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알타리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현대 유전학의 핵심 개념은 유전자이다. 유전자는 전체 [[게놈]] 서열 가운데 [[DNA]]의 일정 구간을 이루는 [[염기서열]]의 배열이다.<ref>Group of the Sequence Ontology consortium, coordinated by K. Eilbeck, cited in H. Pearson. (2006). Genetics: what is a gene? Nature, 441,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41/n7092/full/441398a.html 398-401].</ref> DNA는 [[뉴클레오타이드]]들이 이중 나선의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DNA 복제]]를 통하여 [[유전형질]]을 다음 [[세대]]로 전달한다. 또한 [[세포]]에서 DNA의 역할은 단백질을 형성하여 생물이 생장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NA에서 [[전사 (생물학)|전사]]된 [[전령 RNA]]의 [[코돈]]은 각각 하나의 [[아미노산]]과 대응하며, 이렇게 전사된 [[RNA]]에 의해 결합된 [[아미노산]]에 의해 [[단백질]]이 형성된다. 단백질은 [[효소]], [[근육]], [[세포질]] 등 생물을 이루고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ref name=pano>《생명의 파노라마》(말론 호아글랜드, 버트 도드슨, 황현숙 역, 사이언스북스, 2001 ISBN 89-8371-050-0).</ref>
 
개괄하면, 현대의 유전학은 생물의 발생과 생장, 그리고 진화에서 차지하는 [[유전자]]의 역할을 밝히고 [[DNA]]의 재조합 실험을 통해 [[게놈|유전체]]와 생물 정보를 탐구하는 폭넓은 영역의 [[과학]]이다. 매우 넓은 연구분야를 이루고 있기때문에 현대의 유전학은 [[집단유전학]], [[유전체학]], [[진화유전학]] 등의 하위 학문으로 세분화되어 있다.<ref>DAVID HYDE, 김세재, 김욱, 남궁용 역, 대학생을 위한 유전학, 라이프사이언스, 2010, ISBN 89-6154-047-5 </ref> 또한 유전학의 지식은 여러 학문에 파급되어 [[의학]]<ref>NUSSBAUM, 김현주 역, 의학유전학, E PUBLIC, 2008, ISBN 89-6224-105-6 </ref>, [[농업]]<ref>심재욱 외, 농업유전학, 향문사, 2007, ISBN 89-7187-122-9</ref> 등에서 유전학은 필수적인 기반 지식이 되었다. 유전학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유전공학]]은 유전자의 조작을 통한 [[약|약품]]의 개발과 [[품종개량]]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f>남상욱, 권헉빈, 유전공학의 이해, 라이프사이언스, 2008, ISBN 89-6154-009-2</ref>
 
== 역사 ==
184번째 줄:
 
=== 연구 동향 ===
[[파일:Telomer-structure.gif|200px|right|thumb|[[텔로미어]] 분자의 3차원 구조]]2000년 이후 각광을 받고 있는 연구 분야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관련한 [[게놈|유전체]] 연구와 [[후성유전학]]이다.<ref>[http://www.sciencetimes.co.kr/article.do?todo=view&atidx=38383 인간의 특별함은 어디서 오는 걸까], 사이언스타임즈, 2010년 3월 15일</ref> 2003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의해 완성된 [[인간 유전체]] 지도는 [[사람]]의 모든 유전자 서열을 밝혀 내었다.<ref name="HGP"/> 또한, [[유전형질]]에 의한 [[발생 (생물학)|발생]] 과정이 끝난 이후에도 일어나는 [[게놈|유전체]]의 변동과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연구하는 [[후성유전학]]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ref name="김용성">김용성, [http://www.bioin.or.kr/upload.do?cmd=download&seq=10344&bid=report 인체의 후성유전학 연구동향], 바이오인</ref> 후성유전학에서는 [[암]]의 발현과 같은 후생적 유전자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연구하고 있다.<ref>이인수, [http://www.bioin.or.kr/board.do?cmd=view&bid=report&num=193233 암 후성유전체의 연구 동향], 바이오인</ref>
 
[[발생유전학]]을 비롯한 여러 하위 학문의 [[학제간 연구]]인 [[줄기 세포]]연구는 다양한 [[유전성 질환]]의 치료 방법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10년에 발표된 [[예일 대학교]]의 연구 논문에서는 자궁 내막을 이용한 성체 줄기 세포로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ref>[http://www.newshankuk.com/news/news_view.asp?articleno=k2010050713351342999 자궁내막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뉴스 한국, 2010-5-7</ref>
196번째 줄:
* [[유전]]
* [[염색체]]
* [[게놈|유전체]]
* [[유전자]]
* [[유전자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