게 되어 [[양쯔강]] 하류의 모든 영역의 군세를 수중에 넣었다. 여기에 자신의 정예 군세인 서부군단을 합쳐 동진의 실권을 완전히 장악하는데 성공했다. 또한 친구이며 동진의 명문 귀족 유담(劉淡)이 가세했다.
20번째 줄:
=== 만년(晩年) ===
 
그후 화북 지방에선 [[전연|전연(前燕)]]이 세력을 확대하여 [[365년]]에 낙양을 뺏겼다. [[369년]]에 환온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북벌을 감행하지만 [[전연|전연(前燕)]] [[모용수|모용(慕容) 황제]]에게 대패한다. 여기서 실추된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371년]]에 황제를 폐위하고 간문제(簡文帝)를 옹립하지만 새로 세운 황제가 얼마버티지 못하고 이듬해 병사했다. 간문제(簡文帝)의 임종을 맞아 환온은 자신이 황제가 되려고 계략을 꾸미지만, [[사안|사안(謝安)]], 왕담지가 이를 간파하고 환온에게 당시 황태자였던 [[효무제|효무제(孝武帝)]]의 섭정이 되어달라고 선수를 친다. [[사안|사안(謝安)]]이 환온에게 보낸 서간(書簡)에는 '대사마(大司馬)께서 [[제갈량|제갈무후(諸葛武侯)]]가 되어 주십시오' 라고 했다한다. 제갈무후(諸葛武侯)란 [[유비|유비(劉備)]]의 아들 [[유선 (공사)|유선(劉禪)]]의 섭정이었지만 결코 황위를 뺏지는 않았던 제갈량을 말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온은 계획을 계속 진행시킨다. 환온은 조정에 명하길 자신에게 '구석(九錫)의 예(禮)'<ref>대권을 노리는 신하가 황제 자리를 찬탈하기 직전에 황제에게 요구하는 9가지의 예. [[조조|조조(曺操)]]가 [[후한 헌제|헌제(獻帝)]]에게 요구했었다.</ref>를 허하라고 요구했다. 사안(謝安)은 어떻게든 이를 지연시켜보려고 애를 썼고 환온은 [[373년]]에 의문의 죽음을 당한다. 그 후 [[사안|사안(謝安)]]이 상서복야(書僕射)<ref>승상(丞相)을 비롯 3공(公)이 어디까지나 최고 권력자들이었으나 3공의 힘이 약해질 때는 내조(內朝)에 속한 상서령(書令)이 권력을 대표했고 부상서령(副-)에 해당하는 상서복야(書僕射)가 실질적인 권력을 휘둘렀다.</ref>에 올라 정권을 거머쥐었다.
 
== 환온(桓溫)이 관련된 고사성어 ==
 
* 죽마고우(竹馬故友)란 고사성어는 환온이 은호(殷浩)를 실각시키던 그 날 "은호와 나는 소꿉친구로 죽말(竹馬)을 타며 노는 사이었지만 항상 그 녀석은 내가 타다버린 죽말을 주워서 노는 처지였지<ref>『[[진서|진서(晋書)]]』은호전(殷浩傳)</ref>."라고 말했던 데서 유래했다 한다. 지금 우리가 쓰는 죽마고우란 말은 사이가 좋은 어린시절 친구란 뜻만 가지지만, 원래는 어디까지나 골목대장과 부하같은 상하관계(上下關係)의 의미를 포함하는 말이었다고 한다. 또한 죽마(竹馬)는 지금 우리가 흔히 아는 죽마가 아닌 단순히 잘린 대나무나 빗자루를 가랑이 사이에 끼고 뛰어다니던 것을 '죽마를 탄다'고 했다한다.
* 애(내장)를 끊는다란 뜻의 '단장(斷腸)'이란 말은 환온이 [[성한|성한(成漢)]]을 정벌하러 [[쓰촨 성|촉(蜀)]]에 들어갈 때의 일에서 유래했다. 환온의 부하 하나가 새끼 원숭이를 잡아 애완용으로 데려가고 있었는데 어미 원숭이가 백리를 울며 멀찍이 따라오다가 제 풀에 지쳐 죽었길래 배를 갈라보니 내장이 전부 끊어져 있었다. 보고를 받은 환온이 크게 화를 내며 해당 병사를 파면하고 벌을 줬는데 이를 기록한 [[세설신어]](世說新語)<ref>[[송나라|송(宋)]]의 유의경(劉義慶)이 지은 책. 후한(後漢)부터 동진(東晋)에 이르는 귀족(貴族)ㆍ학자(學者)ㆍ문인(文人)ㆍ승려(僧侶)들의 덕행(德行)ㆍ언어(言語)ㆍ문학(文學) 등(等)에 관한 일화를 엮었다</ref>의 '단장(斷腸)'이란 구절에서 현재의 '애를 끊는다'는 표현이 유래됐다고 한다<ref>이와 유사한 얘기가 [[수신기]](搜神記)에도 실려있다.</ref>.
* [[진서|진서(晋書)]] 환온전(桓温伝)에 '후세에 처음의 꽃같은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악취가 만권의 책에 실어도 모자르네' 라는 표현이 처음 등장하는데 후일 [[자치통감|자치통감(資治通鑑)]] 이나 [[십팔사략|십팔사략(十八史略)]]에 나온 '유방백세(流芳百世) 유취만년(遺臭萬年)-아름다운 이름은 백년을 가고 더러운 오명(汚名)은 만년을 간다'라는 표현은 환온전(桓温伝)의 구절을 원용한 것이다라는 주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