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황오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10번째 줄:
 
== 삼황(三皇) ==
중국 역사상 삼황오제에 관한 설은 전국 시기에 이르러서야 나타나기 시작한다. 먼저 삼황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7종의 설이 있다.
 
* 천황(天皇), 지황(地皇), 인황(人皇) : 《사기(史記)》 〈보삼황본기(補三皇本紀)〉에 인용된 《하도(河圖)》, 《삼오력(三五曆)》
 
* 천황, 지황, 태황(泰皇) : 《사기》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복희]](伏羲), [[여와]](女媧), [[신농]](神農) : 《풍속통의(風俗通義)》 〈황패편(皇覇篇)〉
 
* 복희, 신농, [[공공]](共工) : 《통감외기(通鑒外紀)》
 
* 복희, 신농, [[축융]](祝融) : 《백호통(白虎通)》
 
* [[수인]](燧人), 복희, 신농 : 《풍속통의》 〈황패편〉에 인용된 《예위(禮緯)》 〈함문가(含文嘉)〉
 
* 복희, 신농, [[황제 (전설)|황제]](黃帝) : 《십팔사략》, 《제왕세기(帝王世紀)》와 손씨주(孫氏注) 《세본(世本)》
 
43번째 줄:
 
== 오제(五帝) ==
오제에 대해서는 일치하는 설이 없으며 주로 다섯가지로 요약된다.
 
* 복희(伏羲), 신농(神農), 황제(黃帝), 당요(唐堯), 우순(虞舜) : 《황왕대기(皇王大紀)》
 
* 황제(黃帝), 전욱(顓頊), 제곡(帝嚳), 당요(唐堯), 우순(虞舜) : 《세본(世本)》, 《대대례(大戴禮)》, 《사기》 〈오제본기〉
 
* 태고(太皋: 복희), 염제(炎帝: 신농), 황제(黃帝), 소고(少皋), 전욱(顓頊) : 《예기(禮記)》 〈월령(月令)〉
 
* 황제(黃帝), 소고(少皋), 제곡(帝嚳), 제지(帝摯), 제요(帝堯) : 《도장(道藏)》 〈동신부(同紳部)·보록류(譜錄類)·곤원성기(混元聖記)〉에 인용된 양무제(梁武帝)의 말
 
73번째 줄:
20세기 이후에 쓰여진 《[[환단고기]]》와 같은 일부 서적에는 삼황오제 가운데 일부 혹은 전부를 동이나 한민족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환단고기》는 학자들 사이에서 [[위서 (역사학)|위서]]논란이 있음으로 더 많은 사료를 통하여 확인해 봐야하는 문제가 있다.
 
== 주석각주 ==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