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정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ojaram (토론 | 기여)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서울 종로구 삭제함
글 고쳐 씀, 각주 일부 수정
1번째 줄:
{{다른 뜻 넘어옴|북대문|조사=은}}
{{유형문화재 정보 |
소재_국가=[[대한민국]] |
줄 11 ⟶ 10:
}}
 
'''숙정문'''(肅靖門) 또는 '''숙청문'''(肅淸門)은 [[조선]] 시대에 건축한수도인 [[서울 성곽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북쪽에하나로 있는북쪽의 문으로,대문이다. '''북대문'''(北大門)으로이라는 부르기도속칭이 한다있으나, 이는 근대에 와서야 불린 이름이다.<ref group="주">《태조실록》에는 홍화문은 속칭 동소문(東小門), 흥인문은 속칭 동대문(東大門), 광희문은 속칭 수구문(水口門), 숭례문은 속칭 남대문(南大門), 소덕문은 속칭 서소문(西小門)이라 하였다고 적혀 있다.</ref>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三淸洞) 산 2-1번지([[북악산]] 동쪽 고갯마루)에 있다.
 
[[한양도성]]의 나머지 문과는 달리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험준한 산악지역에 위치해 실질적인 성문 기능은 하지 않았다.
== 이름유래 ==
 
숙정문은 남대문인 숭례문과 대비하는 북대문으로 '엄숙하게 다스린다'는 뜻이다. 이 문은 정월대보름 전 세 번 놀러오면 액운이 사라진다는 속설이 있어 여인들이 사랑하기도 했다. 여인들이 숙정문을 자주 찾았고 덩달아 사람들의 발길이 많아졌다고 한다..<ref>{{뉴스 인용
== 이름 유래 ==
숙정문은 남대문인 숭례문과 대비하는 북대문으로 '엄숙하게 다스린다'는 뜻이다. 이 문은 정월대보름 전 세 번 놀러오면 액운이 사라진다는 속설이 있어 여인들이 사랑하기도 했다. 여인들이 숙정문을 자주 찾았고찾았으며, 덩달아 사람들의 발길이 많아졌다고 한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outdoo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63
|제목=<nowiki>한양도성 창의문~혜화문</nowiki>
줄 21 ⟶ 22:
|날짜=2004-06-19
|확인일자=2014-12-01
서울성곽을 이루는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하나로, 도성의 북쪽 대문이다. [[1396년]](태조 5) 9월 도성의 나머지 삼대문과 사소문(四小門)이 준공될 때 함께 세워졌다.}}</ref> 원래 이름은 숙청문(肅淸門)으로, 도성 북쪽에 있는 대문이라 하여 북대문·북문 등으로도 부른다. 숙정문이 처음 기록에 등장하는 것은 1523년(중종 18)이며, 북정문(北靖門)이란 표현도 나오는데, 숙청문과 숙정문이 혼용되다가 뒤에 자연스럽게 숙정문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ref>
 
== 역사 ==
[[1396년]]([[조선 태조|태조]] 5년) 9월 다른 성문과 함께 완공되었다.<ref>《태조실록》 태조 10권 5년 9월 24일,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aa_10509024_002&tabid=k 성 쌓는 일이 끝나자 인부들을 돌려 보내다. 각 문의 이름]</ref> [[1413년]]([[조선 태종|태종]] 13년)에는 풍수학자 최양선(崔揚善)의 상소로 숙정문[觀光坊東嶺路]을 폐쇄하였으며 길에 소나무를 심어 통행을 금지하였다.<ref>《태종실록》 25권 13년 6월 19일,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ca_11306019_002&tabid=k 서전문(西箭門)을 열다]</ref> [[1504년]]([[연산군]] 10년)에는 숙정문을 없애고 오른쪽에 새로이 문을 세우라고 명하였으나<ref>《연산군일기》 54권 10년 7월 ​25일,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ja_11007025_006&tabid=k 숙청문을 막고 새 문을 만들게 하다]</ref>, 실제로 문을 옮겼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ref>김도형, 《순성의 즐거움》, 효형출판, 2010, p165, ISBN 9788958720966</ref> 숙청문은 음양오행 가운데 물을 상징하는 음(陰)에 해당하는 까닭에 나라에 가뭄이 들 때는 기우(祈雨)를 위해 열고, 비가 많이 내리면 닫았다고 한다.
 
