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OpmuLtAbIanE (토론 | 기여)
잔글 잊혀졌→잊혔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Harp Player in a Pavillion - Qiu Ying.jpg|thumb|500px250px|명나라의 화가인 [[구영]]이 그린 공후 연주자의 모습]]
'''공후'''(箜篌)는 고대 [[중국]], [[한국]] 등지에서 사용되던 [[현악기]]이다. [[하프]]와 유사하다. 와공후(臥箜篌, 13현), 수공후(竪箜篌, 21현), 대공후(大箜篌, 23현), 소공후(小箜篌, 13현) 으로 나뉜다. 본래 [[중앙아시아|서역]]에서 전래된 악기로 중국을 거쳐 한국에 들어왔다.
 
수공후와 와공후에 대한 언급은 《[[수서 (책)|수서]]》〈음악지〉에 소개된 [[고구려]] 음악 조에 처음 나타난다. [[수나라]]의 아홉 지역 음악을 소개하는 구부기(九部伎)의 하나로 고구려 음악이 소개되는데 수공후와 와공후가 주요 악기로 등장한다. 《[[삼국사기]]》〈악지〉의 백제악 조에도 공후가 악기로 등장하며 백제에서 일본에 전한 대공후가 [[나라 시|나라]]의 [[정창원]]에 현재 보존되어 있다. 또, [[신라 성덕왕]] 대에 만들어진 상원사 범종에도 공후를 연주하는 사람이 새겨져 있다. 또, [[1980년]] 발견된, [[발해 문왕]]의 넷째 딸인 정효공주가 안장된 고분 벽화에도 공후를 연주하는 사람이 나온다. [[고려 예종]] 대에 [[송나라|송]]의 대성아악을 수입하는데 그 음악 구성에 공후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렇듯 공후는 [[삼국 시대]]에 고구려가 서역의 음악을 수입하면서 들여와 고려 시대까지 널리 쓰였으나, 그 뒤에는 한국 음악에서 사라진다. 심지어 공후가 쓰였다는 기록도 없으며 연주법도 완전히 잊혔다. [[국립국악원]]에 [[1937년]] 중국에서 사들인 수공후와 와공후만 한 대씩 남아있다.
 
[[고려 예종]] 대에 [[송나라|송]]의 대성아악을 수입하는데 그 음악 구성에 공후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렇듯 공후는 [[삼국 시대]]에 고구려가 서역의 음악을 수입하면서 들여와 고려 시대까지 널리 쓰였으나, 그 뒤에는 한국 음악에서 사라진다. 심지어 공후가 쓰였다는 기록도 없으며 연주법도 완전히 잊혔다. [[국립국악원]]에 [[1937년]] 중국에서 사들인 수공후와 와공후만 한 대씩 남아 있다. [[2003년]] 7월 전북대학교 조석연 교수와 악기장 고수환에 의해 공후 연주법이 복원되었다.
정철의 가사 사미인곡에 공후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북한]]에서는 공후를 개량하여 [[옥류금]]을 만들어 이용하고 있다.
 
정철의 가사 사미인곡에 공후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공후를 개량하여 [[옥류금]]을 만들어 이용하고 있다.
 
== 같이 보기 ==
줄 10 ⟶ 12:
 
== 참고 자료 ==
* 《최신 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
* 《새로운 한국음악사》 (현대음악출판사, 2000) ISBN 89-483-0850-5
 
{{한국의 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