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신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황신덕.gif|thumb|200px|황신덕]]
'''황신덕'''(黃信德, [[1898년]] ~ [[1983년]] [[11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교육인, 사회 활동가, 여성 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교육자, 여성운동가이다. [[추계예술대학교]]와 중앙여중, 중앙여고의 설립자이다. 독립운동가 겸 여성운동가 [[황애덕]]과 자매간이다.
 
'''황신덕'''(黃信德, [[1898년]] ~ [[1983년]] [[11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교육인교육자, 사회 활동가사회운동가, 여성 운동가이며여성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교육자, 여성운동가이다. [[추계예술대학교]]와 중앙여중, 중앙여고의 설립자이다. 독립운동가 겸 여성운동가 [[황애덕]]과 자매간이다.
 
== 생애 ==
평양의 [[숭의여자고등학교|숭의여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했다. 귀국한 뒤로는 《[[시대일보 (1924년)|시대일보]]》, 《[[조선중앙일보|중외일보]]》, 《[[동아일보]]》의 기자와 동아일보가 발간하던 여성잡지 《[[신가정]]》 기자로 근무했다. [[2·8 독립 선언]]과 [[3·1 운동]]에 가담하였고 [[신간회]]와 [[근우회]]에도 활동하였다.
 
해방 후에는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다가 탈출했다. [[1952년]]에 여성문제연구회를 창립하고 1956년에 가정법률상담소를 창설하였으며, 가정 여성의 불이익을 구제하는 활동, [[이태영]] 등과 함께 가족법 개정 운동 등을 추진하였다. 이후 교육 활동, 여성 운동에 종사하였다. 본관은 제안(濟安)아고 아호는 추계(秋溪).
 
[[추계예술대학교]]와 중앙여중, 중앙여고의 설립자이다. 독립운동가 겸 여성운동가 [[황애덕]]과 자매간이다.
== 생애 ==
 
여성운동가
=== 초기생애 활동초기 ===
황신덕은 [[평안남도]] [[대동군]](현 [[평양직할시]])에서 황석청(黃錫淸)의 딸로 태어났다. 본관은 제안(濟安)아고 아호는 추계(秋溪)이다. [[1898년]]생으로 일설에는 [[1889년]]생이라고도 한다. [[평양직할시|평양]] 출신으로 교육자 집안에서 자라나 일찍부터 신학문을 배우게 되었다. [[3·1 운동]]에 참가했고 [[3·1여성동지회]] 초대 회장을 지낸 [[황애덕]]이 황신덕의 언니 또는 여동생이다.
==== 출생과 초기 삶 ====
황신덕은 [[평안남도]] [[대동군]](현 [[평양직할시]])에서 황석청(黃錫淸)의 딸로 태어났다. [[1898년]]생으로 일설에는 [[1889년]]생이라고도 한다. [[평양직할시|평양]] 출신으로 교육자 집안에서 자라나 일찍부터 신학문을 배우게 되었다. [[3·1 운동]]에 참가했고 [[3·1여성동지회]] 초대 회장을 지낸 [[황애덕]]이 황신덕의 언니 또는 여동생이다.
 
평양의 정진소학교를 졸업한 후 [[황애덕]]이 교사로 있던 평양의 [[숭의여자고등학교|숭의여학교]]에 진학하였으며, 숭의여고 재학 중 비밀결사조직인 송죽회(松竹會)에 참여하였고,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일본어배격운동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 유학과 독립 운동 ====
[[1919년]] [[숭의여자고등학교|숭의여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유학을 갔고, 일본에서 [[2·8 독립 선언]]에 참여했다. 그해 [[3월]] 전국적인 만세 소요가 계획되자 입국, 입국하여 [[3·1 만세 운동]]에도 참여하였다.
 
체포를 모면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학업에 복귀했으며, [[1920년]] [[3·1운동]] 1주년 기념일에는 일본 히비야(北谷) 공원에서 [[3·1운동]] 1주년 기념행사를 거행, 주관하였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2주일간 구류 처분을 받고 유치장을 다녀왔다.
줄 21 ⟶ 22:
[[1920년]] [[1월]] [[유각경]] 등과 함께 여자학흥회(女子學興會)를 조직하여 활동했으나 [[1923년]] 봄 탈퇴하였다.
 
