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62번째 줄:
 
== 사상 ==
마사리크는 보헤미아의 종교개혁가 [[얀 후스]]의 종교개혁에서 자유와 민주주의를 발견하였고, 이를 체코슬로바키아의 건국이념으로 삼을 정도로 [[얀 후스]]의 종교개혁 정신을 따랐다.
마사리크는 체코 민족은 이미 15세기 [[얀 후스]]의 종교개혁과 [[얀 아모스 코멘스키]](Jan A. Komenský)의 [[보헤미아 형제단]]을 통해 민주주의와 휴머니티를 실천했던 역사를 지니고 있는데, 왜 지금에 와서 민주주의와 휴머니티가 사라지고, 인간성의 상실, 권력에 대한 무의식적인 순응, 미래에 대한 절망으로 요약되는 민족의 침체상태를 겪고 있는지를 탐구했다. 그는 이러한 상황에 이르게 한 요인은 무엇보다도 합스부르크 제국(정확히는 1867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군주제와 귀족정치 그리고 이를 떠받들고 있는 종교인 로마 가톨릭교회라고 파악했다. 마사리크는 신화화되고 정치화된 로마 가톨릭교회가 예수의 가르침을 버리고, 신과 인간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없게 함으로써 신과 신의 왕국을 신화의 수준으로 전락시켰다고 비판하면서, 이 때문에 체코인들이 비참한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정치화된 로마 가톨릭교회에 상당히 비판적이었는데, 이를 신정주의라고 여기고 신정주의에서의 종교는 이미 본래의 의미를 잃어버린 채 국가와 정권을 떠받드는 관변 단체로 전락했고, 신과 인간 사이를 분리시킴으로써 허무주의, 비탄, 우울, 자살, 범죄 등 근대의 질병을 낳았다고 판단했다. 마사리크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화적 세계관과 대비되는 두 개의 철학적 개념인 진리와 휴머니티를 내세웠는데, 마사리크가 제시한 진리는 무력, 폭력, 권력과 대치되는 개념으로 진리는 세속적인 힘, 정치화되고 신화화된 종교의 부패한 권력이 아니라 기독교 본래의 영적이고 불멸의 힘을 의미한다. 마사리크는 또한 휴머니티를 주장했는데 정치의 윤리적 기반인 휴머니티에 기초하지 않는 그 어떤 정치제도도 생존과 발전을 할 수 없고 스스로를 망치게 될 뿐이라고 판단했다. 마사리크는 이러한 철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진리를 정치의 실행 원칙으로 그리고 휴머니티를 정치의 윤리적 기반으로 상정했다.
 
68번째 줄:
 
== 철인 왕==
마사리크는 정치 이념에서 철학을 강조하여 '철인 왕(Philosopher-King)'이라고도 불린다. 마사리크는 민주주의와 민주시민의 양성을 위해 교육과 과학을 중시하였는데 과학 자체가 인간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과학적 결과에 기반해 일관된 세계관을 구축하는 역할은 철학이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철학이 인간을 지적, 도덕적 무정부 상태에서 구원해주는 도구라고 판단하였다. 그는 철학을 세상을 보는 눈이자, 세계를 바꾸는 도구로 여겼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철학적 사고력을 갖춘 정치 엘리트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마사리크는 체코인들의 노예 상태에서의 복종과 예속, 정치적 무관심을 당연시했던 사람들을 민주사회의 ‘시민’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그들에게 방향을 알려주고 목표를 설정해 줄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는데 이때의 지도자가 바로 마사리크 자신이었다.
 
== 평가 ==
영국의 극작가 겸 소설가 이자 비평가인 [[버나드 쇼]](B. Shaw)는“만약 유럽합중국이 생긴다면 누가 유럽의 대통령이 되어야 하는가?” 라는 질문에 단연코 마사리크가 되어야 한다고 대답했다. 마사리크는 당시에는 불가능하게 보였던 체코의 독립을 이루어낸 민족의 영웅이자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시기(1918~1935) 대통령으로 양차 대전 사이의 시기 [[체코슬로바키아]]를 동유럽에서 유일한 민주주의 국가로 만들고 ‘민주주의의 섬’이라고 불리게 했던 인물이다.
 
체코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선 이후 공산주의자들은 마사리크를 부르주아 정치인의 전형적 인물이자 서방 제국주의의 하수인으로 여기기도 하였으나 1968년 ‘프라하의 봄’ 이후에는 공산정권에서도 더 이상 마사리크의 위상과 국가와 민족에 끼친 영향을 부정할 수 없었고, 이에 그를 사회주의자로 언급하면서, 마사리크를 사회주의자로 평가하며 공산정권과 연결시키려고 했다. <ref> 김신규《위 논문》(기억과 전망 여름호)</ref>
146번째 줄:
|전임자 = -
|후임자 = [[에드바르트 베네시]]
|대수 = 1
|임기 = [[1918년]] [[11월 11일]] ~ [[1935년]] [[11월 11일]]
}}
 
{{Authority전거 control통제}}
{{기본정렬:마사리크, 토마시 가리크}}