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참파 왕국의 역사는 중국 사료·참파 비문·참파 사서에 기록이 남아 있다. 참파 비문에는 옛 참파어를 인도계 문자로 기록한 것과 [[산스크리트어]]로 기록한 것이 있다. 옛 참파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하나로, 현재의 [[:en:Acehnese language|아체어]]와 비슷한 언어이다. [[캄보디아]] [[시엠리아프]] [[앙코르]] 유적인 [[바이욘]]의 부조에 [[참파]]와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중국 사료에 따르면 서기 [[192년]] [[한나라]] 최남단, 일남군([[:zh:日南郡|日南郡]]) 상림현([[:zh:象林縣|象林縣]]) ─북중부, 현재의 [[후에]] 부근)에서 공조(功曹)로 있던 몽크메르의 일족인 쿠리엔([[:vi:Khu Liên|Khu Liên]], 區連)이라는 관리가 반란을 일으켜 임읍(林邑, Lâm Ấp)을 세웠다. 임읍은 중국 남조에 조공을 바쳤고, 초창기에는 중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참파가수(隋)나라의 양제는 605년(대업(大業) 원년)에 참파를 정벌하기 위한 군사를 일으켰다. 수는 육군과 해군의 공동 작전으로 참파의 수도를 점령하고 조공국(朝貢國)으로 삼았다. 참파는 [[앵무새]]를 [[당 태종]]에게 바쳤다(626년 그의 재위시부터 631년 사이)는 기록도 있다. 그렇지만, 곧 지금의 베트남 남부·[[캄보디아]]에 걸쳐 존재한 교역국 [[부남]]의 영향을 받아 [[힌두]] 문명을 받아들였고, 중계무역으로 번성하였다. 인도인의 내왕이 많아 카스트 제도를 비롯하여, 인도의 여러 제도가 채용되었다. 오늘날 남아 있는 힌두교·불교의 유적이 참파의 인도화의 일면을 전해주고 있다. 이 당시에 중국을 경유하여 일본으로 건너간 임읍의 승려 붓테츠([[:ja:仏哲|佛哲]])가 전래한 참파의 무용, 임파락(林邑樂)은 지금도 아악(雅樂)의 일종으로 전승되고 있다.
 
베트남 남부·캄보디아에서 부남이 쇠약해져 [[진랍]](Chên Lặp, [[앙코르 왕조]])이 발흥한 7세기 초, 임읍에서도 정변이 일어나 점성국(占城國, 참파)이 나타났다. 점성(Chiêm Thành, 占城)이란 한자 명칭은 산스크리트어 참파나가라(점파성, 占婆城)의 축약된 음역이다. 미선([[:vi:Mỹ Sơn|Mỹ Sơn]]) 성역(聖域)에 현존하는 비문에 의하면 진랍과 점성 두 왕가는 모두 《[[마하바라타]]》에서 묘사된 [[:en:Kurukshetra War|쿠루크쉐트라 전쟁]]에서 패배한 인디아의 크루족([[카우라바]]) 측의 장수 [[:en:Ashwatthama|아슈왓타마]]의 자손이다.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