=== 일제기자 강점기생활과 여성단체 활동 ===
==== 기자 생활과 여성단체 활동 ====
{{참고|여성동우회|경성청년여자동맹|중앙여자청년회|근우회}}
[[1921년]] [[일본]]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을 중퇴하고 [[니혼여자대학]] 사회사업학부에 편입, 1926년 일본여자대학 사회사업부를 졸업했다. 귀국한 뒤로는 [[1926년]]부터 《[[시대일보 (1924년)|시대일보]]》에 입사하여 기자가 되고, 《[[조선중앙일보|중외일보]]》의 기자로도 활동하였다.
 
[[1921년]] [[일본]]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을 중퇴하고 [[니혼여자대학]] 사회사업학부에 편입,편입하였고 1926년 일본여자대학 사회사업부를 졸업했다. 귀국한 뒤로는 [[1926년]]부터 《[[시대일보 (1924년)|시대일보]]》에 입사하여 기자가 되고, 《[[조선중앙일보|중외일보]]》의 기자로도 활동하였다.
[[1925년]] [[1월]] [[허정숙]], [[박정덕]] 등과 함께 [[경성여자청년동맹]](京城女子靑年同盟)을 창설하여 멤버로 활동하였고, [[1926년]] [[조선]][[여성동우회]](朝鮮女性同友會)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6년 동경여자유학생 출신이며 일월회파(一月會派) [[사회주의]]자 [[안광천]](安光泉)의 부인인 [[이현경]](李賢卿)이 귀국하자 [[경성청년여성동맹]]과 일월회파 일부가 합류하여 [[1926년]] [[12월]] [[중앙여자청년회]](中央女子靑年會)를 창설할 때 그도 참여하였다.
 
[[1925년]] [[1월]] [[허정숙]], [[박정덕]] 등과 함께 [[경성여자청년동맹]](京城女子靑年同盟)을 창설하여 멤버로 활동하였고, [[1926년]] [[조선]][[여성동우회]](朝鮮女性同友會)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6년 동경여자유학생 출신이며 일월회파(一月會派) [[사회주의]]자 [[안광천]](安光泉)의 부인인아내인 [[이현경]](李賢卿)이 귀국하자 [[경성청년여성동맹]]과 일월회파 일부가 합류하여 [[1926년]] [[12월]] [[중앙여자청년회]](中央女子靑年會)를 창설할 때 그도 참여하였다.
 
이후 중앙여자청년회의 회원으로 있다가 [[근우회]]를 창립할 때 창림 멤버로서 참여하였다. [[1927년]] [[신간회]]에 가입하고, 그해에 좌우 합작의 여성 독립 운동 세력인 [[근우회]](槿友會)의 핵심부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나, [[1930년]]대 말부터 광복 시점까지 각종 강연과 좌담회, 기고를 통하여 친일 활동을 했다.
 
==== 결혼과 동성애 고백 파문 ====
[[1929년]] [[동아일보]]의 기자 출신 [[임봉순]]과 결혼했다.<ref name="jonb189">전봉관, 《경성 자살 클럽》 (살림, 2008) 189페이지</ref> 한편 [[1930년]] 그는 자신의 동성애를 고백하여 화제가 되었다. [[소파 방정환]]이 주관하던 잡지 [[별건곤]]은 [[중외일보]] 기자로 있던 황신덕은 물론 [[산부인과]] 의사 [[허영숙]]과 [[이덕요]] 등의 동성연애 경험담을 취재한 기획기사를 싣기도 했다.<ref name="jonb188">전봉관, 《경성 자살 클럽》 (살림, 2008) 188페이지</ref>
 
줄 37 ⟶ 38:
그의 동성애 고백은 화제가 되었지만, [[허영숙]] 등은 자신의 동성애를 고백하면서 동성애 대상의 실명까지 거론하여 곧 묻혀졌다.
 
==== 교육 활동과 친일 활동 ====
[[1935년]]부터 1940년까지[[1940년]]까지 《[[동아일보]]》 의 기자와, [[동아일보사]]의 여성잡지 <신가정>의 기자로 재직했다. [[1940년]] [[10월 10일]]부터는 [[박찬주]]<ref>운현궁의 종주 이우의 부인</ref>와 남편 임봉순(任鳳淳) 등의 후원으로 설립한 [[중앙여자고등학교 (서울)|경성가정의숙]](京城家庭女塾) 교장을 지내면서는 [[일본 제국|일제]]의 전시 체제에 적극 협력했다. 당시 부교장은 [[박순천]]이었다. 당시 학교 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일본]]까지 갔던 그를 만난 [[이우]]는 흔쾌히 [[운현궁]] 근처의 부지를 그에게 기증해주었다.
 