[[1963년]] [[1월 21일]] 서울성곽에 포함되어 사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 [[1968년]] [[1·21 사태]] 이후 [[청와대]] 경비를 위해 일반인의 접근을 금지하다가<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90200209127007&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09-02&officeId=00020&pageNo=27&printNo=22275&publishType=00010 자하문 26년만에 일반공개], 《동아일보》, 1993.09.02.</ref>, [[2006년]] [[4월 1일]] 인근의 성곽 탐방로 1.1km 구간과 함께 다시 일반에 개방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43&aid=0000018861 ’서울이 품 안 가득’ 미리 가 본 북악산 홍련사∼창의문], 《쿠키뉴스》, 2006.03.19.</ref> 지금의 숙정문 목조 누각은 소실되었던 것을 [[1976년]]에 복원한 것이며<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102100209207022&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10-21&officeId=00020&pageNo=7&printNo=16939&publishType=00020 삼청지구성곽·숙정문복원], 《동아일보》, 1976.10.21.</ref>, 현판의 글씨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것이다.
서울성곽을 이루는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하나로, 도성의 북쪽 대문이다. [[1396년]](태조 5) 9월 도성의 나머지 삼대문과 사소문(四小門)이 준공될 때 함께 세워졌다. 원래 이름은 숙청문(肅淸門)으로, 도성 북쪽에 있는 대문이라 하여 북대문·북문 등으로도 부른다. 숙정문이 처음 기록에 등장하는 것은 1523년(중종 18)이며, 북정문(北靖門)이란 표현도 나오는데, 숙청문과 숙정문이 혼용되다가 뒤에 자연스럽게 숙정문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도성 북문이지만, 서울성곽의 나머지 문과는 달리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험준한 산악지역에 위치해 실질적인 성문 기능은 하지 않았다. [[1413년]] 풍수지리학자 최양선(崔揚善)이 지맥을 손상시킨다는 상소를 올린 뒤에는 문을 폐쇄하고 길에 소나무를 심어 통행을 금지하였다. 이후 숙청문은 음양오행 가운데 물을 상징하는 음(陰)에 해당하는 까닭에 나라에 가뭄이 들 때는 기우(祈雨)를 위해 열고, 비가 많이 내리면 닫았다고 한다.
 
1504년(연산군 10)에 연산군이 원래 있던 자리에서 오른쪽으로 조금 옮기라고 명령한 기록이 보이는데, 실제로 문을 옮겼는지는 확실하지 않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hani.co.kr/kisa/section-005001000/2005/09/005001000200509081420537.html
|제목=<nowiki>서울 북대문 ‘숙정문’ 일반 공개</nowiki>
|출판사=한겨레신문
|저자=연합뉴스
|날짜=2005-09-08
|확인일자=2008-10-22
}}</ref>
 
[[1963년]] [[1월 21일]] 서울성곽에 포함되어 사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 [[1968년]] [[1·21 사태]] 이후 [[청와대]] 경비를 위해 일반인의 접근을 금지하다가, [[2006년]] 4월부터 서쪽 성곽 0.5㎞, 북쪽의 진입로 0.6㎞ 구간과 함께 다시 일반에 개방하였다.<ref>{{뉴스 인용
|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4/06/2007040600005.html
|제목=<nowiki>활짝 열린 북악산… 서울성곽 40년 만에 완전 개방</nowiki>
|출판사=조선일보
|저자=신형준
|날짜=2007-04-06
|확인일자=2008-10-22
}}</ref>
 
지금의 숙정문 목조 누각은 소실되었던 것을 [[1976년]]에 복원한 것이며, 현판의 글씨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것이다.
 
== 사진 ==
줄 62 ⟶ 42:
</gallery>
 
== 주석각주 ==
; 내용주
<references group="주" />
; 참조주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