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개미핥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8번째 줄:
개미핥기와 [[나무늘보]]는 [[유모목]]에 속하며, [[아르마딜로]]와 함께 [[빈치상목]]으로 분류된다. 빈치상목의 두 목은 6,600만 년 전 [[백악기]]에 갈라져 다시 [[팔레오세]]와 [[에오세]]를 거쳐 5,500만 년 전에 나무늘보와 개미핥기로 갈라졌으며, [[애기개미핥기과]]와는 3,000만년 전 [[올리고세]]에, [[작은개미핥기]]와는 1,000만 년 전 [[마이오세]]에서 갈라졌다.<ref name=Delsuc>{{저널 인용|author1=Delsuc, F. |author2=Vizcaíno, S. F. |author3=Douzery E. J. P. |year=2004|title=Influence of Tertiary paleoenvironnemental changes on the diversification of South American mammals: a relaxed molecular clock study within xenarthrans|journal=BMC Evolutionary Biology|volume=4|page=11|doi=10.1186/1471-2148-4-11 |pmid=15115541 |pmc=419338}}</ref> [[신생대]]를 거쳐오면서 개미핥기의 서식지는 대륙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남아메리카]]로 좁혀졌는데, [[팔레오세]]에 아메리카 대륙 대교착이 일어나던 중 [[파나마 지협]]의 생성으로 개미핥기들이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ref name = "Shaw"/>
 
화석 자료는자료나 표본은 매우 희박하나<ref name=fossil>{{서적 인용|author1=McDonald, H. G. |author2=Vizcaíno, S. F. |author3=Bargo, M. S. |year=2008|contribution=Skeletal anatomy and fossil history of the Vermilingua|pages=64–72|title=The Biology of the Xenarthra|editor1=Vizcaíno, S. F |editor2=Loughry, W. J. |isbn=978-0-8130-3165-1|oclc= 741613153}}</ref> [[플리오세]]의 † ''Palaeomyrmidon'' 속의 화석, [[마이오세]]의 † ''Protamandua'' 속의 화석, 그리고 † ''Neotamandua'' 속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큰개미핥기는 계통 내에서 가장 지행성(地行性)을 보이는 종으로, 조상은 원래 나무 위에서 살던 종이었을지도 모른다.<ref name=Gaudin/> 하지만 점차 서식지가 초원 지대로 옮겨지고 그곳에서 흰개미와 같이 큰개미핥기의 좋은 먹이가 되어줄 수 있는 [[군생]] 곤충들이 번식하게 되면서 점차 나무 위에서 땅으로 내려왔을 것이다. [[남부작은개미핥기]]처럼 후기 [[플라이스토세]]와 [[홀로세]]의 화석 표본이 존재한다.
 
[[수렴진화]]의 대표적인 예로서, 큰개미핥기는 [[천산갑]] 혹은 [[땅돼지]]와 외형적으로든, 생태적으로든 유사성이 많으나 생물학적인 구분과 계통은 전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