[[File:1940 경성가정의숙 교직원 사진.jpg|thumb|200px|[[1940년]]의 [[경성가정의숙]] 교직원 사진<br />(앞줄 오른쪽 두 번째가 황신덕)]]
줄 46 ⟶ 47:
[[1940년]] 신입생 37명으로 세운 [[중앙여자고등학교 (서울)|경성가정의숙]]는 [[1945년]] [[1월]]에 사립학교 규정에 의해 [[중앙여자고등학교 (서울)|중앙여자상과학교]]로 인가받았다.
 
=== 광복 후 정치활동과 여성운동 ===
=== 교육, 사회 활동 ===
==== 해방 직후 ====
광복 직후 [[건국부녀동맹]] 결성에 적극 나섰고 이후 [[우익]] 진영으로 선회, [[1945년]] [[10월]] [[독립촉성중앙회]]에 참여하였다. 한편 다시 중앙여중,고교의 부지를 물색하던 중 언니 [[황애덕]] 등이 능숙한 영어 실력을 발휘하여 미군정청 [[존 하지]] 사령관을 설득,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의 공유지를 불하받아 교사 이전과 신축을 지원하였다. 또한 친구인 [[박순천]]을 중앙여중교의 부교장으로 초빙하여 [[1948년]]까지 학교 운영을 지원하게 했다.
 
[[1946년]] [[6월]] [[민족통일총본부]](民族統一總本部)에 참여하여 부녀부 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47년]] [[미군정]]의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입법의원을 지냈다. 또한 경성가정의숙을 정식 중앙여자중학교로 승격하여 교장에 취임하였다. [[1947년]] [[미군정]]에서 [[남조선과도정부]]를 세우자, 과도정부 관선 대변인을 지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1950년]]까지 정부 대변인을 지내기도 했다.
 
==== 사회활동과 여성 운동 ====
[[1950년]] [[6.25 전쟁]] 직후 [[6월 28일]] [[서울]]을 점령한 [[조선인민군]]에게 납치되었으나 그해 [[10월]] UN군의 공습으로 [[인민군]] 사상자가 발생하고 혼란에 빠지자 기적적으로 탈출에 성공하였다. 이때 그는 [[8월 6일]]경 북한의 어느 임시 수용소에서 [[김효석]]을 만났는데, 그가 두 팔이 묶인 채 [[이승만]] 정권에 대한 비판문을 쓰라고 강요를 받고 있었다고 증언하였다.<ref>이신철, 《북한 민족주의운동 연구》 (역사비평사, 2008) 270페이지</ref>
 
[[1952년]] 휴전하자 다시 [[서울]]로 올라왔다. 이후 북아현동에 중앙여중,·고와 [[추계예술전문학교]]의 교사(校舍)를 현대식으로 신축하고, 최초로 생활지도부를 설치하여 인성교육을 실시하였다. 동양 유일의 여학생 오케스트라를 창설하여 연례연주회를 개최하게 하였으며, 학교 교과목에 가야금과 전통 무용을 정규 교과 시간에 포함시켜 교육하고 서예와 묵화를 가르치는 등 전통 문화 교육에도 앞장섰다.
 
[[1952년]]에 여성문제연구회를 창립하였고, 1956년에[[1956년]]에 가정법률상담소를 창설하여 가정주부의전업주부의 권리 문제, 남편의남성의 외도정조의 의무 위반 문제, 여성의 이혼 상담과 수속 등에 대한 문제를 제반 지원하였다. [[1961년]] 추계학원 재단을 설립하여 제1대 이사장이 되고, 추계국민학교, 추계유치원을 설립하였다. [[1958년]] [[3월]] [[대한어머니회]]의 창립에 참여하고 [[대한어머니회]] 이사로 선출되었다.
 
[[1958년]] [[사법]]연수중이던연수 중이던 여자 대법관법률가 [[이태영]](李兌榮)과 함께 가족법개정운동(家族法改正運動)을 추진하였다. 이때 연수중이던 [[이태영]]으로부터 1952년 신민법(가족관계법의 전신)을 기초입안하는기초 입안하는 과정에서 여성의 인권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입수하여 가족관계법 개정 운동을 추진하게 되었다.
 
