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d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인터위키 링크 4 개가 위키데이터d:q711597 항목으로 옮겨짐
틀 추가
26번째 줄:
이 문장을 해석할 때 ‘{{첫가끝|ᄇᆞᆯ}}기’라는 어형의 타당성(중세 한국어 관형형 ‘-ㄴ’), 처격 ‘良’의 독법(중세 한국어 처격 ‘-애/-에’), ‘遊行如可’는 ‘놀니다가’로 보아야 할 것인가 아니면 현대어처럼 제1음절의 받침이 탈락된 ‘노니다가’로 보아야 할 것인가 등등, 세부에서 아직 해결되지 않는 점이 많다.
 
== 같이 읽기보기 ==
* [[고대 한국어]]
* [[구결]]
32번째 줄:
 
== 참고 문헌 ==
* [[김완진 (국어학자)|김완진]](1980) “鄕歌解讀法硏究”, 서울大學校 出版部
* 남풍현(1981) “借字表記法 硏究”, 檀國大學校 出版部
* [[이기문 (언어학자)|이기문]](1998)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 [[오구라 신페이]](1929;1974) ‘{{lang|ja|鄕歌及び吏讀の硏究}}’, “{{lang|ja|小倉進平博士著作集(一)}}”, {{lang|ja|京都大学国文学会}}
 
== 주석각주 ==
<references/>
 
{{한국어}}
[[분류:한국어의 표기법]]
[[분류:한국어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