==== 생애 후반말기 ====
1960년대부터는 추계학원 재단 이사장으로서 많은 여성단체에서 활동하였으며, 3·1 여성동지회 회장도 역임했다. [[1962년]] 문화훈장 대통령장을 수여받았다. [[1961년]] [[9월 30일]] 중앙여중,고 교장을 사임하였다.
 
줄 69 ⟶ 68:
 
=== 사후 ===
그되이후 묘소는 회암리 천보원으로 이장되었으며, [[1984년]] [[5월]] 회암리 천보원 묘소 앞에 기념비를 제막하였다. 바로 황신덕기념사업회가 구성되고 그의 유고가 출간되었다. 또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아현동 [[추계예술대학]] 내에 [[황신덕 기념관]]이 세워졌다.
 
2000년 7월 서울 중앙여고는 일제말기 제자를 정신대로 내보낸 황신덕의 동상을 철거하였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185005 반민특위에 제1호로 검거된 '매판자본가'] 오마이뉴스 2004.05.07</ref>
줄 95 ⟶ 94:
* 무너지지 않는 집을 ([[1984년]])
 
== 상훈 경력 ==
* [[1962년]] [[문화훈장]] 대통령장
 
== 논란가계 ==
당시 한 [[경성가정의숙]] 재학생은 자신이 당시 정신대에 가게 된 경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황신덕 교장이 하루는 ㄷ여고, ㅇ여고 같은 다른 학교 학생들도 정신대에 지원하고 있는데 우리 학교에 그런 용기있는 학생이 한 사람도 없다는 사실은 슬픈 일이라며 눈물을 흘렸어요. 그 순간 나도 모르게 교장 선생님이 저렇게 눈물로 호소하는데, 내 한몸 희생해 학교를 구하자는 결심이 솟구치더군요." 그리고는 교장실을 찾아갔고 바로 기념사진 찍고 정신대로 끌려갔다고 했다.
 
그 후 이 여학생은 [[후지코 시]]의 [[총알]] 만드는 [[군수품]] 공장에서 일하다 해방되어 귀국했다. 그는 훗날 황신덕을 찾아갔는데, '[[1970년]] 어느해 황신덕의 병환 소식을 듣고 "선생님, 그 때 절 정신대 보내신 것 너무 하셨어요. 선생님 가슴 아프라고 하는 얘기는 아니지만 그 때 왜 그렇게 하셨어요"라고 하였더니 선생님께선 "그래. 네 말이 맞다. 나도 그 일을 후회하고 있네"라고 처음으로 사과의 말씀을 하시더군요"라고 하더라'고 훗날 증언하였다.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황석청
* 어머니 :
줄 120 ⟶ 114:
=== 부정적 평가 ===
[[일제 강점기]] 후반에 일본에 협조하였고 제자들을 전장으로 내몰았다는 비판이 있다.
 
==== 해방 직후증언 ====
당시 한 [[경성가정의숙]] 재학생은 자신이 당시 정신대에 가게 된 경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황신덕 교장이 하루는 ㄷ여고, ㅇ여고 같은 다른 학교 학생들도 정신대에 지원하고 있는데 우리 학교에 그런 용기있는 학생이 한 사람도 없다는 사실은 슬픈 일이라며 눈물을 흘렸어요. 그 순간 나도 모르게 교장 선생님이 저렇게 눈물로 호소하는데, 내 한몸 희생해 학교를 구하자는 결심이 솟구치더군요." 그리고는 교장실을 찾아갔고 바로 기념사진 찍고 정신대로 끌려갔다고 했다.
 
그 후 이 여학생은 [[후지코 시]]의 [[총알]] 만드는 [[군수품]] 공장에서 일하다 해방되어 귀국했다. 그는 훗날 황신덕을 찾아갔는데, '[[1970년]] 어느해 황신덕의 병환 소식을 듣고 "선생님, 그 때 절 정신대 보내신 것 너무 하셨어요. 선생님 가슴 아프라고 하는 얘기는 아니지만 그 때 왜 그렇게 하셨어요"라고 하였더니 선생님께선 "그래. 네 말이 맞다. 나도 그 일을 후회하고 있네"라고 처음으로 사과의 말씀을 하시더군요"라고 하더라'고 훗날 증언하였다.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